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24694><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24694> | }}} | ||
| {{{#!wiki style="color: #024694;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립 | |||
| 국립익산박물관 | 국립전주박물관 |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 국립태권도박물관 | |
| 국립전북기상과학관 | ||||
| 공립 | ||||
| 고창판소리박물관 | 군산근대역사박물관 | 남원향토박물관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
| 대한민국술테마박물관 | 동학농민혁명기념관 | 마한박물관 | 무주곤충박물관 | |
| 백제왕궁박물관 | 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 | 보석박물관 | 어진박물관 | |
| 일제강점기군산역사관 | 전주역사박물관 | 정읍시립미술관 | 정읍시립박물관 | |
| 진안군 가위박물관 | 진안역사박물관 | 최북미술관 | ||
| 사립 | ||||
| W미술관 | 교동미술관 | 금산사 성보박물관 | 수지미술관 | |
| 예수병원 의학박물관 | 완주책박물관 | 원불교 역사박물관 | 장수미술관 | |
| 전주미술관 | 전주한지박물관 | 호남기독교박물관 | ||
| 대학교 | ||||
| 군산대학교 박물관 | 원광대학교 박물관 | 전북대학교 박물관 | 전북대학교 자연사박물관 | |
| 전주대학교 박물관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47216>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방 자치 | | | | |
| | | ||||
| | |||||
| 법조 | | | |||
| 교육 | | | |||
| | | ||||
| 치안 | | | |||
| 교정 | | ||||
| 소방 | | | |||
| 보건 | | ||||
| 세무 | | | |||
| 기타 국가 기관 | | | | }}}}}} | |
| <colcolor=#fff><colbgcolor=#6c4d30> 국립전주박물관 國立全州博物館 Jeonju National Museum | |
| ------- | |
| 설립일 | 1990년 10월 26일 |
| 관장 | 박경도 |
| 관람시간 | 10:00 ~ 18:00 |
| 우편 번호 | 55070 |
| 대표 전화 | 063-223-5651~2 |
| 주소 | |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1] | |
| 상급 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 | |
| |
| 국립전주박물관 전경 |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 전북에서 발굴조사된 고고유적과 미술 공예품, 조선왕조와 관련된 유물 전시를 하는 곳이다. 호남권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박물관 중 국립광주박물관에 이어서 두번째로 지어졌다. 일부 소장품은 국립익산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2. 연혁
- 1987. 12. 14 국립전주박물관 시공
- 1990. 10. 25 직제공포(대통령령 제13108호)
- 1990. 10. 26 개관
- 2002. 11. 06 사회교육관 개관
- 2006. 04. 25 사회교육관을 문화체험관으로 개명
- 2014. 11. 28 문화체험관을 어린이박물관으로 변경
3. 역대 관장
- 초대 한영희 (1990~1993)
- 2대 이호관 (1993~1995)
- 3대 이종철 (1995~1998)
- 4대 이영훈 (1998~2000)
- 5대 유형식 (2000~2006)
- 6대 신광섭 (2006~2007)
- 7대 이원복 (2007~2008)
- 8대 김영원 (2008~2010)
- 9대 곽동석 (2011~2012)
- 10대 유병하 (2013~2016)
- 11대 김승희 (2016~2018)
- 12대 천진기 (2018~2020)
- 13대 홍진근 (2021~2022)
- 14대 박경도 (2023~현재)
4. 관람안내
평일 : 오전 9시~오후 6시 (입장시간 오후5시까지)토요일, 공휴일 : 오전 9시~오후 7시
야간개장 : 매주 토요일(3월~10월, 오전 9시~ 오후 9시)
입장료 : 무료.
5. 시설안내
공식안내5.1. 전시동
- 본관
- 역사실: 전북의 역사
- 미술공예실: 전북의 예술
- 전주와 조선왕실
- 선비서예실
- 어린이박물관 건물
- 석전기념실: 석전 황옥 선생의 작품과 유품
- 어린이박물관
- 기획전시실
5.2. 야외전시실
6. 전시
6.1. 상설 전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립전주박물관/상설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립전주박물관/상설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 특별 전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립전주박물관/특별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립전주박물관/특별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출판
8. 교통
9. 여담
10.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f84263>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0,#fff> 호남제일문 • 전주동물원 • 한국도로공사 수목원 • 덕진공원 • 혼불문학공원 • 한지박물관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전주월드컵경기장 • 전주 한옥마을(경기전) • 전동성당 • 풍남문 • 전주 객사 • 전주 남부시장 • 전주향교 • 전라감영 • 전주 차이나거리 • 치명자산 • 국립전주박물관 • 한국전통문화전당 • 전주영화종합촬영소 • 전주역사박물관 • 모악산 • 옛 신리터널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