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해군 군함 | |||
구잠함(PC) | <colbgcolor=white,#191919>PC급 구잠함 | |||
초계함(PG) | 더뷰크급, 이리급 | |||
호위함(FF) |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 |||
호위구축함(DE) |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 |||
구축함(DD) |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 |||
잠수함(SS) |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 |||
경순양함(CL) |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 |||
중순양함(CA) |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 |||
대형순양함(CB) | 알래스카급, | |||
순양전함(CC) | ||||
전함(BB) |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 |||
호위항공모함(CVE) |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 |||
경항공모함(CVL) |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 |||
정규항공모함(CV) |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 |||
수상기모함(AV) |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 |||
병원선(AH) |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 |||
군수지원함 | 키어사지AB, 베스탈AR | |||
잠수함모함(AS) | 풀턴급 | |||
구축함모함(AD) | 딕시급 | |||
소해함 |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 |||
어뢰정 | PT 보트 | |||
공격수송함 |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리버티급, 빅토리급 | |||
연습항공모함 | 울버린급, 세이블급 | |||
지휘함 |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 |||
기타 함선 | USS QUARTZ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복원 공사중인 SS-287 보우핀 | |
항해 중인 SS-302 사발로 |
[clearfix]
1. 개요
가토급 잠수함의 아성을 잇는 태평양의 검은 늑대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약한 미 해군의 수상함형 재래식 잠수함. 총 128척이 취역하면서 미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군용 잠수함으로 종전으로 취소된 것까지 포함하면 191척 취역 예정이었으며, 가토급 잠수함과 더불어 일본 해군이 패배하게 만든 주역이자 미국을 수호해 준 역대급 잠수함이다.개량형으로 텐치급 잠수함이 있다.
2. 제원
Balao Class Diesel-Electric Submarine | |
계승 함급 | 가토급 잠수함 |
후계 함급 | 텐치급 잠수함 |
배수량 | 수상 1,526톤 |
수중 2,463톤 | |
전장 | 93.57미터(311피트 9인치) |
전폭 | 8.31미터(27피트 3인치) |
흘수 | 5.13m미터(16피트 10인치) |
추진체계 | 페어뱅크스-모르스 38D 8-1/8 or 제너럴 모터스 Model 16-248 V-16 or 후벤-오웬스-렌슬러 발전기 구동 디젤엔진 4기, 사르고 126셀 납 축전지 2기, 엘리엇 컴퍼니-제너럴 일렉트릭-엘리스 챠머스 고속모터 4기, 저속모터 2기, 감소 기어, 2축 샤프트 (수상 5,400마력, 수중 2,740마력), 연료 94,400갤런 |
최대속도 | 수상 20.25노트 (38km/h) |
수중 8.75노트 (16km/h) | |
항속거리 | 10노트 수상항해 기준 11,000노티컬마일(20,000km) |
작전기간 | 수상 75일 |
수중 2노트 잠항 기준 48시간 | |
잠항심도 | 시험잠항심도 120미터, 선체한계 270미터 |
승조원 | 사관 10명 |
수병 70명 | |
무장 | 21인치(533mm) 어뢰발사관 전방 6문/후방 4문, 어뢰 24발, 기뢰 40발 |
5인치 덱건 1~2문 | |
40mm 70구경장 보포스 단장 대공포 1~2문 20mm FF 오리콘 기관포 1~2문 50구경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 30구경 M1917 혹은 M1919 브라우닝 기관총 2~6정 | |
전자장비 | 레이더 - SJ 수상 수색레이더, SD 대공경계 레이더, SV 레이더 |
소나 - QB, QC, JK소나, JP 수중청음기 | |
총 생산량 | 128척 |
손실 | 12척 |
퇴역 | 105척 |
보존 | 8척 |
운용기간 | 1943년~1975년 |
운용국가 및 해군 | 미합중국 해군 |
3. 개요 및 설계
가토급 잠수함은 오랜 기간동안 삽질과 삽질을 거듭해 만들어낸 걸작 잠수함으로서 미 해군의 요구사항을 상당수 만족시켜주는데에 성공했다. 이에 1942년 이후 건조 함정들 외에도 추가 소요가 있었으나 미 해군 함대사령부에서는 전쟁기간 동안 발전하는 병기와 대잠 공격전술에 대응하기 위해 가토급보다 훨씬 성능 좋은 잠수함을 요구했으며 마침 질 좋은 압력선체용 고장력강판이 개발되어 이를 바탕으로 신형 잠수함을 설계하게 된다. 본디 1943년에 완전히 새로운 설계를 마치고 1944년부터 본격적인 건조에 착수할 예정이었으나 가토급의 설계를 소폭 수정해 사용하여 신속하게 배치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으며 이에 따라 건조된 것이 발라오급 잠수함이다.발라오급 잠수함의 건조를 담당한 주요 회사와 조선소는 코네티컷 주의 그로튼에 위치한 일렉트릭 보트(Electric Boat Shipbuilding Company, 현 제너럴 다이나믹스 일렉트릭 보트)사와 메인 주의 씨베이 섬에 위치한 포츠머스 해군 조선소(Portsmouth Navel Shipyard), 캘리포니아 주의 발레요에 위치한 메어아일랜드 해군 조선소(Mare Island Navel Shipyard) 및 위스콘신 주의 매니토웍에 위치한 매니토웍 조선소(Manitowoc Shipbuilding Company)가 선정되었으나 가토급보다 훨씬 대량 건조가 예상되었기에 크램프 조선소(Cramp Shipbuilding Company)가 참여하게 되었다.
이중 매니토웍 조선소는 유일하게 호수, 정확히는 오대호 중 하나인 미시간 호 연안에 있던 조선소였다. 매니토웍에서 제작한 잠수함은 철도를 이용해서 일리노이 강까지 육상으로 이동한 뒤, 거기서 일리노이 강-미시시피 강을 통해 대서양으로 빠져 나왔다.
선체의 기본적인 디자인은 가토급 잠수함의 설계를 거의 그대로 채용했으며 선체는 총 6개 구획으로 구분되며 전방 어뢰실, 장교 거주구/전방 배터리 구획, 전투실/무전실/주요 화기 탄약고, 승무원 거주구/후방 배터리 구획, 엔진 구획, 후방 어뢰실로 나뉜다. 독일의 U보트들과 비교해 평균적으로 2~3배에 달하는 배수량과 덩치는 승조원들의 거주성 향상과 장거리 항해능력 등을 동시에 추구하는 데 성공했으며 잠항심도는 압력선체의 강화로 기존 가토급의 91m에서 증대된 120m까지의 잠항을 보장했고 1944년에 깊이가 180m에서 운전 가능한 굴드 원심펌프 채택으로 잠항심도가 깊어졌으며 실제 잠항에서 시험잠항심도인 120m를 넘은 187m를 한 기록이 남아있고 설계상 270m까지 거뜬히 견딜 것으로 여겨졌다. 이는 독일의 U보트와 사실상 같은 잠항심도이며 발라오급 잠수함은 잠항심도의 면에서 상당한 진보를 이루어 내는 것에 성공했다.
잠수속도는 본래부터 중성부력 유지능력이 뛰어난 가토급의 선체를 그대로 이용했으며 유압 구동으로 조작되는 잠항타를 채용해 부상 상태에서 완전 잠항하는데에 최대 30~35초가 소요되며 부상 상태에서 잠망경 심도까지 잠수하는데에 약 45~50초가 소요되어 2천 4백톤급의 배수량을 가진 잠수함 치고는 상당히 빠른 잠항속도를 가지고 있었다. 어디까지나 그 덩치급에서 빨랐단 소리였지 압도적으로 빠른 수준은 아니었고 U보트의 잠항속도와 비교했을때 상당히 느린 편이었다.
방향타 역시 유압 구동식을 사용해 선회능력이 매우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전방의 하이드로포일은 유압으로 폴딩이 가능해 전개 및 수납이 가능했다. 또한 연료탱크 용적은 94,400갤런이며 최장 75일간 10노트의 속력으로 2만 km를 항해하며 작전을 수행할 수 있었다. 배터리는 사르고급 잠수함부터 사용해오던 126셀 납 배터리를 사용하여 수중에서 2노트로 잠항할 시 48시간을 잠수할 수 있었다.
건조 초장부터 덱건 무장이 강화되어 가토급의 3인치 50구경장 함포에서 5인치 25구경장 함포로 고정되었다. 그 외 함내 인테리어 등이 변경되었다.
4. 문제점
발라오급은 가토급이 가지고 있던 단점을 상당히 보완한 잠수함이지만 체급에 따른 근본적인 한계점이 존재했고 문제점이 묻히는 잠수함이기도 하다.[1] 함선 선체의 한계는 전략, 전술교리와 승조원의 경험으로 어느 정도 보완이 가능하지만, 가장 심각했던 문제인 개전 초부터 불거진 어뢰 문제는 가토급을 비롯한 다른 미 해군 잠수함들처럼 거의 판박이라 할 정도로 같았다.우선 큰 덩치로 인해 타국의 1천톤급 이하의 잠수함과 비교했을때 떨어지는 기동력과 잠수시간이 문제였다. 태평양에서 주로 활동하는 환경 특성상 긴 항속거리와 큰 선체를 가지지 않으면 전체적인 초계작전에 지장이 있을 우려가 매우 커 선체의 대형화는 어쩔 수 없는 필연적인 요소였다. 발라오급 자체의 부력유지능력은 동급 잠수함들 중에서도 매우 안정적이라 급속잠항능력은 훈련으로 부족한 점을 보충하여 완전히 물속으로 사라지는데에 30초가 소요되어 큰 덩치에도 불구하고 매우 민첩한 수준이었다.[2] 하지만 1천톤급 이하의 독일 VIIC형 유보트의 경우 평균 28초의 잠수완료시간을 가져 상당한 격차를 보인다.
실제로 독일이 전쟁 초반에 700톤급의 잠수함을 주로 사용한 이유 중 하나가 잠항 속도나 수중에서의 균형 회복등을 따져봤을 때 저 정도의 체급이 가장 운용하기에 적절했다고 판단했기에 그렇게 된 것이고 실제로도 주력은 700톤급의 VII형 U보트였다.
속력 자체는 타국 잠수함과 별 차이 없거나 오히려 빠른 구석도 있었지만 세부적인 기동력은 1천톤급 이하의 적국 잠수함인 U보트에 비해 턱없이 느렸다. U보트조차도 2차대전기 잠수함들 중 가장 빠른 잠항속도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수상에서 허무하게 격침당하거나 손상을 입은 경우가 많았는데, 이보다 훨씬 느린 발라오급이 문제가 없을리가 만무하다.
하지만 이런 단점들은 발라오급이 제대로 된 대잠전력을 상대해본 적이 많지 않았고 전투중 손실률이 매우 낮아 상당히 묻히게 된다. 잠항성능의 경우 주적인 일본군의 해대형 잠수함들이 긴급잠항 81초, 순잠형 잠수함들이 최단 70초에 최장 91초라는 잠항능력을 기록하며 상대가 가진 단점이 워낙 독보적인데다가, 설령 잠항속도가 늦는다고 해도 레이더의 버프 덕에 적을 탐지하자마자 잠수해버려 급속잠항의 단점은 묻혀버렸고 잠항심도 역시 기존의 시험잠항심도보다 더 깊게 잠항할 수 있고 일본군의 대다수의 잠수함들보다 깊게 내려갔으며 조타성능도 일본잠수함들에 비해 우월한 편이라 모조리 묻혔다. 거기에 일본군 대잠 전력은 전쟁 기간동안 수도 없는 허위 격침보고와 장대한 삽질로 발라오급을 포함한 미 해군 잠수함대에 타격을 주기 힘들어 기존의 단점들은 더 묻혔다. 만약 일본 해군이 대서양 전쟁 후기, 한때 대서양의 늑대라고 불렸던 U보트를 동네 똥개 수준으로 만들어버린 미 해군이나 영국 해군 수준의 대잠 역량을 갖추고 있었다면 발라오급의 손실률은 높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무엇보다 발라오급 잠수함이 가지고 있는 최악의 문제점은 다름 아닌 어뢰였다. 이는 발라오급만이 가진 문제는 아니고, 미국 잠수함들이 가진 공통적인 문제였으며 잠수함 자체의 기계적 결함이나 성능 부족 등의 문제는 문제같이 보이지 않을 정도라 매우 심각했다. 이 부분은 어뢰 스캔들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 어뢰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 시기가 1943년 9월 경이었다. 근 2년의 기간을 어뢰 문제로 골치를 앓은 셈. 하지만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는 것이지 완벽하게 해결을 해낸 것이 아니었고, 전기추진방식의 신형 어뢰인 마크 18이 큰 사고를 내었는데, 발라오급 잠수함 SS-306 탱(Tang)[3] 이 이 어뢰의 원주 운동 현상으로 인해 침몰해버린 것이다. 결국 탱은 78명의 승조원들과 함께 심해로 가라앉았고, 9명만이 일본 해군의 호위함에 구조되어 포로가 되었다.
침몰하는 발라오급 잠수함 탱(SS-306 Tang)에서 탈출하는 승무원들을 묘사한 그림. - 미 해군 기록화가 프레드 프레드먼 소령의 작품.[4][5] |
5. 실전
콘보이 요격에 올인찍은 유보트와 달리 함대요격, 정찰, 구조, 보급, 연락, 침투 등 잠수함의 범용성을 뽐내면서 엄청난 전과를 올린 태평양의 검은 늑대라고 정리할 수 있다. 가토급이 길고 굵게 활약 했다면 발라오급은 짧고 굵게 활약했다.항공모함 시나노가 이 함급인 SS-311 아처피쉬(Archerfish)에게 격침당했으며[6] 전함 공고, 구축함 우라카제, 급양함 마미야, 기뢰부설함 시라타카가 SS-315 시라이온(Sea lion)에게 격침당했다.
6. 전후
미 해군은 전후 취득한 21형 유보트인 U-2513과 U-3008의 설계를 바탕으로 가토급과 발라오급, 텐치급의 개량에 들어갔다. GUPPY(Greater Underwater Propulsion Power Program)[7]라 불린 이 프로그램 덕에 다수의 발라오급이 현대적인 수중 항행 및 전투 능력을 얻었고, 다른 국가에 수출되기도 했다.GUPPY 개장이 된 USS Dogfish(SS-350). 발라오급의 형태는 온데간데 없다.
7. 유명한 자매함
SS-287 USS 보핀(Bowfin)1942년 7월 23일에 건조되고 12월 7일에 진수.
쓰시마마루(對馬丸 / 対馬丸)를 격침시켰다. 이 함선은 민간 선박을 일본 해군에서 징발한 선박인데 이를 빌미로 일본 극우들이 피해자 코스프레를 할 때 악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이 배에는 대만에서 오키나와로 가는 62사단의 포와 중장비, 차량들을 수송하고 있어서 민간인을 공격해서 학살했다는건 억지다. 이 사건은 쓰시마마루: 안녕오키나와라는 제목의 소설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졌다. 다만 소설과 애니 자체는 비교적 중립을 지킨 편. 보핀은 한국전쟁까지 사용되었다. 진주만에서 박물관으로 사용 중이다.
베큐나 USS Becuna
1944년 진수,69년 퇴역, 현재 필라델피아 해양사박물관함으로 보존.
SS-298 USS 라이온피쉬
SS-315 시라이온(Sealion)
1943년 2월 25일에 건조되고 10월 31일에 진수.
순양전함 공고를 격침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카게로급 구축함 우라카제와 급양함 마미야, 기뢰부설함 시라타카가 시라이온의 어뢰에 최후를 맞았다.
함교 바로 뒤에 헬리패드를 장착해 함재헬기 실험용으로 쓰였다.
SS-311 아처피쉬(Archerfish)
태평양 전쟁 당시 최대의 항공모함인 시나노(항공모함)를 잡은 것으로 유명하다. 발라오급 잠수함 중 혼자서 잡은 최대의 단일 함선배수량 전과. 아니 해전 역사상 최대의 단일 함선 전과이다. 이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으며 미래에도 제3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지 않는 한 깨지기 힘든 기록이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서 아처피쉬는 태평양 전쟁 항복 조인식 장소인 USS 미주리 옆에 위치하는 자격을 얻었다. 아처피쉬는 전쟁 내내 전과가 이 시나노를 제외하면 화물선 1척을 격침한게 고작이지만, 이 시나노 격침 기록이 엄청나서 이것만으로도 전체 미군 잠수함의 격침 배수량 25위에 해당한다.
SS-366 호크빌(Hawkbill)
카미카제급 구축함 카미카제와 사투를 벌인 것으로 유명하다. 1945년 7월 선단을 호위하는 카미카제를 발견하고 어뢰를 발사했지만 회피기동으로 전부 피한 카미카제에게 역으로 사냥당하는 처지에 놓였다.[8]집요한 폭뢰공격으로 만신창이가 되었지만 격침시켰다고 간주한 카미카제의 오판 덕에 살아남을수 있었다. 다른 유명 자매함들에 비하면 밀리는 포지션이다. 종전후 호크빌과 카미카제의 함장은 서신을 교환하며 교분을 나눴다고...
SS-383 팸피니토(Pampanito)
격침수는 6척. 헬 쉽 중 하나인 라쿠요마루를 격침시킨 정도로 그리 유명하진 않지만, 1975년부터 박물관함으로 분류, 1982년부터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어 지금은 샌프란시스코의 관광명소가 되었다. 피셔맨스 워프에 들릴 일이 있으면 한 번 쯤 봐보자.
SS-309 아스프로(Aspro)
1945년 1월 3일 육군특송선(상륙함) 신슈마루를 격침 시켰다
SS-306 탱(Tang)
미 해군 잠수함 격침 톤수 1위의 그 잠수함. 정작 이 배 역시 위 목차에 있는대로 당시 미 해군의 고질적 문제인 어뢰의 신뢰성 문제의 희생함이기도 하다.
8. 자매함 목록
9. 여담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해군 장교 시절 복무한 함선이 본 함급의 USS Pomfret 함이다.10. 매체에서의 등장
- 국내에서는 U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떨어졌다. 하지만 잠수함 시뮬레이션의 대부 '사일런트 헌터' 시리즈의 4번째 작품인 '울브즈 오브 더 퍼시픽'이 나오면서 꽤나 아는 사람이 많아졌다. 구 시리즈들이 대서양의 U보트를 다뤘다면 이 시리즈는 태평양의 미국 잠수함들을 다뤘다.
- 바이오쇼크 시리즈의 소설 바이오쇼크: 랩처에서, 프랭크 폰테인이 한 척을 개조해서 밀수용으로 사용한다. 랩처의 우월한 오버 테크놀로지가 적용되어 수심 수천 미터 아래까지 내려갈 수 있는 듯하다.
- 게임 네이비필드에서 미국 6차잠수함으로 등장한다.
- 잠망경을 올려라[9]: 미해군의 잠수함 훈련을 소재로 한 1996년 영화. 해군에서 쫓아내고 싶은 말썽쟁이 승조원들을 모아 2차 대전 때의 유물인 발라오급 잠수함을 주고 "미국 해안에 접근하는 가상적국의 재래식 잠수함"을 상정한 대항군 역할을 맡긴다. 이들은 미 해군의 최신 원자력 잠수함과 수상함들이 펼친 대잠 경계망을 돌파하여 항구에 있는 표적함을 어뢰로 격파해야 하는 "거의 불가능한" 임무를 맡는데, 이때 함장을 골탕먹이기로 작정한 제독이 폐함 수준인 발라오급을 보여주면서 'This is you boat' 드립을 친다. SS-383 팜파니토를 가상의 함번과 함명인 SS-161 스팅레이[10]로 출연시켰다.
- 머피의 전쟁: 2차 세계대전 종전 직전, 베네수엘라 연안에서 유보트에게 격침당한 영국 상선의 유일한 생존 선원이 악착같이 유보트에게 복수하는 1971년 영화. 그런데 여기 있는 이유는 작중에 등장하는 유보트가 발라오급 잠수함을 개조한 물건이라서다.
- 월드 오브 워쉽에 신규 트리인 잠수함이 발표되면서, 선발주자로 미국, 독일 트리가 결정됨에 따라 10티어 잠수함으로 등장이 예정되어 있다.
-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이 급의 잠수함 USS 파치를 소개한 적이 있다.
- 벽람항로에서는 아처피시가 등장한다. 시나노를 격침시킨 걸 반영했는지 시나노의 칼 일부를 가지고 있다. 마침내 이벤트에서 시나노와 아처피시가 맞닥뜨렸지만 현실보다 훨씬 평화로운 방법으로 짧은 만남 후 무사히 헤어진다.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7408b> 잠수함 | <colbgcolor=#27408b> SS |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 ||
SSG | 그레이백급R | ||||
SSN |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N(X)} | ||||
SSGN | 오하이오급* | ||||
SSBN |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 ||||
고속정(PC) |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 ||||
호위함(FF) |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컨스텔레이션급} | ||||
구축함 | 구축함(DD) |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IIM/R, 기어링급 FRAM-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 |||
방공구축함(DDG) |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DDG(X)} | ||||
순양함 | 순양함(CL, CA) | 클리블랜드급R, 볼티모어급R, 파고급R, 오리건시티급R, 우스터급R, 디모인급R | |||
방공순양함(CG) |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타이콘데로가급, | ||||
핵추진 방공순양함(CGN) |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 ||||
전함 (BB) |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 ||||
상륙정 | LCU 1610, LCM, LCVP, LCAC | ||||
상륙함 | LHA |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 |||
LPH | 이오지마급R | ||||
LHD | 와스프급 | ||||
LPD |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 ||||
LSD | 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 ||||
LST | 뉴포트급R | ||||
LSV |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 ||||
EPF | 스피어헤드급 | ||||
소해함 |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 ||||
군수지원함 | 미 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 ||||
지휘함 |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 ||||
원정이동기지선 (ESB) | 루이스 B. 풀러급 | ||||
항공모함 | 재래식(CV) |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 |||
핵추진(CVN) |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 ||||
잠수함모함 (AS) |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 ||||
구축함모함 (AD) |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 ||||
무인함 | USV | 시 헌터, {LUSV} | |||
UUV | 오르카 XLUUV, {후긴 AUV} | ||||
대형호위함(범선) | 컨스티튜션*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이탈리아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393b42>플루토급RM/R, 아차이오급RM/R, 타졸리급R, 토리첼리급R, 가자나 프리아로자급R, 리비오 피오마르타급R, 엔리코 토티급R, 사우로급, 토다로급 | |||
어뢰정 | MS472급R, 스피카급RM/R, PT 보트R | ||||
고속정 | 풀미네급R, 프레시아급R, 폴고레급R, 람포급R, 에스플로라토레급 | ||||
미사일 고속정 | 스파르비에로급R | ||||
원양초계함 | 시리오급, 카시오페아급, 코만단티급 | ||||
초계함 | 가비아노급RM/R 피에트로 드 크리스토파로급R, 알바트로스급R, 미네르바급R, 타온 디 레벨(PPA)급 | ||||
호위구축함 | 알데바란급R | ||||
호위함 | 경호위함 | 루포급 | |||
대잠호위함 | 첸타우로급R, 카를로 베르가미니급(1962)R, 알피노급R, 마에스트랄레급 | ||||
방공호위함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FREMM EVO} | ||||
구축함 | 구축함 | 산 조르지오급RM/R 임페투오소급R, 판테급R, 아르티에르급R, 아비에르급R | |||
방공구축함 | 임파비도급R, 아우다체급R, 뒤랑 드 라펜급, 오리존테급, {DDX} | ||||
순양함 | 두카 델리 아브루지급RM/R, 안드레아 도리아급R, 비토리오 베네토급R, | ||||
상륙정 | MTP(LCVP)R, MTM(LCM)-2/3/6급R, SR.N6급 호버크래프트R MTP96급, MTM217급, LCM62급 | ||||
상륙함 | LPH | 산 조르지오급, 트리에스테급 | |||
LST | 안테오R, 에트나R, 안드레아 바필레R, 그라도급R, 콰트로급R | ||||
소해함 | 레리치급, 가에타급 | ||||
수송함 | 폰자급, 고르고나급 | ||||
군수지원함 | 스테로페R, 에트나급, 스트롬볼리급, 파네레아급, 불카노급 | ||||
정보수집/연구함 | 스테뻬타R, 오스티아R, 바르바라R, 아미랄료 마나기, 알리안스, 레오나르도, 로세티급, 니페급, 일레트라급 | ||||
경항공모함 | 주세페 가리발디급, 콘테 디 카보우르급 | ||||
훈련함 |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라고스타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RM: 이탈리아 왕립해군(Regina Marina)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스페인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373a3c>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393b42>S-01 G급M/R, S-(10 · 20) D급(개수형)R, S-30 발라오급R, SA-40 포카급R, SA-50 티뷰론급R, S-60 델핀급S, S-70 갈레르나급, S-80+ 이삭 페랄급 | |||
경비정 | 카보 프라데라급, 아레사급 | ||||
어뢰정 | LT보트R | ||||
초계정 | 리헬급R, 씨에스급R, 센티넬라급R, P-00 라자가급R, P-10 바르셀로급R, P-30 코네헤라급R, P-40 코르모란급R, P-20 아나가급, 토라야급 | ||||
원양초계함 | P-60 칠레우급, 메테오로급 | ||||
초계함 | F-50 데스쿠비에타급 (초대)R, F-60 아트레비다급M/R, 세르비올라급, F-30 데스쿠비에타급 (2대) | ||||
호위함 | <colcolor=#373a3c> 호위함 | F-30 피자로급, F-40 비센테 야네즈 핀손급M/R, | |||
방공호위함 | F-70 발레아레스급M/R, F-80 산타 마리아급, F-100 알바로 데 바잔급SPY, F-110 보니파스급SPY | ||||
구축함 | 추루카-(I · II · III)급 (초대)M/R, D-20 레판토급R D-30 아우다즈급R, D-40 오켄도급R, D-60 추루카급 (2대)M/R | ||||
순양함 | 나바라R, 블라스 데 레조급R, 알미란테 세르베라급R, 카나리아스급R | ||||
상륙정 | Tipo BDK LCTR, LCM3 | ||||
상륙함 | LHD | 후안 카를로스 1세급 | |||
LPD | 갈리시아급 | ||||
LSD | L-30 캐사 그랜드급R | ||||
LST | L-10 테르본 페리쉬급R, L-40 뉴포트급R | ||||
LSM | LSM-1/2/3R | ||||
APA | TA-10 하스켈급R, TA-20 안드로메다급R, L-20 파울 리브레급R | ||||
기뢰전함 | 기뢰부설함 | F-00 마르테급R, F-10 후피테르급M/R F-20 에올로급R | |||
기뢰소해함 | M-00 비다소아급R, M-10 과디아로급R, M-20 날론급R, M-40 어그레시브급R, M-30 세구라급 | ||||
군수지원함 | 카스티야급R, 파티뇨, 칸티브리아 | ||||
정보수집/연구함 | 알레르타급, 에스페리데스, 라스 팔마스 | ||||
경항공모함 | 데달로M/R,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급S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S: 비축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 SPY: 이지스 시스템 탑재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아르헨티나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75aadb> 잠수함 | 산타페급(1933)R, 산타페급(1960)R, 살타급, 산타 크루즈급 | ||
고속정 | 인트레피다급 | |||
초계정 | 바라데로급 | |||
초계함 | 무라츄르급, 부샤르급, 드러먼드급, 에스포라급 | |||
호위함 | 아조파르도급R | |||
구축함 | 멘도사급R, 부에노스아이레스급R, 브라운급R, 세귀이급R, 에로콜레스급, 알미란테 브라운급(1983) | |||
순양함 | 베인티싱코 데 마요급(1929)R, 라 아르헨티나(1937)R, 누에 베 데 훌리오급(1951)R | |||
전함 | 알미란테 브라운급(1880)R, 리바다비아급R | |||
항공모함 | 인디펜덴시아R, 베인티싱코 데 마요(1969)R | |||
쇄빙선 | 알미란테 이리살급 | |||
군수지원함 | 파타고니아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아르헨티나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1] 문제점들이 묻히는 원인은 발라오급 잠수함들이 쌓은 업적 때문이기도 하다. 잠수함이, 잠수함을 잡으라고 만들어진 구축함을 때려잡는, 이른바 역관광이 자주 연출된 함급이다보니... 일본 해군의 대잠해방함 역시 이 함급의 잠수함들에게 엄청나게 당했다. 이쪽은 가토급보다 더 해서 항공모함, 그것도 역사상 가장 강력한 전함을 개장한 항공모함을 단 여섯발의 어뢰를 쏴서 잡은 배가 있다.[2] 잠망경 심도까지 잠수 기준으로 독일 잠수함 중 1,200톤급이 약 45초, 1,600톤급이 약 60초.[3] 탱은 미 해군 역사상 가장 많은 적함을 격침시킨 잠수함이다. 총 격침톤수 116,454톤, 33척 격침. 11만톤이 10만톤은 기본격침인 독일의 유보트에 비하면 작지만, 독일은 공업생산량이 엄청난 미국에서 오는 수십척의 호송대를 상대로 소수의 유보트가 전투를 벌여서 저정도 전과를 세운거고, 미군은 잠수함 수가 워낙에 많고, 상대도 공업능력이 떨어지는 일본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미군에게 11만톤이면 많이 격침시킨거다.[4] 이 사람의 작품은 라이프(LIFE)지에도 자주 투고된 바 있는데, 웃통을 벗고 있는 마초적인 승무원들의 묘사가 특징적이다.[5] 탱의 승무원들이 착용하고 있는 것은 수중 탈출 장비인 몸센 렁. 차후 서술.[6] 그런데 명색이 당대 최대, 최강의 전함이던 야마토급 전함을 개장한 항공모함이면서 어뢰 단 네 발 맞고 격침당했다. 더 무서운 사실은 이 '단 한 척의 잠수함으로 단일 함선 격침 톤수 7만톤'이라는 기록이 몇십 년이 지나도록 깨지지 않고 있다는 거.[7] 이 프로그램을 통해 개량된 잠수함들을 흔히 구피급 잠수함이라고 부른다.[8] 이후 카미카제의 어뢰회피기동은 미해군 교범에 회피기동의 좋은 사례로 소개되었다.[9] 원 타이틀은 "Down Periscope", 즉, "잠망경을 내려라" 인데, 저렇게 반대로 번역된 건 아마도 1959년에 만들어진 "Up Periscope" 이란 영화가 유명해서 그를 따서 번역한 탓일 것이다. 1959년 작은 진지한 잠수함 영화이다.[10] 실제로 미 해군에 USS Stingray라는 잠수함이 있기는 했다. 다만 함번은 SS-186이었고, 함급은 새먼급이었다. 2차 대전 종전까지 활약하다가 퇴역하고 스크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