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0:37:55

닝샤 후이족 자치구

녕화회족 자치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e1c25>
파일:중국 국장.svg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e1c25> 베이징시
· 톈진시
· 허베이성
· 산시성
· 내몽골 자치구
랴오닝성
· 지린성
· 헤이룽장성
화둥 지구
상하이시
파일:1px 투명.svg
· 장쑤성
· 저장성
· 안후이성
· 푸젠성
· 장시성
· 산둥성
· 타이완성
중난 지구
허난성
· 후베이성
· 후난성
· 광둥성
· 광시 좡족 자치구
· 하이난성
· 홍콩 특별행정구
· 마카오 특별행정구
시난 지구
충칭시
· 쓰촨성
파일:1px 투명.svg
· 구이저우성
파일:1px 투명.svg
· 윈난성
파일:1px 투명.svg
· 티베트 자치구
시베이 지구
산시성
파일:1px 투명.svg
· 간쑤성
파일:1px 투명.svg
· 칭하이성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ffff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fff00; font-size: 0.7em; color: #ffff00"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닝샤 후이족 자치구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e1c2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e1c25>
파일:중국 국장.svg
}}}
광시 좡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중국티베트계 민족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한족 (한족) 강서인 | 강소인 | 객가 | 광동인 (마카오인 | 홍콩인) | 산동인 | 사천인 | 산서인 | 오월인 | 하북인 | 호남인 | 후이족 (둥간족)
민인 민남인 (복건인 | 조주인 | 해남인 | 뇌주인) | 민동인 | 민북인 | 보선인 | 소장인
백족
티베트버마 서 티베트버마 티베트인 (캄파 | 암도와 | 부탄인 | 셰르파 | 발티인 | 라다크인 | 시킴인 | 까체족) | 네와르인 | 키라티인 | 마가르족 | 문파족 | 샤르촙인 | 타망족 | 샹슝족
중앙 티베트버마 나가 | 친족 | 쿠키인 | 퓨족 † | 미조인 | 트리푸리족 | 메이테이족 | 경파족 | 음루족 | 가로족 | 보로족 | 착족
동 티베트버마 버마족 | 카렌족 (카렌니) | 라카인족 | 강족 | 보미족 | 하니족 | 아카족 | 탕구트 † | 라후족 | 이족 | 율속족 | 나시족 | 모쒀족 | 아창족 | 노족 | 기낙족 | 독룡족 | 토가족 | 목아인 | 얼수족 | 리주족
기타 티베트버마 레프차족 | 타니족 (니시족 | 아디족 | 납파족) | 롭족 | 백마인 | 저족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Seal_of_Nagaland.svg.png 나갈랜드 | 파일:라다크.png 라다크 | 파일:마니푸르.png 마니푸르 | 파일:미조람.png 미조람 | 파일:시킴.png 시킴 | 파일:아루나찰프라데시.png 아루나찰프라데시 | 파일:트리푸라.png 트리푸라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특별행정구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특별행정구 | 파일:중국 국기.svg 닝샤 후이족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티베트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칭하이성 | 파일:중국 국기.svg 쓰촨성 서부 | 파일:길기트 발티스탄 주기.png 발티스탄 | 파일:라카인주 주기.svg 라카인주 | 파일:카친주 주기.svg 카친주 | 파일:친주 주기.svg 친주 | 파일:카야주 주기.svg 카야주 | 파일:카인주 주기.svg 카인주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치타공 구릉지대
<colcolor=#000> 사회문화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신화 중국 신화 | 티베트 신화
외교, 사상 중화사상 | 중화민족론 |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독립운동 }}}}}}}}}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ruby(宁夏, ruby=Níngxià)][ruby(回族, ruby=Huízú)][ruby(自治区, ruby=Zìzhìqū)] | ذِجِثُوْ‎ نٍشيَا خُوِذُوْ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20px-China_Ningxia.svg.png
자치구정부
소재지
닝샤후이족자치구 인촨시 싱칭구
제팡시제361호
宁夏回族自治区银川市兴庆区
解放西街361号
지역 시베이
면적 66,400km²[1]
하위 행정구역 5지급시 9구 2현급시 11현
시간대 UTC+8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인구 632만명
인구밀도 95명/km²
민족 구성 한족 65.44% | 후이족 33.95%
만주족 0.4% | 몽골족 0.09%
HDI 0.739 (2017)
서기 량옌순(梁言顺)
정부주석 장위보(张雨浦)(후이족)
GRDP 전체 $710억 (2021)
1인당 $9,872 (2021)[2]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 640000
지역전화번호 0951 ~ 0955
우편번호 760000 ~ 756400
ISO 3166-2 CN-NX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역사4. 행정구역5. 역대 영도인

[clearfix]

1. 개요

EBS세계테마기행 - 미지의 중국 닝샤
중국 서북부에 위치한 자치구다. 약칭은 ([ruby(宁, ruby=níng)]), 혹은 ([ruby(夏, ruby=xià)])[3]. 국내에서는 영하 회족 자치구라고도 부른다. 황하 유역이며 내몽골 남부, 간쑤성섬서성이 만나는 오르도스 고원 지역 중심에 위치해 있다. 간쑤성, 섬서성, 내몽골까지 세 행정구역에 둘러싸여있는 내륙지역이다.

면적은 66,000km²이며 성도는 인촨(银川)시로, 과거 서하의 수도였던 곳으로 유명하다. 인구는 2010년 기준 6,301,350명으로 인구의 62%는 한족이고 34%는 이슬람교를 믿는 소수민족인 후이족(回族)이다. 레닌주의 민족해방론에 따르면 민족 영토가 결여된 채 오직 문화에 토대를 둔 민족은 민족으로 인정받을 수 없었으므로, 원래부터 후이족 인구보다 한족 인구가 많지만 후이족 자치구로 지정되었다.

2. 상세

러시아유대인 자치주설립 취지가 비슷하다. 후이족 역시 유럽유대인 비슷하게 종교만 공유하고 각지에 고르게 널리 퍼져 사는 성향이 있기 때문이었다. 소련에서 만약 유대인 자치주를 유대인 인구가 많던 벨라루스 서부 지역에 설정하면 현지인들이 들고 일어날 게 뻔하므로 대신 만주 근처 공백지에 세웠던 것처럼, 중국에서도 티베트인후이족들이 갈등하던 칭하이성 대신에 건조한 오르도스 지역에 할당했다. 하지만 오늘날 러시아 연방 내 유대인 자치주가 유대 민족 국가 이스라엘로 유대인이 몰리면서 유대인 인구 비율이 소수점 대로 감소한 것에 비하면, 닝샤 후이족 자치구는 인구 비율상으로 후이족이 3분의 1 정도로 선방하는 편이니 러시아의 유대인 자치주에 비하면 후이족 자치구라는 이름이 무색하지 않다.[4]

황하가 이 땅을 통과하며 만리장성이 닝샤의 북동부 경계를 따라 세워져 있다. 지세는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다. 남부는 황토 고원이나 육반산이 많은 땅을 차지하고, 북부는 닝샤 평원이 있으며, 서북부는 하란산이 있다.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역설적이게도 사막이 둘러싸고 있음에도 황하가 지나가는 지역이라서 천연관개가 가능해 농사가 아주 잘되는 편이다. "하늘이 영하를 부유케한다."라는 말이 남아 있을 정도로 중국 서북부에서 가장 중요한 곡창지대이기도 하다. 그 외에 양털과 양가죽, 그리고 구기자가 특산물로, 특히 구기자는 이곳에서 생산 품종이 중국 내 거래되는 구기자들의 과반수를 차지할 정도이다. 서북부에서는 드물게 벼농사도 가능하다고 한다.

닝샤의 특산물로는 포도가 있다. 포도는 원래 투르판의 특산물로 중앙아시아 출신 후이족의 영향으로 이 지역에서도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준가르 원정을 나서던 강희제가 닝샤 지역의 포도와 국수 맛을 칭찬한 기록이 남아있다. 닝샤의 포도는 술을 빚는 용도보다는 생식하거나 건포도를 만들어 먹는 경우가 더 많다.

2020년부로 시진핑 정권에서 포도주 굴기를 외치며 닝샤 후이족 자치구에 포도주 산업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참고로 중국은 2021년 호주-중국 무역 분쟁 과정에서 호주산 와인 수입에 218%에 달하는 관세를 부가한 바 있는 만큼, 서방에서 수입하는 와인을 자국산으로 대체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그동안 중국 동부에서 주로 생산되는 중국산 와인은 맛이 없는 것으로 악명 높아서 자국민에게도 외면받던 상황이었다.# 특히 아직까지 중국에서는 맛보다는 사회적 신분 상승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비싼 서방산 와인을 마시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중국산 포도주를 찾을 이유가 없었다.[5] 그러나 닝샤의 포도는 전근대 중국에서 특산품으로 유명했기 때문에, 닝샤 포도로 포도주를 만들면 나름 브랜드 가치도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닝샤를 포도주의 주 생산 기지로 육성하게 되었다. 정작 후이족들은 무슬림[6]이지만 포도주 굴기를 시작했을 당시 신장 재교육 캠프 문제로 분위기가 살벌했던 것도 있어서 큰 반발 없이 넘어갔다.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류판산은 몽골의 컨티산맥과 더불어 칭기즈 칸의 무덤이 자리한 곳[7]으로 추정되고 있어 몽골계 중국인들에게 성지로 여겨지기도 한다. 쓰촨성 출신 쑨궈여우(孙国友,손국우)는 인촨시 링우시 마자탄 근처 사막에 18,000에이커 정도 나무를 심고 농장도 만들어 사막화방지에 공을 들이고 있다. #

3. 역사

파일:서하 중국.jpg
서하 황릉의 봉분

파일:중국 이슬람.jpg
명나라 초엽 지어진 모스크인 동심청진사(同心清真寺). 닝샤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모스크로, 퉁신현(동심현)에 위치해 있다.

서하의 수도 흥경부가 닝샤 자치구의 성도 인촨에 위치했던 만큼 이 지역은 서하의 중심지였다. 그러나 서하가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했고, 서하를 건국한 민족인 탕구트인들은 몽골인들에게 일종의 제노사이드를 당해 멸족되었다.[8] 서하인들의 빈자리는 쿠빌라이가 둔전을 실시하면서 이주해온 몽골족과 후이족, 서북 출신 한족, 위구르인과 페르시아인을 비롯한 여러 민족들이 살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간쑤성의 일부였으나 중화민국 시기인 1929년에 내몽골 지역에 새북 4성[9]이 신설되면서 내몽골 서부와 간쑤성의 현들이 합쳐져서 닝샤성(영하성)이 생겼다.

오늘날에 우중 시에 해당하는 금적보를 중심으로 회족들의 상업 공동체가 번성하고 1862년 회민반란 당시 섬서성 내 회족들 상당수가 이 지역으로 피신하면서[10] 회족 비율이 늘어나면서 현재와 같은 회족들의 중심지로 변모했다. 군벌 마훙쿠이가 이곳의 지배자로 군림하면서 칭하이성마부팡, 간쑤성마훙빈과 함께 서북삼마로 꼽혔다. 장제스의 북벌로 군벌은 이후 대부분 항복해 중화민국의 통치권 내로 들어왔다. 국공내전 이후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 체제 하에서 1954년 간쑤성과 내몽골 자치구에 합병되어 폐지되었으나 1958년 간쑤성에 합병된 지역만 회족 자치구로 부활했다.

4.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e1c25>
파일:중국 국장.svg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5
현급행정구
시할구 9, 현급시 2, 11
인촨시
성도
银川市
진펑구
金凤区
싱칭구
兴庆区
시샤구
西夏区
링우시
灵武市
융닝현
永宁县
허란현
贺兰县
스쭈이산시
石嘴山市
다우커우구
大武口区
후이눙구
惠农区
핑뤄현
平罗县
우중시
吴忠市
리퉁구
利通区
훙쓰부구
红寺堡区
칭퉁샤시
青铜峡市
옌츠현
盐池县
퉁신현
同心县
구위안시
固原市
위안저우구
原州区
시지현
西吉县
룽더현
隆德县
징위안현
泾源县
펑양현
彭阳县
중웨이시
中卫市
사포터우구
沙坡头区
중닝현
中宁县
하이위안현
海原县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ngxia-map.png
출처:#

총 5개의 지급 행정구역이 있다.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각 지급시의 인구
인촨1,993,088 명
구위안1,228,156 명
스쭈이산725,482 명
우중 시1,273,792 명
중웨이1,080,832 명

5. 역대 영도인

파일:중국 국장.svg
닝샤 후이족 자치구 영도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주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닝샤성 인민정부 주석
초대 제2대
판즈리 싱자오탕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민위원회 주석
초대 제2대
류거핑 양징런
닝샤 후이족 자치구 혁명위원회 주임
초대 제2대
캉젠민 훠스롄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민정부 주석
초대 제2대 제3대
마신 헤이보리 바리천
제4대 제5대 제6대
마츠지 왕정웨이 류후이
제7대 제8대
셴후이 장위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초대 제2대 제3대
보즈리 주민 리징린
제4대 제5대 제6대
왕펑 양징런 캉젠민
제7대 제8대 제9대
훠스롄 리쉐즈 선다런
제10대 제11대 제12대
황황 마오루바이 천젠궈
제13대 제14대 제15대
장이 리젠화 스타이펑
제16대 제16대
천룬얼 량옌순 }}}}}}}}}}}}}}}



[1] 경상도의 2배 정도 되는 면적이며, 중국의 자치구 중 가장 작다.[2] 증권시보[3] 칭기즈 칸의 몽골에게 멸망했던 서하의 '하'와 같다.[4] 간쑤 성 린샤 시는 후이족 비율이 50~60%로 더 높아서 중국의 작은 메카라는 별칭이 있다.[5] 중국만 그런 것은 아니고 거품 경제 시절 일본에서도 비싼 프랑스산 와인을 싹쓸이 하듯이 대량으로 사들였다.[6] 쿠란에서는 술, 그중에서도 특히 포도주(키므르)를 금기시한다. 하디스에서는 기장으로 빚은 곡주를 금기시하는 내용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포도주 관련한 금기가 가장 많이 언급된다.[7] 중국에서는 류판산을, 몽골에서는 컨티산맥을 칭기즈 칸의 무덤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하고 있다.[8] 칭기즈 칸이 서하를 원정하던 도중 죽으면서 서하인을 단 한명도 남기지 마라는 유언을 남겼고, 아들인 오고타이가 유언을 충실히 받들었다.[9] 요새(만리장성) 북쪽에 있는 4개 성이라는 뜻으로, 닝샤성, 쑤이위안성, 차하얼성, 러허성의 4개 성을 지칭한다. 차하얼성과 러허성은 1928년에, 닝샤성과 쑤이위안성은 1929년에 설치되었다.[10] 섬서성 내 수백만여 명에 달했던 회족 인구는 1862년 회민반란과 뒤이은 1880년대 대기근으로 수만명 수준으로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