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6 21:06:54

대왕판교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55b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55b7>
파일:성남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fff,#191919> 가마절로 · 고등공원로 · 고등로 · 공원로 · 금토로
남한산성로 · 남문로 · 내동로 · 논골로
단대로 · 달래내로 · 대왕판교로 · 동판교로 · 둔토로 · 등자로
모란로
복정로 · 복정안골로 · 분당내곡로 · 분당수서로
사송로 · 설개로 · 수정남로 · 수정로 · 수정북로 · 시민로 · 신촌남로 · 신촌로 · 심곡로
양지로 · 엄뫼골로 · 연개내울로 · 옛골로 · 오야남로 · 오야로 · 오야북로 · 왕남로 · 위례광장로 · 위례동로 · 위례서로 · 위례서일로 · 위례순환로 · 위례중앙로 · 위례창곡천로 · 위례한빛로
적푸리로 · 제일로
창업로 · 청계산로
탄리로 · 탄천대교로 · 탄천로 · 태평로
헌릉로 · 희망로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55b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55b7>
파일:성남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fff,#191919> 고기로 · 구미로 · 궁내로 · 금곡로
내정로 · 느티로
대왕판교로 · 돌마로 · 동원로 · 동원북로 · 동판교로 · 두밀로
매화로 · 모두마니로 · 무지개로 · 문정로 · 미금로 · 미금일로
발이봉남로 · 발이봉로 · 발이봉북로 · 방아로 · 백현로 · 벌말로 · 벌장투리로 · 분당내곡로 · 분당로 · 분당수서로 · 불곡남로 · 불곡로 · 불곡북로 · 불정로
산운로 · 새나리로 · 새마을로 · 서판교로 · 서현로 · 석운로 · 선지봉로 · 쇳골로 · 쇳골북로 · 수내로 · 신수로
안골로 · 안양판교로 · 야탑로 · 양현로 · 여수공원로 · 연꽃로 · 예원로 · 운중로 · 이매로
장미로 · 장안로 · 중앙공원로 · 정자로 · 정자일로
탄천로 · 탄천상로
판교공원로 · 판교대장로 · 판교로 · 판교백현로 · 판교역로 · 판교원로
하오개로 · 황새울로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대왕판교로
大旺板橋路/ Daewangpangyo-ro
{{{#!wiki style="margin: -16px -11px"← 신수로 (남) 밤고개로 (북) →}}}
천안 방면
신수로
서울 방면
밤고개로
대전 방면
서현로
안양 방면
안양판교로
노선 번호
[[23번 지방도|
23
]]
23번 지방도
[[57번 지방도|
57
]]
57번 지방도[1]
기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머내1교[A]
종점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 세곡3교[B]
연장
13.69km
관리기관
성남시
왕복 차로 수
8~10차로
주요 경유지
머내고가교 ↔ 금곡IC ↔ 백현고가교 ↔ 판교IC
시흥사거리 ↔ 세곡동사거리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머내1교[A]에서 출발하여 수정구 신촌동 세곡3교[B]에서 끝나는 총연장 13.69km의 도로. 전 구간이 23번 지방도의 일부이며, 일부 구간은 57번 지방도로도 지정돼 있다.

도로명은 신촌동·고등동·시흥동 일대의 광주군 시절 행정구역인 대왕면(大旺面)과, 이 도로가 경유하는 주요 지역인 판교에서 따왔다. '대왕면'이라는 지명은 역사성이 큰데, 위례성의 역사와 관계가 있다.# 이 일대는 탄천변의 널찍판 평야 지역을 끼고 있는 곳으로, 위례성 지역을 중심으로 약 500년간 번성했던 백제가 가지고 있던 곳이었으나 삼국시대 당시부터 고구려와 백제가 호시탐탐 노리는 곳이었다. 474년 고구려 장수왕이 이 일대를 점령하고, 백제가 이후 551년 신라와 나제동맹을 결성하여 고구려를 퇴각시키는 데에는 성공하였으나 위례를 다시 점령하는 것에는 실패한다.

이렇듯 세 나라의 임금들이 그토록 점령하고 싶어했던 땅이라는 점에서 착안해 이 일대 지역을 과거부터 대왕평(大王平)이라 불렀고, 조선시대 들어 지금의 헌인릉이 묻히기도 한 이 지역의 정기로 조선 왕실도 창성하기를 염원하며 창성할 왕(旺)자로 변경돼, 이후부터 대왕(大旺)으로 기록되어 왔다. 이후 광주군 대왕면으로 존속하다가 지금의 송파 지역과 강남 지역이 서울로 편입되고, 성남시가 만들어지고 분구하는 등 행정구역 조정이 이루어지며 대왕면이라는 이름은 사라졌다. 그렇지만 이 도로 이름이나 대왕판교IC 등의 시설에서 흔적이 남아 있다.

2. 구간

배경색이 인 교차로는 입체교차로이다.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23)] 밤고개로 직결 (강남, 수서역, 세곡동사거리 방면)
세곡3교(세곡천)
신촌로
신촌동 방면
<colbgcolor=#c8c8c8> (명칭 없음)
오야로
오야동, 신촌동주민센터 방면
(명칭 없음)
심곡로
심곡동, 효성고교 방면
서울공항정문사거리[C]
서울공항정문사거리[C] 제15특수임무비행단 방면
공군아파트 방면 (명칭 없음)
우정아파트 방면 (명칭 없음)
(명칭 없음) 제15특수임무비행단 제2정문 방면
등자로
등자리마을 방면
(명칭 없음)
(명칭 없음) 한성대 체력단련장 제2정문 방면
고등로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71)] 고등IC, 고등동 방면
토끼마당삼거리
고등교 (상적천)
청계산로
상적동,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71)] 고등IC, 고등동 방면
고등삼거리
분당내곡로
강남, 구룡터널, 내곡동 방면
시흥사거리 여수대로
이천, 성남시청,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00)] 성남IC, 야탑동 방면
농심남부물류센터 방면 (명칭 없음)
대왕판교로851번길
국가기록원 성남분원, 한국국제협력단 방면
세종연구소앞삼거리
창업로
판교제2테크노밸리, 금토동 방면
(명칭 없음)
달래내로
판교제2테크노밸리,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 대왕판교IC 방면
금토동삼거리
화랑지하차도 진출입[8]
판교로
안양, 서판교, 판교원마을 방면
판교테크노중앙사거리 판교로
이매동, 판교테크노밸리,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10)] 동판교IC 방면
대왕판교로645번길
판교수질복원센터, 판교환경생태학습원 방면
판교테크노2사거리 대왕판교로644번길
삼평중교, 봇들마을 방면
쌍룡교 (운중천)
화랑공원삼거리 대왕판교로606번길
봇들마을, 판교역 방면
화랑교 (운중천)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 경부고속도로 (판교IC)
서울,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00)] 판교JC 방면
(명칭 없음)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57)] 서현로
모현, 분당구청, 서현역 방면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 경부고속도로 (판교IC)
대전, 천안, 수원 방면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57)] 판교IC
동원 방면 진출만 가능
낙원지하차도 진출입[9]
운중로
운중동, 판교원마을, 판교도서관 방면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57)] 낙생고삼거리
낙원교 (운중천)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57)] 안양판교로
안양, 의왕,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71)] 서판교IC, 운중동 방면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57)] 백현1교차로
백현고가교
백현로
정자동, 수내동, 수내역, 한국잡월드 방면
대왕판교로385번길
성남외고, 한국외국인학교 방면
(명칭 없음)
궁내로8번길·궁내로40번길
궁안마을 방면
(명칭 없음)
궁내로
한국기계전자시험연구원, 궁안마을 방면
(명칭 없음)
(명칭 없음)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센터 방면
쇳골로
쇳골마을 방면
(명칭 없음)
보바스기념병원, 더헤리티지 방면 (명칭 없음)
금곡동매립장 방면 (명칭 없음)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334)] 동막로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71)] 서분당IC, 대장동, 고기동 방면
금곡IC 돌마로
미금역, 분당수서로 방면
동원로
동원동 방면
(명칭 없음)
머내고가교
머내1교 (동막천)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23)] 신수로 직결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 수원신갈IC, 풍덕천동, 동천역 방면)

3. 특징

성남 내에서도 차량 이용량이 손에 꼽을 정도로 많은 도로이다. 나란히 달리는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 뺨치는 수준일 정도. 그렇다 보니 일반 도로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너비를 자랑하지만 이 넓은 도로가 출퇴근 시간에는 막힌다. 하지만 연동신호도 잘 설계되어 있고, 일부 구간은 고가도로 및 지하차도로 스킵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출퇴근 시간을 벗어난 시간대에는 고속도로 수준의 표정속도를 낼 수 있다.

이 도로변에 서울공항으로 유명한 제15특수임무비행단이 자리해 있다. 그래서 로드뷰 등을 통해 기점부터 종점까지 종주하다 보면 시흥사거리를 지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주변에 엄청나게 모자이크가 많다.

제한속도는 안전속도 5030 정책으로 서울시 구간 50km/h, 성남시 구간 60km/h로 지정되었다. 초창기 제한속도는 서울시 60km/h, 성남시 60~70km/h로 추정되며, 1999년 4월 30일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개정 이후 2002년, 서울시 구간은 70km/h, 성남시 구간은 80km/h로 상향되었다. 그러다 2018년 상반기에 안전속도 5030 시범 운영으로 성남시 구간이 70km/h로 하향되면서 전 구간이 70km/h로 통일되었고, 2020년 5~7월 사이 아스팔트 재포장 공사와 함께 제한속도 도로노면표시와 표지판이 50km/h로 교체되었다. 가을에 성남시 구간도 60km/h로 하향되며 지금에 이른다.

4. 대중교통

4.1. 주요 버스 노선

4.1.1. 서울특별시

4.1.2. 경기도 광주시

4.1.3. 경기도 성남시

4.1.4. 경기도 수원시

4.1.5. 경기도 용인시

4.1.6. 경기도 하남시

4.1.7. 경기도 화성시




[1] 백현1교차로~판교IC교차로[A] 실질적 기점은 구미동 동천고가차도교차로.[B] 실질적 종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 세곡동사거리.[A] [B] [C] 이름은 사거리지만, 실제로는 심곡로 방면 교차로와 제15전투비행단 진입 교차로가 각각 따로 분리돼 있다.[C] [8] 여기서 진입할 경우 낙원지하차도를 거쳐 낙생고삼거리까지는 중간에 진출이 불가능하다.[9] 여기서 진입할 경우 판교IC 교차로에서만 진출할 수 있고, 여기서 진출하지 않으면 화랑지하차도로 직결돼 금토동삼거리까지는 중간에 진출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