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00:54:51

난도르 히데구티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1991~2003).svgACF 피오렌티나
감독 (1대~50대)
{{{#!wiki style="margin: 0 -10px;"
{{{#5A318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24년 ~ 1997년
1대
커셰기
파일:UEFA EURO HUN.png
2대
차프카이
파일:UEFA EURO HUN.png
3대
펠트만
파일:UEFA EURO HUN.png
4대
펠스너
파일:UEFA EURO AUT.png
5대
라디
파일:UEFA EURO HUN.png
6대
요제프
파일:UEFA EURO HUN.png
7대
아라
파일:Rflag Italy Kingdom.png
8대
바카니
파일:Rflag Italy Kingdom.png
9대
몰나르
파일:UEFA EURO HUN.png
10대
수체크
파일:UEFA EURO AUT.png
11대
갈루치
파일:Rflag Italy Kingdom.png

12대
비고뇨
파일:Rflag Italy Kingdom.png
13대
아라
파일:Rflag Italy Kingdom.png
14대
말리
파일:Rflag Italy Kingdom.png
15대
젠키
파일:UEFA EURO HUN.png
16대
페레로
파일:UEFA EURO ITA.png
17대
말리
파일:UEFA EURO ITA.png
18대
베르나르디니
파일:UEFA EURO ITA.png

19대
체이즐레르
파일:UEFA EURO HUN.png
20대
페레로
파일:UEFA EURO ITA.png
21대
카르닐리아
파일:아르헨티나 원형 국기.svg
22대
체이즐레르
파일:UEFA EURO HUN.png
23대
키아펠라
파일:UEFA EURO ITA.png
24대
히데그쿠티
파일:UEFA EURO HUN.png

25대
발카레지
파일:UEFA EURO ITA.png
26대
키아펠라
파일:UEFA EURO ITA.png

27대
페레로
파일:UEFA EURO ITA.png
28대
바시
파일:UEFA EURO ITA.png
29대
페사올라
파일:아르헨티나 원형 국기.svg

30대
풀리에세
파일:UEFA EURO ITA.png
31대
리드홀름
파일:UEFA EURO SWE.png
32대
라디체
파일:UEFA EURO ITA.png
33대
로코
파일:UEFA EURO ITA.png
34대
마초니
파일:UEFA EURO ITA.png

35대
마초네
파일:UEFA EURO ITA.png
36대
키아펠라
파일:UEFA EURO ITA.png
37대
카로시
파일:UEFA EURO ITA.png
38대
데 시스티
파일:UEFA EURO ITA.png
39대
발카레지
파일:UEFA EURO ITA.png
40대
아그로피
파일:UEFA EURO ITA.png
41대
베르셀리니
파일:UEFA EURO ITA.png
42대
산타리니
파일:UEFA EURO ITA.png
43대
에릭손
파일:UEFA EURO SWE.png
44대
조르지
파일:UEFA EURO ITA.png
45대
그라치아니
파일:UEFA EURO ITA.png
46대
라자로니
파일:브라질 원형 국기.svg
47대
라디체
파일:UEFA EURO ITA.png
48대
아그로피
파일:UEFA EURO ITA.png
49대
키아루지
파일:UEFA EURO ITA.png
50대
라니에리
파일:UEFA EURO ITA.png

▶ ACF 피오렌티나 감독(51대 이후)
:리그 우승 :코파 우승
}}}}}}}}}}}}}}} ||

헝가리의 축구감독
파일:난도르 히데구티 .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히데그쿠티 난도르
Hidegkuti Nándor[1]
출생 1922년 3월 3일
헝가리 왕국 부다페스트
사망 2002년 2월 14일 (향년 79세)
국적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1922~1946)
파일:헝가리 제2공화국 국기.svg 헝가리 제2공화국(1946~1949)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헝가리 인민 공화국(1949~1989)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1989~2002)
신체 179cm
직업 축구선수 (중앙 공격수 / 은퇴)
축구감독 (은퇴)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에레크트로모시 FC(1942~1945)
MTK 부다페스트 FC (1945~1958)
감독 MTK 헝가리아 FC (1959~1960)
ACF 피오렌티나 (1960~1962)
AC 만토바 (1962~1963)
죄르 ETO FC (1963~1965)
FC 터터바녀 (1966)
MTK 헝가리아 FC (1967-1968)
부다페스트 스파르타쿠스 (1968~1971)
스탈 제슈프 (1972)
에그리 도사 (1973)
알 아흘리 SC (1973~1980)
알 아흘리 클럽 (1983~1985)
국가대표 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69경기 39골 (헝가리 /1945~1958)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지도자 경력4. 이후5. 수상 경력

[clearfix]

1. 개요

"1954년 스위스 월드컵서독이 우승했지만, 딥-라잉 센터 포워드 난도르 히데그쿠티의 헝가리가 지배했다."
돈 레비

헝가리의 축구선수 출신 축구 감독으로 1950년대 매직 마자르 전성기에 크게 이바지 했던 당대 최고의 공격수이자 폴스 나인의 맥을 이은 선수다.[2]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1942년에 에레크트로모시 FC에 데뷔해서 1945년까지 53경기 27골을 넣었다. 1945년 MTK 헝가리아 FC에 이적해서 1949년까지 110경기 73골을 기록했고 1949년~1950년에는 부다페스티 텍스타일스에서는 30경기 23골, 1950년~1952년 사이에는 부다페스티 바슈티아 SE에서 51경기 49골, 1952년~1956년에는 뵈뢰슈 로보고 SE에서 92경기 65골을 넣었다.[3] 1956년에 예전 이름으로 되돌아온 MTK 헝가리아 FC에서 1958년까지 31경기 16골을 넣고 은퇴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1945년에 대표팀에 데뷔한 히데그쿠티는 1952 헬싱키 올림픽에서 압도적인 모습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후 1953년에는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잉글랜드를 상대로 해트트릭을 기록하면서 축구 종주국이자 세계최강이라고 자부하던 잉글랜드를 6:3으로 박살냈다.[4] 이후 1954 스위스 월드컵에 출전한 히데그쿠티는 페렌츠 푸스카스 - 산도르 코츠시스 - 요세프 보직 - 졸탄 치보르 등 막강한 전력을 자랑하던 매직 마자르의 일원으로서 최정민 - 주영광 - 홍덕영이 버티는 월드컵에 첫 출전한 대한민국을 9:0, 서독을 상대로 2골을 넣으며 8:3 승리를 이끌었다. 8강 브라질과의 시합에선 선제골을 넣었으며 폭력과 레드카드과 난무하는 접전 끝에 브라질을 격파하고 4강에 진출한 헝가리는 1950 브라질 월드컵 우승국인 디펜딩 챔피언 우루과이를 상대로 1골을 넣으며 연장전 끝에 4:2 승리를 거두며 결승전에 진출한다. 결승전 상대는 서독이었고, 졸탄 치보르페렌츠 푸스카스의 골로 2:0으로 리드했으나 헬무트 란의 활약으로 3:2 역전패, 베른의 기적의 희생양이 되어 준우승에 그치고 만다. 1958 스웨덴 월드컵에도 출전 했으나 헝가리는 1라운드에서 탈락하고 만다. 이후 국가대표에서 은퇴했다.

3. 지도자 경력

히데그쿠티는 헝가리, 이탈리아, 폴란드 및 이집트의 클럽에서 감독 생활을 했다. 1961년, 그는 ACF 피오렌티나의 감독이 되어 초대 UEFA 컵 위너스컵에서 팀을 우승으로 인도했고, 팀은 결승전에서 레인저스를 4-1로 물리쳤다. 이와 더불어 1963년에는 죄르 ETO FC를 맡아 헝가리 리그에서 우승시켰고, 1965년에는 팀을 유로피언컵 준결승전까지 진출시켰으나, 후에 준우승한 SL 벤피카에게 패하고 말았다.

4. 이후

히데그쿠티의 부고가 알려지고 그의 친정팀인 MTK 부다페스트 FC는 홈구장에 그의 이름을 헌정해 히데그쿠티 난도르 슈터디온으로 개칭했다.

5. 수상 경력

선수
헝가리
페렌츠바로시 TC
감독
ACF 피오렌티나
기외리 에토 FC
* 헝가리 챔피언: 1
* * 1963
* 유러피언컵
* * 준결승: 1965 1


[1] 헝가리에서는 성씨가 앞에 오고 이름이 뒤에 온다.[2] 1930년대마티아스 신델라가 최초의 폴스 나인 유형의 중앙 공격수로 평가받는데, 진짜로 등번호 9번을 달고 뛴 폴스 나인 유형의 중앙 공격수는 히데그쿠티가 최초이다. 여담으로 월드컵에 등번호가 처음 도입된 것은 1950년 월드컵이다.[3] 팀 이름이 계속 바뀌지만 모두 같은 팀이다.[4] 히데그쿠티는 넓은 범위에서 뛰면서 다른 공격수 4명에게 공을 배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는 잉글랜드 수비진에 상당한 혼란을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혁신적인 전술로, 당시 축구계에 큰 혁명을 일으켰다. 이 전술은 현재 잘 알려져 있는 세컨드 스트라이커프란체스코 토티웨인 루니 같은 선수들이 오늘날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