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15:28:43

근무지원대

근무지원대대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국군 전투지원부대의 편제단위
구분 편제
편제 근무지원단
전대 기지방호전대 (해/공), 기지지원전대 (해), 작전지원전대 (공)
~ 대대 본부근무대(대대) (육), 근무지원대(대대) (해), 기지대(대대) (공)
중대 본부중대 (육/해), 기지중대 (공)
소대 중대본부
기타: 행정부대

대한민국 국군의 명칭별 부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보병부대 수색부대 특공부대 공수부대 기동부대
특수부대 정찰부대 GOP부대 경비부대 파병부대
포병부대 기갑·기보부대 공병부대 통신부대 정보부대
군수부대 수송부대 정비부대 탄약부대 화생방부대
방공부대 항공부대 의무부대 방첩부대 군사경찰부대
근무지원부대 행정부대 기행부대 군악부대 산악부대
신병교육부대 예비군부대 훈련부대 군사학교 독립대대
독립중대 보충중대 예비대
}}}}}}}}} ||

1. 개요2. 상세3. 편제4. 대한민국 근무지원대 목록5. 기타6. 관련문서

Service Support Troop
勤務支援隊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해군 지원부대의 경우 근무지원대라고 부르며, 대한민국 공군의 비행단급 이상 부대는 복지대대, 소규모 부대의 경우 기지대라는 이름으로 편성되어 있다[1]. 국군직할 및 육군부대의 경우 근무지원단이라 하기도 한다.

2. 상세

대한민국 해군전단 이상 부대에는 기지전대가 편제되어 있고, 보통 이곳 예하 본부대대가 이런 일을 담당한다.

대한민국 공군의 경우 비행단에선 항공작전전대를 빼면 기지방호전대작전지원전대가 사실상 근무지원대 역할을 한다. 밥 짓고 기지 지키고 제초하고 등등 비행기 뜨는 일 빼고 다 한다. 그때문에 공군에서 일했음에도 비행기가 어떻게 생겼는지도 잘 모른다(...). 다만, 근무지원대에 제일 가까운, 의식주와 같이 본질적인 근무지원을 하는 대대로 작전지원전대 예하의 복지대대가 있다. 사실상 타군의 본부근무대, 근무지원대는 공군 복지대대에 군사경찰 약간, 수송 약간, 정보통신 약간, 단본부 약간을 섞은 것이다. 애초에 복지대대는 2000년대 후반까지만 하더라도 대위~소령급이 지휘하는 '지원대'였기 때문에 명칭부터 타군의 근무지원대, 본부근무대와 유사하다.

또한 공군의 대대급 이상 참모부서 소속 병사들은 공식적으로는 해당 부서[2], 비공식적으로는 ‘단본부’에 별도로 소속되어 있다. 한편, 규모가 작은 포대, 사이트와 일부 소규모 비전투부대의 경우 기지대(대대)[3], 또는 기지중대가 편성되어 해당 부대에서 기지방호와 작전지원 업무를 전담한다.

간혹 대급이 아닌 대대급으로 설치되어 본부대를 중대급 규모로 예하에 두기도 한다. 약칭은 근지대나 지원대이다. 본부대와 마찬가지로 상급부대의 직할대인 경우가 많다. 본부대와 근무지원대가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은 상급부대의 경우에는 '본부근무대'로 두는 경우도 있다. 주로 하는 일은 상급부대의 본부 등에서 하는 일을 지원하는 것이다. 군사경찰부터 통신, 급양, 보급, BOQ, BEQ 등 본부의 고유업무를 빼고 다 처리해준다. 참모부서에서 일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언뜻 일하다보면 자신이 군인인지 용역업체인지 헷갈린다.

계룡대 근무지원단 창설 이전에는 각 군 본부에 설치되었던 근무지원대를 본부사령실이라 하였다.

본부근무대, 근무지원단 소속 병사의 군생활상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 참조.

3. 편제

3.1. 대한민국 해군

3.2. 대한민국 공군

3.2.1. 비행단급 이상

3.2.1.1. 복지대대
  • 작전지원전대 복지대대
    • 운영통제실
    • 근무지원중대[4]
    • 관사관리반
    • 체육시설관리반
    • 급양중대
    • 급양운영반
    • 급양반[5]

작전지원전대 소속으로, 장병들의 의, 식, 주와 같은 본질적인 근무지원 업무를 전담한다. 작전지원전대가 없는 사령부급 부대의 경우, 근무지원단(작사 또는 공사), 기지지원전대(교육사)에 편성되어 있다.

대대장에는 보급수송 또는 인사교육 소령~중령이 보임하며, 운영통제실장에도 보급수송 또는 인사교육 대위가 보임한다. 통상적으로 근무지원중대장에는 인사교육 중위(진)~대위, 급양중대장은 보급수송 중위(진)~대위가 보임한다. 예하 준사관, 부사관, 병사에는 급양, 장비물자보급, 토목건축, 인사교육 등의 특기로 보임하며, 부서 특성상 군무원도 적지 않은 편.

3.2.2. 소규모 부대, 방공포대, 레이다 사이트

  • 기지대대(기지대 또는 기지중대)[6]
    • 기지작전계
    • 군사경찰중대[7]
    • 공병중대[8]
    • 화생방지원중대[9]
    • 정보통신중대[10]
    • 수송중대[11]
    • 보급중대[12]

4. 대한민국 근무지원대 목록

5. 기타

6. 관련문서



[1] 다만, 기지대인 경우, 비행단급 부대의 복지대대 기능뿐 아니라 아예 기지방호전대작전지원전대의 기능을 한데 모아 축소시킨 것이다.[2] 예를 들어 육군 사단급 부대의 인사참모처에서 근무하는 행정병은 공식적으로는 본부대 소속이고, 인사참모처는 파견지에 불과한 반면 공군 비행단급 부대의 인사행정처 행정병은 공식적으로 인사행정처 소속이다. 인사자력, 국인체, 휴가증 등 모든 서류에 소속이 인사행정처로 되어 있는 것이다.[3] 공군항공안전단 같은 경우 중령이 지휘하는 기지대대로 편성되어 있다.[4] 일부 부대의 경우는 복지중대라는 이름으로 편성되기도 한다. 이 경우 복지시설관리반이 별도 편제된 경우도 있다.[5] 식당 별로 하나의 급양반을 편성하며, 식당이 많은 부대의 경우 제1~n급양반과 같이 복수의 반을 편성한다.[6] 제38전투비행전대는 아예 비행단 표준편제를 한 급만 내린 항공정비대대, 기지방호대대, 작전지원대대와 그 예하 대, 중대들로 보다 세분화되어 있다.[7] 규모가 크면 기지대와 별도로, 혹은 기지대대 소속으로 군사경찰대를 편성하기도 하고, 기지중대처럼 규모가 작으면 군사경찰반으로 편성된다.[8] 기지중대처럼 규모가 작으면 공병반으로 편성된다.[9] 기지중대처럼 규모가 작으면 공병중대 소속의 화생반지원반으로 편성된다.[10] 규모가 크면 기지대와 별도로, 혹은 기지대대 소속으로 정보통신대를 편성하기도 하고, 기지중대처럼 규모가 작으면 정보통신반으로 편성된다.[11] 기지중대처럼 규모가 작으면 수송반으로 편성된다.[12] 기지중대처럼 규모가 작으면 보급반으로 편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