국립부여박물관 전경 |
국립부여박물관 國立扶餘博物館 | Buyeo National Museum | ||
로고 | 정부상징 | |
<colbgcolor=#ccc> 종류 | 박물관 | |
주소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4 | |
개관 | 1945년 10월 13일 | |
연락처 | 041-833-8562 | |
[clearfix]
1. 개요
국립부여박물관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동남리)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이다. 백제 말기, 즉 사비백제 시대의 충청 동남권, 특히 부여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주로 전시하고 있다. 홈페이지2. 연혁
- 1929. 02. 27 국립부여박물관의 전신인 재단법인 부여고적보존회 창립
조선총독부박물관 부여분관 |
- 1939. 04. 01 조선총독부 박물관 부여분관 설치
- 1945. 10. 13 국립박물관 부여분관으로 개칭
- 1975. 08. 01 국립부여박물관 승격(대통령령 제 7745호)
- 1993. 08. 06 현 박물관 이전 개관
- 2005. 12. 30 보존과학관 증축 개관
- 2011. 07. 21 복합문화센터(사비마루) 증축 개관
- 2014. 08. 06. 상설전시실 재개관 (2013.10. 공사시작. 예산 73 억원) https://naver.me/FmVlMayO
3. 역대 관장
- 초대 홍사준 (1945~1961)
- 2대 박일훈 (1961~1963)
- 3대 홍사준 (1963~1966)
- 4대 김영배 (1966~1969)
- 5대 이영락 (1969~1970)
- 6대 강인구 (1970~1975)
- 7대 김종철 (1976~1977)
- 8대 지건길 (1977~1979)
- 9대 서성훈 (1979~1982)
- 10대 이강승 (1982~1986)
- 11대 김성구 (1986~1989)
- 12대 신광섭 (1989~1997)
- 13대 이영훈 (1997~1998)
- 14대 서오선 (1998~2005)
- 15대 이내옥 (2005~2007)
- 16대 송의정 (2007)
- 17대 권상열 (2007~2009)
- 18대 강대규 (2009~2011)
- 19대 김정완 (2011~2012)
- 20대 박방룡 (2012~2013)
- 21대 구일회 (2013~2016)
- 22대 윤형원 (2017~2023)
- 23대 은화수 (2023~현재)
4. 관람안내
- 평일: 오전 10시 ~ 오후 6시[1]
- 토요일, 공휴일: 오전 10시 ~ 오후 7시
- 야간개장: 매주 토요일(4월 ~ 10월, 오전 10시 ~ 오후 9시)
- 입장료: 무료, 기획전시는 제외[2]
- 휴관일: 매주 월요일, 매년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5. 시설안내
5.1. 전시동
국립부여박물관은 상설전시실 4곳과 야외전시장에서 유물 1만 1691점(2020년 기준)을 전시하고 있다.제1전시실: 청동기 시대부터 사비 백제 이전의 충남 지역의 유물을 전시해 놓았다. 한반도 청동기 시대에서 중요한 송국리식 토기도 전시하였다.
제2전시실: 백제의 역사문화, 특히 사비 백제시대의 유물을 전시해 놓았다. 국보 제287호 백제금동대향로가 여기에 있다.
제3전시실: 백제의 공예와 미술품을 전시해 놓았다. 규암 출토 '미스 백제' 국보 제293호 금동관세음보살입상이 여기에 있다.
기증실: 박만식 교수가 기증한 백제 등 고대 토기류와 그 외의 다양한 기증자들이 기증한 여러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5.2. 야외전시실
국립부여박물관의 야외전시실에는 보물 194호 부여석조 및 석재 조각, 유인원 기공비 등이 있다.6. 기타
- 2000년대부터 일본인 관광객들의 단체 관람이 잦은 편이다. 여행사를 끼고 오는지 해설자도 곧잘 있어 일본어로 열심히 설명하는데, 주로 백제금동대향로 앞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하곤 한다. 부여군 일대에 이렇다 할 큰 관광지가 없으므로 온전히 금동대향로를 보러 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
- 옛 국립부여박물관 건물은 1965~1967년에 건립되어 1970년부터 1993년까지 사용되었다. 위치도 부소산성 앞으로 현 박물관과는 꽤 많이 떨어져 있다. 위 건물은 건축가 김수근의 작품이다. 전통 건축의 구성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김수근의 초기 작품이지만 보다시피 지붕의 모양 등 여러가지 부분에서 왜색 논란에 휘말렸다. 또한 정문의 모양이 일본 도리이를 닮았다고 더 까였다.[3] 거기다 소장품이 늘어나다보니 전시공간이 좁다는 문제점도 생겨서 1993년 현재의 신관으로 옮겨가고 구관은 한동안 방치되었다가 부여군 문화재사업소(舊 고도문화사업소)가 입주했었고, 이곳 역시 조직을 확장하며 신축건물로 이전한 뒤, 현재는 사비도성 가상체험관으로 내부를 리모델링해 운영중이다. 근데 아이러니한 건 일본 전통 건축 양식이 대부분 백제에서 따온 것이기 때문에 저런 디자인이 완전히 엉터리는 아니라는 것.[4]
- 2015년 국립부여박물관이 울릉도, 독도를 표기하지 않은 대형 지도를 안내용 전시보조물로 사용한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일었다. ##
- 시민 투표로 박물관의 유물을 모티브로 한 마스코트 '호자'가 정해졌는데, 귀여운 생김새와 달리 모티브는 호자(虎子)라는 이름의 요강, 달리 말하면 남성용 이동식 변기다. 심지어 실제 유물도 캐릭터와 달리 못생긴 편.
- 언론에서 호자 등 여러 유물을 소개했다. 그 중 꽈찌쭈를 닮은 나한상 조각이 있다고 한다.
7. 나무위키에 항목이 생성된 소장유물
자세한 내용은 분류:국립부여박물관 소장품 문서 참고하십시오.[1] 2017년 7월1일부로 중앙박물관 예하 국립박물관 개장시간이 9시에서 10시로 변경되었다[2] 다만 유료인 경우가 거의 없다.[3] 한재규가 소년중앙에 1988년부터 연재한 만화 <숨쉬는 색동찌>에서는 극중 일본인인 빠가사리(...)라는 자가 부여박물관을 보면서 원래 부여신궁을 설치할 자리에 박물관을, 그것도 도리이를 닮은 것을 한국인 스스로가 만들어 박물관이랍시고 세워두니 알아서 일본적이 된다고 비웃는 묘사가 들어가 있다. 이 한재규가 2000년대와서 환단고기를 만화로 그리고 환빠적인 기질을 보이는 사람이다.[4] 실제로 한국에서 백제 건축을 연구하는 고고학자나 역사학자들은 일본의 건축 양식을 참고하여 연구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