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31 02:33:32

화령장 전투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36349> 1
9
5
0
북한군의 남침
<colbgcolor=#777,#222><colcolor=#FFF>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갈곶리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 화령장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 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
9
5
1
1월 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
9
5
2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
9
5
3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한국군•유엔군의 승리
※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화령장 전투
시기 1950년 7월 17일~7월 21일
장소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일대
교전국 대한민국 북한
지휘관 제17연대장 중령 김희준
15사단 사단장 박성철
병력 2600여명 병력 규모 불명
피해 4명 전사600명 전사
포로 50명
결과 북한군 15사단 공격 저지

1. 개요2. 전투
2.1. 상곡리 전투2.2. 동관리 전투
3. 의의4. 기록5. 기념관

[clearfix]

1. 개요

1950년 7월 17일부터 7월 21일까지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일대에서 대한민국 국군육군 제17연대북한군 15사단 45연대, 48연대에 맞서 승전한 전투.

1950년 7월17일 상곡리 전투와 7월21일 동관리 전투로 나뉘어 진다.

2. 전투

2.1. 상곡리 전투

7월 17일, 제17연대 1대대는 송계 초등학교와 상곡리 일대에서 휴식을 취하는 북한군 제48연대 예하부대를 기습 공격하여 대승을 거둔다.

2.2. 동관리 전투

7월 19일 화령장에서 봉황산 동쪽 능선을 넘어 동관리 일대에는 17연대 2대대가 배치됐다. 이날 17연대 2대대는 북한군의 보급 수송대를 포착해 섬멸했으며 국군 제17연대 지휘부는 아군이 북한군 전령을 여러 차례 생포하고 보급 수송대도 공격한 만큼, 북한군이 작전이 노출되었다고 판단하여 공격계획을 변경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7월 21일 제17연대 2대대가 배치된 지역에 북한군 15사단 예하부대가 진입을 했고 매복 중이던 국군 제17연대 2대대는 북한군을 기습 공격해 356명을 사살하고 26명을 생포하였고 소총·박격포·기관총 등 노획한 화기류만 2.5톤 차량 3대에 가득 찰 정도의 대승이었다.

3. 의의

전투 결과 북한군은 상주 지역으로의 진출이 지연되었고 문경 지역에서 후퇴 중이던 국군 2군단 퇴로를 차단하려던 최초 계획에 차질을 빚게 되었다. 국군은 낙동강 방어선으로 철수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얻을 수 있었다.

4. 기록

제17연대는 연대장 비롯 전 장병 1계급 특진을 하였는데 이 1계급 특진은 건군 이래 국군의 두번째 전 장병 특진 기록이다.#

5. 기념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