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
뮌헨 공과대학교 | 아헨 공과대학교 | 베를린 공과대학교 |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 |
| | | | ||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 라이프니츠 대학교 |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 }}}}}}}}} |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white><tablebgcolor=white>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회원 대학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ddd>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ablewidth=100%>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파일:École Centrale de Lille logo.png 에콜 상트랄 릴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라이프니츠 하노버 대학교 Gottfried Wilhelm Leibniz Universität Hannover | |
| |
<colbgcolor=#004188><colcolor=white> 국가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위치 | 니더작센주 하노버 |
분류 | 국립대학 |
개교 | 1831년 |
총장 | 폴커 에핑 (Prof. Dr. Volker Epping) |
학생 수 | 30,454명 |
연간예산 | 5억 4540만 유로 (한화 7천 4백억 원) |
교직원 수 | 5,071명 |
웹사이트 |
[clearfix]
1. 개요
독일 니더작센주의 주도 하노버에 위치한 국립 종합대학교이다. 라이프니츠 종합대학교는 9개 독일 공과대학교 연합인 TU9, 유럽 내 53개 공과대학교의 연합인 T.I.M.E. 등에 속해있다. 정식 명칭은 "Gottfried Wilhelm Leibniz Universität Hannover"이며 보통 "Leibniz Universität Hannover" 부른다.2020년 기준으로 노벨상 수상자 수는 3명이다.[1]
-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1931, 화학상
- 게하드 에르틀, 2007, 화학상
- 요하네스 한스 다니엘 엔젠, 1963, 물리학상
1.1. 학교규모
1987/88년 겨울학기에 하노버 대학교에 26,503명의 학생이 등록했으며 34.2%가 여성이었습니다. 처음으로 1990/91년 겨울학기에 재학생 수가 처음으로 3만명을 넘었다. 1995년에는 경제학, 법학 및 언어학부가 Königsworther Platz옆의 위치인 콘티넨탈 AG의 본사의 빌딩으로 이전했습니다. 약 20,000m²사용면적을 가졌으며, 현재 "Conti-Campus"로 여러 학부 및 대형 도서관과 학교식당(멘자)과 매점이 있으며 학교식당 옆에 학생들이 운영하는 카페가 위치해 앴다.1990년 이후 라이프니츠 하노버 대학은 1990년 이후 2만4천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 니더작센중에서 가장 큰 대학입니다. 현재 29,089명(2021/22년 겨울학기 기준). 현재 약 2,700명의 학자들을 포함하여 대략 5,000명이 직원이 하노버 대학교에 근무하고 있다. 9개 단과대학에 50개의 세부학과들이 있으며 다양한 150개의 이상의 연구기관들로 이루어져 있다.
2. 역사
2.1. 고등공업학교-공업전문학교-공과대학교
라이프니츠 하노버 대학교의 역사는 1831년으로 시작된다. 칼 카마쉬의 지도하에 하노버 고등공업학교를 설립되어 처음으로 64명의 학생들로 14개 학과로 교육을 시작했다. 수학, 건축, 기계공학, 자연사, 물리, 화학, 기술, 그림, 공예, 회계로 구성되었으며, 또한 준비과정을 위한 수학을 이수할 수 있었다.6년 후 하노버 도심의 게오르그거리(Georgstraße)에 새로운 건축된 건물로 이동했으며, 현재의 크룁케센터(Kröpcke-Centers)에 위치하였다. 1840년대 초 철도공사의 시작과 함께 성장을 했다. 1844년에는 280명의 학생들이 수학하였다. 이후 1847년에 공업전문학교로서 명명되어 졌으며, 1853년까지 3배 정도의 학과과정이 증가되었다. 1854/55년에는 그 당시 독일에서 처음으로 현대화된 화학실험실들을 갖추었다.
3. 학부
고트프리드 윌헬름 라이프니츠 하노버 대학은 현재 9개의 단과대학과 3개의 학교으로 구성되어 85개의 학과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1/22년 겨울학기 기준) [2]- 건축학, 조경학
- 토목공학, 측량학
- 전기, 컴퓨터공학
- 법학
- 기계공학
- 수학, 물리학
- 자연과학
- 철학
- 경제학
4. 캠퍼스
- 웰펜가르텐(Campusbereich Welfengarten)[3]- 콘티-캠퍼스(Conti-Campus in Königsworther Platz)
- 슈나이더베르그(Campusbereich Schneiderberg)
- 헨렌하우젠(Campusbereich Herrenhausen)
- 기계공학 갑센(Campus Maschinenbau Garb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