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c4d41, #8a736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1px -11px" | <colbgcolor=#4a3e33> 요소 | 괴물 및 개체 · 아이템 · 오브젝트 · 방 · 맵 · 모드 · 대사 |
기타 | 팁 · 배지 · 업데이트 내역 · UGC · LSPLASH |
{{{#!wiki style="margin: -1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c4d41, #8a736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1px -11px" | <colbgcolor=#4a3e33> | 적대적 | 러쉬 · 앰부쉬 · 아이즈 · 티모시 · 잭 · 듀프 · 샐리 · 스크리치 · 하이드 · 드레드 · ㄹNIㅓ쉬Cg== · 애ROxㅁ부쉬 · 스크JVER리치 · 홀트 · 스네어 · 떨어진 샹들리에 · 피규어 · 시크 |
중립적 | 보이드 | ||
우호적 | 가이딩 라이트 · 큐리어스 라이트 · 글리치 · 제프 · 엘 고블리노· 밥 | ||
적대적 | 암흑 박쥐 · 알집 · 기글 · 폭발성 가스 · 물 · 판자 벽 · 바위 더미 · 석순 · 스크리치 더미 · 그럼블 · 여왕 그럼블 | ||
중립적 | 광산 수레 | ||
우호적 | 루이 | ||
The Rooms | 적대적 | A-60 · A-120 · A-90 | |
The Backdoor | 적대적 | 블리츠 · 룩맨 · 진공 · 헤이스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
가이딩 라이트 | 큐리어스 라이트 | 미스쳐비스 라이트 |
<colbgcolor=#2d2f34> 미스쳐비스 라이트 Mischievous Light[1][2] | |
<nopad>
| |
<colcolor=#fff> 등장 조건 | 타워히어로즈에서 피규어 보스전이 시작됨 |
등장 플로어 | 없음 |
공격 패턴 | 아래 참조 |
대미지 | 0 |
1. 개요
DOORS 및 Tower Heroes의 괴물, 미스쳐비스 라이트를 설명하는 문서.2. 특징
타워 히어로즈의 도어즈 맵에서 플레이어가 아닌 오히려 피규어를 돕는 등 완벽한 가이딩 라이트의 안티체제 포지션, 장난꾸러기 빛이라는 이름값을 제대로 하는 존재다.문양은 붉은색의 태양의 모습을 띈다. 이것은 푸른색의 달의 모습을 한 가이딩 라이트와는 정반대 된다.
다른 타워 히어로즈 오리지널 괴물들 중에서 이 존재는 도어즈에서 등장할 확률이 가장 높다.[3] 실제로 이 녀석을 테마로 한 트릭 오어 트릿 모드의 사탕이 다른 세 명의 건설자 사탕들과 동일하게 이미지가 고정되어 등장하거나,[4] 사탕의 문양이 모디파이어와 완전히 동일한 점, 그 사탕의 효과가 도움을 주는 다른 두 사탕과 달리 순전히 플레이어들을 놀려먹기 위한 효과인 점 등 그동안 천체에 표시된 3명의 건설자 중 하나로 추정되었으나 이젠 공식에서도 사실상 암묵적으로 이 녀석이 세번째 건설자라고 공식적으로 인정했다.[5], 어쩌면 큐리어스 라이트처럼 추후에 출시될 플로어의 숨겨진 공간에서 등장하거나 모드가 껴진 플로어에서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가이딩 라이트가 플로어 2의 카트 시크 추격전 때 직접 방향을 바꿔주지 않고 조금만 힌트를 주거나, 플레이어가 너무 못 찾으면 그제서야 빛을 직접 빛춰주는 등 왜인지 조금 부족하게 도와주는 걸로 보아서 가이딩 라이트, 큐리어스 라이트, 미스쳐비스 라이트들은 플레이어가 스스로 직접 시련을 이겨나가는 걸 바라며 이 때문에 가이딩, 큐리어스는 어느 정도 도움을, 미스처비스는 가이딩과 큐리어스가 도움을 줄 때 너무 쉬워지지 않게 약간의 방해를 해서 밸런스를 조절해주는 걸로 보인다.[6] 십자가로 피규어,시크,여왕그럼블을 봉인 실패하기 직전 빨간불빛이 미스쳐비스 라이트 일수도 있을 것 같다는 추측이 있다.
모드를 하나라도 낄 시 룸즈의 입구에서 붉은 결계가 생기는데 만약 이 결계가 미스쳐비스 라이트라고 가정한다면 미스쳐비스 라이트는 모드가 없을 때는 약하거나 존재하지 않지만 모드가 생김으로써 더 강해지게 되고 자신보다 강한 큐리어스 라이트가 있는 곳으로 플레이어가 갈 수 없도록 결계를 쳐서 막는 거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면 백도어에선 모드를 선택할 수 없는 이유가 설명된다.[7]
모드를 꼈을 때 60번 방의 그림에서 미스쳐비스 라이트의 문양 뿐만 아니라 가이딩 라이트의 문양까지 커지는 걸 볼 때 미스쳐비스가 세지자 가이딩 라이트가 그걸 막거나 버티기 위해 자신의 숨긴 힘을 좀 더 끌어다쓰는 걸로 추정할 수 있다. 게다가 모드를 마이너스만 쏙쏙 골라서 했을때 미스쳐비스 문양은 작아지고 가이딩의 문양은 커진다. 큐리어스 문양은 더 밝게 빛난다.
미스쳐비스 라이트가 인게임에서 제대로 등장한다면 문양의 형태를 생각해서 아마 모드를 끼거나 문고리 퍼센트가 일정량 이상일 때 사망 메시지로 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3. 여담
- 3명의 건설자 중 하나다.
- 시크전 때 나는 붉은 빛이 이 녀석이라는 가설도 존재한다.
- 봉인을 실패하기 직전 나는 붉은 불빛이 이 녀석일 것이라는 추정이 있다.[8]
- 이름인 Mischievous(미스쳐비스) 는 "장난스러운"이라는 뜻이다.
- 가이딩 라이트와 큐리어스 라이트가 플레이어를 돕는 쪽이라면 이쪽은 괴물들을 돕는 역일 수도 있다.
- 인게임 내에서 출현을 하더라도 미스쳐비스 라이트 가 이름이 아닐수도 있다. 샐리가 그 예시이다. 샐리도 타워 히어로즈에서는 윈도우라는 이름으로 등장했으며 도어즈에서는 샐리라는 이름으로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1] 정식 명칭이 아니다.[2] 또한 레드 라이트(Red Light)라고도 한다.[3] 사실상 반확정적으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4] 미스쳐비스 라이트 문양이 새겨진 사탕의 이름은 Can-Die (死탕)으로, 100대미지를 준다.[5] 룸즈 입구의 그림에 있다.[6] 즉 이 녀석은 플레이어에게 특정한 시련을 부여하는, 모디파이어와 완전히 동일한 존재로 보인다, 실제로 이 녀석을 상징하는 문양이 모디파이어 문양과 완전히 일치한다는 점이 더더욱.[7] 백도어 전체에 큐리어스 라이트가 있기 때문.[8] 즉 십자가로 개나 소나 다 봉인해버리면 밸런스가 깨지므로 이 녀석이 봉인을 풀어줌으로써 적절히 밸런스를 조정하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