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7 19:42:50

대한애국부인회

대한민국의 민족주의·보수정당
(창당) 대한독립촉성
애국부인회
대한독립촉성
애국부인회
(당명 변경)
대한독립촉성
국민회
(개별 합류)
대한독립촉성
애국부인회
(당명 변경)
독립촉성
애국부인회
대한애국부인회
(당명 변경)
독립촉성
중앙부인단
(합당)
한국애국부인회
(합당)
대한독립촉성
애국부인회
(당명 변경)
대한애국부인회 대한부인회
(합당)
대한애국부인회
(합당)
대한부인회 (해산)
서울시부녀회
(합당)
파일:대한애국부인회-한문-로고.svg
파일:대한애국부인회 글자.svg
대한애국부인회
공식명칭<colbgcolor=#fff,#1F2023>대한애국부인회 (大韓愛國婦人會)
약칭 독촉애부, 애국부인회
설립일/창당일1946년 4월 5일
해산일1949년 2월 24일 ,서울시부녀회와 통합하여 대한부인회로 재조직,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이념보수주의, 민족주의

1. 개요2. 역사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여성단체이자 정당이였다.

2. 역사

1946년 4월에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산하로 만들어진 우익 성향의 여성 조직이다. 대한독립촉성애국부인회로 만들어졌으며 이후 당명을 독립촉성애국부인회로 바꾸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를 만들어질 때,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중 조직 개편을 진행했는데, 독립촉성중앙부인단[1]과 한국애국부인회[2]가 통합하여 1946년 4월 5일 독립촉성애국부인회를 결성하였다.

독립촉성애국부인회는 초대 지도부로 박승호, 부위원장으로 황기성과 박순천이 되었으며 전국부녀단체대표자대회를 개최하고 신탁통치 반대운동 이후 이승만의 입장을 따르면서 단독정부 수립운동에 힘을 기울였다.

유각경, 박순천, 임영신, 김활란, 박마리아, 최이권, 모윤숙, 박은혜 등이 주요 인물들이었으며, 제헌의회에 진출하고자 5·10선거에 참여하였고, 공사창제 폐지운동과 한글 강습, 미신 타파, 생활 간소화 등의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에 대한애국부인회로 이름을 바꾸었고 1949년 서울시부녀회와 통합하여 대한부인회로 통합하였다.

3. 둘러보기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
대한제국 ~ 미군정
(1897 ~ 194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공산정당 조선의 붕당
황국협회 독립협회
신민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의열단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한국독립당 대한인국민회
한국혁명당 한국독립당 대한인동지회 흥사단
신한독립당 신간회
민족혁명당 한국국민당 흥업구락부 수양동우회
경성 콤그룹 조선건국동맹 조선민족혁명당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전국평의회 건국준비위원회 조선독립동맹 한국독립당 독립촉성중앙협의회 조선민족당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한국민주당 <colbgcolor=#f00000> 조선민주당
독립노농당 남조선로동당 대동청년단 조선민족청년단 청년조선총동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서북청년회
남조선로동당 사회노동당
근로인민당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남로당파)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연안파) 보수정당 / 민주당계 / 진보정당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제1공화국 ~ 제4공화국
(1948 ~ 1981)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정부수립 이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조선민족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노농당 일민구락부 대한청년단
대한국민당 통일노농당
대한국민당 원내자유당 원외자유당
자유당
노농당 자유당 헌정동지회
민족주의민주사회당
한국사회당
강제 해산 (5.16 군사정변)
한국독립당 재건당 국민의당으로 합류 정민회
민주공화당 정의당
신민당에 합당됨 유신정우회 정당 해산
강제 해산 (5.17 내란)
제4공화국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

''' 1946.12.12. ~ 1948.5.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20%, #000 80%, #000);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181818"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7인 · 2인
13인 · 1인
4인 · 5인
0인 · 6인
민중동맹
0인 · 5인
0인 · 5인
0인 · 3인
사회민주당
0인 · 2인
0인 · 2인
인민위원회
2인 · 0인
기타정당
0인 · 6인
종교계
0인 · 5인
무소속
9인 · 3인
재적
90인(45인 · 45인)
좌측은 민선 (45인) 의석 수, 우측은 관선 (45인) 의석 수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1] 우익 성향 여성운동 지도자들이 더욱 조직적이며 강력한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전개하고자 1946년 1월 10일 조직[2] 1945년 8월 17일 좌우연합체 건국부녀동맹에서 탈퇴한 우익 여성운동가들이 같은 해 9월 10일 결성한 단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