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00:18:19

러기드 작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36349> 1
9
5
0
북한군의 남침
<colbgcolor=#777,#222><colcolor=#FFF>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갈곶리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 화령장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 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
9
5
1
1월 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3.14 서울 재수복)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
9
5
2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
9
5
3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한국군•유엔군의 승리
※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1. 개요2. 전개

1. 개요

러기드 작전(Operation Rugged)은 6.25 전쟁 당시 유엔군사령부가 캔자스 라인(Kansas Line)으로 지정된 삼팔선 이북으로 진격하기 위해 수행한 군사 작전이다. 이 작전은 진격의 첫 번째 단계로, 곧바로 이어서 유엔군이 삼팔선 북쪽 10마일(16km)에서 20마일(32km) 떨어진 와이오밍 라인(Wyoming Line)까지 진격하는 '돈트리스 작전'(Operation Dauntless)이 성공했다. 이 작전은 유엔군의 승리로 이어졌다.

2. 전개

이 진격의 첫 번째 단계는 공단을 향한 진격을 계속하고 적의 공격 준비가 분명한 상황에서 방어 진지를 구축하기 위한 거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대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선택된 거점인 캔자스 라인은 서쪽의 임진강 하류를 따라 이어졌다. 임진강 동쪽에서 화천 저수지까지 이 선은 철의 삼각지대를 가로질러 38도선 위 2마일(3.2km)에서 6마일(9.7km)에 걸쳐 놓여 있었다. 저수지의 낮은 해안선을 따라 약간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북위 38도선 위 10마일(16km) 깊이까지 갔다가 남동쪽으로 해안 양양 지역으로 떨어졌다. 러기드 작전으로 명명된 캔자스 선으로의 진격에서 미 제1군단과 제9군단은 임진강과 화천 저수지 서쪽 가장자리 사이의 전선 구간을 점령해야 했다. 동쪽으로는 저수지 기슭을 따라 소양강 계곡의 24번 국도에 이르는 구간을 미 X 군단이, 24번 국도와 양양 사이의 구간은 한국군 제3군단과 제1군단이 점령하기로 했다

리지웨이는 적군과의 접촉을 유지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다시 회복하기 위해 각 군단이 준비를 마치는 대로 캔자스 선을 향해 출발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 결과 러기드 작전은 4월 2일부터 5일까지 시차를 두고 본격적인 진격이 시작되었다. 4월 3일, 리지웨이는 맥아더에게 작전 계획을 보고했다. 맥아더는 러기드 작전과 돈트리스 작전 개념에 동의했으며, 특히 리지웨이가 캔자스 라인을 사수하기 위해 강력한 노력을 기울일 것을 촉구했다. 동시에 맥아더는 이 두 작전이 3월 초에 예측했던 '이론적 교착 상태'로 전선을 옮길 수 있다고 믿었다. 리지웨이의 부대가 캔자스-와이오밍 목표에 도달하자 맥아더는 유엔군의 작전을 대대급 이상의 정찰 및 전투 순찰로 제한하려고 했다.

리지웨이 장군은 제9군단의 왼쪽에서 작전 중이던 미 제24보병사단의 통제권을 프랭크 W. 밀번 장군이 지휘하는 제1군단으로 넘기기 위해 제1군단의 구역을 동쪽으로 확장했다. 밀번의 부대가 임진강변에서 버티고 있는 동안, 제1군단 구역의 동쪽 절반에 있던 제24보병사단과 제25보병사단은 4월 3일 오전 3번 국도 양쪽에서 북쪽으로 공격했다. 도로 동쪽의 제24사단은 용평강 계곡을 따라 이동했고, 왼쪽의 제5보병연대는 3번 국도와 접한 관음산 일대로 진격했으며, 제21보병연대는 우군단 경계 바로 안쪽의 쿵망산을 향해 공격했다. 3번 국도 서쪽에서 제25사단 제27보병연대와 제35보병연대는 용평강과 그보다 북쪽으로 뻗은 한탄강 사이 고지를 향해 진격했다.

25사단은 흩어져 있던 인민지원군(PVA) 제26군을 사격과 때때로 공격으로 밀어내고 몇 차례 가벼운 반격으로 반격하면서 4월 5일 한탄강이 내려다보이는 고지대를 점령했다. 24사단에 대한 저항은 4월 4일 제21보병 제2대대가 쿵망산 서쪽 경사면에서 철조망과 대인 지뢰 뒤에 파고든 강력한 인민군 제40군 부대의 사격을 받고 멈춰선 맨 오른쪽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었다. 대대는 4월 5일 아침 공습과 포격으로 진지를 약화시킨 후 마침내 진지를 확보했다. 제5보병사단은 같은 날 관음산 고지를 점령했고, 쿵망 전투로 지친 제21보병사단은 4월 6일 캔자스 라인에 도달했다.

영국 제9군단의 좌측 갑용강 계곡을 따라 인접한 영국 제27여단은 쿵망산에서 쏟아지는 PVA 포격으로 제21보병이 그 진지를 축소할 때까지 저지당했고, 영국군은 4월 6일 캔자스 라인까지 무방비 상태로 진격했다. 한국군 제6보병사단은 같은 날 캔자스 목표에 도달하여 IX 군단의 중앙 지역에서 흩어진 PVA를 제거했다. 제1기병사단이 푸칸강을 따라 진격하는 군단 우측에서는 제7해병연대가 강 서쪽으로 쉽게 이동했지만, 푸칸 동쪽의 거의 도로가 없는 단절된 지형을 통해 공격하는 제7기병연대와 제8기병연대는 PVA 제39군의 강력한 지연군으로 인해 속도가 느려졌다. 4월 6일, 두 기병 연대는 화천 저수지에 인접한 캔자스 라인 목표까지 약 3마일(4.8km)이 부족했다.

댐은 저수지의 북서쪽 모서리에 서 있었고, 방수로는 북쪽으로 기울어져 깊고 좁은 협곡으로 이어졌으며, 그 지점에서 푸칸 강이 북쪽으로 흐르다가 서쪽과 남쪽으로 돌아 말굽 모양의 고리를 형성했다. 이 구조물은 두 개의 좁은 산등성이 반도에 접해 있는데, 하나는 동쪽의 저수지로 남쪽으로 튀어나와 있고 다른 하나는 서쪽의 푸칸 강 고리에 위치해 있다. 댐으로 가는 유일한 육로였던 서쪽 반도는 IX 군단 오른쪽의 캔자스 라인 너머로 돌출되어 있었고, 댐 자체는 X 군단 왼쪽의 캔자스 라인 위에 자리 잡고 있었다. 리지웨이는 두 군단 사이의 경계를 동쪽으로 이동하여 접근로와 목표를 모두 IX 군단 구역에 배치하고 군단장 윌리엄 M. 호그 장군에게 댐을 점령하라고 지시했다. 저수지 수위가 최대 수위보다 훨씬 낮았기 때문에 리지웨이는 댐 점령에 긴급성을 부여하지 않았고, 와이오밍 라인을 조정하여 댐을 러기드가 아닌 돈트리스 작전의 목표로 삼았다. 돈트리스 작전의 목표인 댐 점령은 제1기병사단이 캔자스 라인에 도달한 후 제1해병사단에게 맡겨질 예정이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