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00:01:56

미하일 디테리흐스

<colbgcolor=#fff><colcolor=#0039A6> 아무르 국가형성 지도자
미하일 콘스탄티노비치 디테리흐스
Михаи́л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Ди́терихс
파일:Mikhail_Diterikhs.jpg
출생 1874년 4월 17일[구력]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현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망 1937년 9월 9일 (향년 63세)
중화민국 상하이
국적
[[러시아 제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페이지 생도단
니콜라예프 총참모부 학교
직업 군인
최종 계급 중장
경력 러시아국 전쟁장관
1919년 8월 10일 ~ 8월 27일
아무르 국가형성 지도자
1922년 7월 23일 ~ 10월 17일
참전 러일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1. 개요2. 생애
2.1. 제1차 세계 대전2.2. 러시아 내전
3. 둘러보기4. 참고 문헌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제국의 군인으로 러시아 내전 시기 러시아국 전쟁장관과 아무르 국가형성 지도자를 지냈다.

2. 생애

1874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군인 콘스탄틴 디테리흐스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2세가 되던 1886년 당시 삼촌 표도르 디테리흐스 중장이 지휘한 페이지 생도단에 들어갔다.

1894년 소위로 임관한 이후 1897년 니콜라예프 참모학교에 입교했다. 니콜라예프 참모학교에서 당시 교수였던 미하일 알렉세예프의 제자로 우수한 성적을 내어 참모대위로 진급했으며 1905년 제17군단 소속으로 러일전쟁에 참전했다.

2.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이후 미하일 알렉세예프 장군이 참모장으로 있던 남서부전선에 배치되어 제3군 사령관 대행을 맡아 갈리치아 전투의 마지막 단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1915년 소장으로 진급했다. 이어 1916년 5월 마케도니아에 형성된 테살로니키 전선에 파견되어 제2특수여단장에 임명되었으며 불가리아군과 싸워 점령된 세르비아에 연합군 최초로 진입했다. 그러나 이어진 공세에서 세르비아 왕국군프랑스군이 러시아군 부대를 재원하지 않아 큰 피해를 입었고, 귀국하게 되었다.

2.2. 러시아 내전

디테리흐스는 10월 혁명이 발생하자 위조 신분증으로 키예프에 거주했으며 1917년 11월 프랑스군에 도움을 요청해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참모장이 되어 가족과 함께 블라디보스토크로 갔다. 이때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에 무장해제를 요구한 볼셰비키 정부를 전복해 자바이칼로 진출한뒤 알렉산드르 콜차크러시아국군에 합류했다.

러시아국에서 활동하던 시기 로마노프 왕가 몰살 사건 수사 책임자와 동부전선 총사령관, 전쟁장관을 역임했으나 병력을 보존하기 위해 수도였던 옴스크노농적군에 내주어 콜차크에 의해 해임되었다. 이후 하얼빈에서 로마노프 왕가 기록을 보존하며 생계를 이어갔다.

1922년 최후의 백계 정부 아무르 국가형성 지도자에 선출되었으나 얼마되지 않아 극동 공화국 인민혁명군의 총공세로 무너지게 되어 상하이로 망명했다. 망명 생활둥안에는 프랑스 은행에서 일하며 러시아 전군연합 극동부서장을 역임했다.

3. 둘러보기

<colbgcolor=#666633> 파일:러시아 국기.svg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 제국군의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야전원수
Генерал-фельдмаршал
육군
원수
명예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 니콜라 1세 | 명예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카롤 1세
대장
Генерал
파일:러시아 제국 보병대장(1차대전).png/파일:러시아 제국 기병대장(1차대전).png
육군
병과대장
알렉세이 쿠로팟킨보병 | 라브르 코르닐로프보병 | 니콜라이 유데니치보병 | 미하일 알렉세예프보병 | 알렉세이 칼레딘기병 | 알렉세이 브루실로프기병
해군
대장
-
중장
Генерал-лейтенант
육군
중장
안톤 데니킨 |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 표트르 브란겔 | 표트르 크라스노프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 니콜라이 유나코프 | 이오시프 도브보르무스니츠키 | 파벨 스코로파드스키
해군
중장
알렉산드르 콜차크
소장
Генерал-майор
육군
소장
다비트 시만손 | 이반 부이비트 | 실베스트르 주콥스키 | 이반 벨랴예프 | 안드레이 아우잔 | 미하일 디테리흐스
해군
소장
게오르기 스타르크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전사

}}}}}}}}} ||

4. 참고 문헌



[구력] 1874년 4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