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3 05:21:30

디즈(악기)


관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ecd8aa,#aa672a> 목관악기 동양의 목관악기
대한민국 당적 · 대금 · 중금 · 소금
단소 · 퉁소 · 봉소 · 배소 · · 피리 · 태평소
기타 생황 ·
북한 대피리 · 저피리 · 장새납
중국/대만 디즈 · · · 호로사
일본 시노부에 · 샤쿠하치
몽골 림베 · 초르 · 에웨르 부레
서양의 목관악기
플루트 플루트 · 피콜로 · 피페 · 트라베르소 · 팬플룻
클라리넷 클라리넷 · A♭클라리넷 · E♭클라리넷 · B♭클라리넷 · A 클라리넷 · 베이스 클라리넷
오보에/바순 오보에 · 오보에 다모레 · 잉글리시 호른 · 바순 · 콘트라바순
색소폰 색소폰 · 소프라노 색소폰 · 알토 색소폰 · 테너 색소폰 · 바리톤 색소폰
기타 리코더 · 오카리나 · 백파이프 · 틴 휘슬 · 두둑 · 디저리두
금관​악기
동양 나발
서양 호른 · 트럼펫 · 트롬본 · 코넷 · 플루겔혼 · 튜바 · 유포니움 · 세르팡
타관​악기
동양 떠릉
서양 오르간(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호루라기
프리 리드
멜로디카 · 하모니카
미분류 카주 · 윈드 컨트롤러
}}}}}}}}}


파일:중국 디즈.jpg

1. 개요2. 상세3. 역사4. 종류

1. 개요

중국의 유명 디즈 연주자 孟晓洁(Jae Meng)의 디즈 연주.[1]

중국의 전통 관악기.

중국 현지에서는 웬만한 서양악기를 능가하는 인지도와 인기로 매우 대중적인 악기이다. 외국인들이 중국 음악 하면 떠올리는 스테레오 타입상 선율은 얼후와 디즈의 선율인 경우가 많다.

한반도에도 오래 전 당적이라는 이름으로 전래된 적이 있으나, 소금에 밀려 현재는 도태되었다.

2. 상세

영어로는 중국어 음역을 따서 dizi라고 한다.[2] 또한 지금까지 발견된 악기 중 가장 오래된 한족의 악기이자 한족의 특색이 가장 많이 묻은 관악기이기도 하다.

중국민간음악, 시취(戏曲-중국 전통극), 중국민족악단, 서양교향곡과 현대음악에 널리 사용한다. 보통 중국의 민족악단에서 아주 중요하므로 ‘민족음악의 왕(民乐之王)’이라고도 불린다. 대부분 대나무로 제작하는데 돌, 옥, 홍목으로 만들기도 하고 고대에는 뼈로 만들기도 했다. 이중 대나무로 만든 소리가 가장 좋고 원가도 싸기 때문에 여전히 대나무를 애용한다. 한 가지 더 특징이 있다면, 악기의 양 옆을 옥이나 물소의 뿔로 깎은 마개로 마감한다는 것이다. 이는 대나무 끝쪽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 및 미관적인 이유, 그리고 마개의 구멍 크기로 악기를 최종 조율하기 위한 용도다. 물론 저가형 악기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서 끼운다. 이래저래 만들기 쉽고 휴대하기도 쉽기 때문에 중국인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 있다.

중국 각 지역마다 조금식 다른 다양한 디즈가 전한다. 청공에 울림막을 붙인다는 점이나 악기 형태, 주법으로 보아 대금과 비슷하다.[3] 대나무의 속 마디를 없애고 취공, 청공, 지공(손가락으로 막는 그 부분), 하단의 칠성공, 조음공, 기음공을 내어 소리를 낸다.

대부분 디즈는 대나무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때때로 중국 대나무 피리' 같은 간단한 이름으로 알려지기도 한다. 그러나 '중국 피리'는 엄연히 말하면 틀린 표현이다. 비유하자면 플루트를 '서양의 목관 플룻'으로 해석하는 것과 비슷하므로 정식 명칭은 '디즈'이다.[4]

디즈는 중국의 각 지역마다 형태와 소리, 재료가 다르다. 중국 북부지역은 보라색 또는 보라색 대나무로 만든 반면 쑤저우항저우에서 만든 디즈는 흰색 대나무로 만든다. 지우차우와 같은 중국 남부 지역에서 생산되는 디즈는 매우 가늘고 가볍다. 또한 밝은색 대나무로 만들고 다른 지역의 디즈에 비하여 음색이 훨씬 낮고 조용하다. 다만 요즘은 전국적으로 지역색보다는 각자 취향이나 용도에 맞게 고르는 편으로 악기별로 지역색이 딱히 강하다고 할 수 없다.

3. 역사

파일:가호골적1.jpg
파일:가호골적2.jpg
중국에서 발굴된, 기원전 6천-5천 년쯤에 만든 신석기 유물 가호골적(贾湖骨笛 가호 뼈 피리)이 디즈의 직접적인 조상이라고 추정한다.[5]

기록상으로는 사기에 등장한 것이 처음이다. 사기에는 대나무의 자생지에서 대나무를 깎아 만들었더니 봉황의 울음소리와 같았다는 기록이 있다.

시간이 지난 후부터는 횡취라고도 불렸고, 청공이 발달하는 등 발전이 있었다.

소리를 내는 방법, 지공의 수와 칠성공의 존재 등 한국의 대금이나 소금, 일본의 시노부에(篠笛)[6] 등 아시아권 횡적 악기들의 조상으로 추정한다. 특히 한국 대금의 청과 똑같은 재료로 청을 만들어 대금처럼 청공에 붙이고 청의 떨림으로 맑은 소리를 내는 악기이기 때문에 대금의 직계 조상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다만 모양새만으로 디즈가 전세계적으로 중국만의 고유 악기라고 할 수는 없다. 유럽이나 인도 등지의 전통적인 횡적 악기들은 디즈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멀리 갈 것도 없이 현행 플루트의 옛 모습인 바로크 플루트는 취구 하나, 지공 6개로 디즈와 구성이 같다.

디즈가 다른 나라 전통 관악기와 특별히 다른 점은 바로 청이다. 갈대 속살로 만든 얇은 막인 은 디즈 음색의 알파이자 오메가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청을 디모(笛摸)라고 부른다.

4. 종류

디즈는 연주법이 풍부할 뿐 아니라 종류와 형태도 다양하다. 취디(曲笛), 방디(梆笛), 딩땨오디(定调笛), 위핑디(玉屏笛), 칠콩디(七孔笛), 십일콩디(十一孔笛) 따위가 있고 소리의 느낌도 서로 다르다. 크게는 남부지역 디즈와 북부지역 디즈로 나눈다.

취디(曲笛)는 쑤저우(苏州)에서 많이 생산된다 해서 '쑤디(苏笛)'라고도 불린다. D调(조), C调, B调로 나뉘는데 관의 몸통이 굵고 길며, 다헝췌이(大横吹)로부터 전해졌음을 추측할 수 있다. 소리가 낮고 우렁차며 부드럽기까지 하다. 주로 중국의 남방 각지에서 유행했는데 독주와 합주에 가장 적합하다.

방디(梆笛)는 방즈전통극(梆子戏曲) 반주를 한다고 붙은 명칭이다. 디즈는 주로 F조방디, G조방디, A조방디로 나뉜다. 몸통이 가늘고 짧아서 샤오헝췌(小横吹)로부터 전해졌다고 추측한다. 소리가 높고 낭랑하며, 주로 높은 음을 부는 디즈의 한 종류다. 대부분 북방의 췌거회이(吹歌会), 평극(评剧)와 방즈전통극(梆子戏曲)의 반주로 사용했지만 독주도 한다. 향토적인 느낌이 있다.

위핀디(玉屏笛)는 구이저우(贵州玉屏侗族) 자치현에서 현지 대나무(小水竹)로 제작한다. 몸통이 타원형인데 겉에 산, 물, 화초, 새, 곤충 또는 시문(诗文) 등을 정교하게 그렸다. 위핀디는 중국 전역에 분포하고 더 멀리 미국, 네덜란드, 독일, 일본, 한국, 싱가포르, 홍콩 등 여러 나라 지역에 수출한다. 하지만 제작하는 수공업자가 많이 없으므로 대량생산은 하지 못한다.
[1] 여기에 사용된 디즈의 키는 F키이며, 협주하는 악기는 중국 전통 태평소인 소나(Souna, 嗩吶, 쇄납).[2] 중국어 발음은 (tǐt͡sɨ). 이외에도 di(笛) 또는 zhudi(竹笛)라고도 한다. 대나무로 만들면 주디(竹笛), 목재로 만들면 무디(木笛).[3] 하지만 소리는 완전히 다르다고 봐도 된다. 대금은 장중하고 무게감이 있는 반면 디즈의 소리는 청아하고 화려하다. 전체적인 음역은 서양 플룻에 가깝다.[4] 현실적으로 디즈라는 이름이 중국 밖에서는 생소하므로 해외에 영문으로 소개할 때는 Chinese flute이라고 설명하곤 한다.[5] 1987년 뤄허시 우양현에서 출토. 황새의 척골(다리뼈)로 제작했다.[6] 시노부에는 특이하게도 칠성공이 지공 근처에 있고, 이를 막는 운지법이 존재한다. (사실 말이 칠성공이지 지공이 7개라고 봐도 무방) 다만 시노부에는 청공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