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01:44:11

폭상전대 분붐저

분붐저에서 넘어옴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px><tablebordercolor=red><tablebgcolor=red> 파일:슈퍼전대 로고.png
슈퍼전대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rowcolor=#fff> 1대
(1975​)
2대
(1977)
3대
(1979​)
4대
(1980​)
5대
(1981​)
<rowcolor=#fff> 6대
(1982​)
7대
(1983​)
8대
(1984​)
9대
(1985​)
10대
(1986​)
<rowcolor=#fff> 11대
(1987​)
12대
(1988​)
13대
(1989​)
14대
(1990​)
15대
(1991​)
<rowcolor=#fff> 16대
(1992​)
17대
(1993​)
18대
(1994​)
19대
(1995​)
20대
(1996​)
<rowcolor=#fff> 21대
(1997​)
22대
(1998​)
23대
(1999​)
24대
(2000​)
25대
(2001​)
<rowcolor=#fff> 26대
(2002​)
27대
(2003​)
28대
(2004​)
29대
(2005​)
30대
(2006​)
<rowcolor=#fff> 31대
(2007​)
32대
(2008​)
33대
(2009​)
34대
(2010​)
35대
(2011​)
<rowcolor=#fff> 36대
(2012​)
37대
(2013​)
38대
(2014​)
39대
(2015​)
40대
(2016​)
<rowcolor=#fff> 41대
(2017​)
42대
(2018​)
43대
(2019​)
44대
(2020​)
45대
(2021​)
<rowcolor=#fff> 46대
(2022​)
47대
(2023​)
48대
(2024​)
49대
(2025​)
번외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아키바레인저 로고.png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
파일:DINO_BRAVE.png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브레이브
파일:슈퍼전대4주스페셜logo.png
4주 연속 스페셜 슈퍼전대 최강 배틀!!
파일:히어로 마마 리그 로고.png
히어로 마마 리그
}}}}}}}}}

슈퍼전대 시리즈 자동차 모티브 작품
파일:Turboranger.gif 파일:카렌쟈 로고.png파일:Goonranger.png파일:분붐저 로고.png
고속전대 터보레인저
(1989)
격주전대 카레인저
(1996)
염신전대 고온저
(2008)
폭상전대 분붐저
(2024)
파일:분붐저 로고.png
폭상전대 분붐저
爆上戦隊 ブンブンジャー
(파워레인저 붐붐포스)
Bakuage Sentai Boonboomger
(2024)
파일:분붐저 메인 비주얼.jpg
방송 시간 일요일 오전 9:30 ~ 10:00 (30분 방영)
방송 기간 ● 일본: 2024년 3월 3일 ~ 2025년 2월 9일
● 한국: 2025년 3월 8일 ~ 2025년 6월 21일
상표 공개일 2023년 9월 11일[1]
방송 횟수 48화
제작 테레비 아사히, 토에이, 토에이 에이전시
채널 ● 일본: 테레비 아사히
● 한국: 대원방송, 대교어린이TV, 브라보키즈
원작 야츠데 사부로
프로듀서 테레비 아사히: 오오카와 타케히로[2], 시바타카 케이스케
토에이: 쿠지 요시토
토에이 에이전시: 야다 코이치
연출 나카자와 쇼지로, 와타나베 카츠야, 카토 히로유키, 와타나베 준, 하야마 코이치로, 타케모토 노보루, 미야자키 슌
각본 토미오카 아츠히로[3], 야마구치 히로시, 히구치 타츠토[4], 모리치 나츠미[5], 코누타 켄지, 호죠 치나츠
출연 이우치 하루히, 하야마 유키, 스즈키 미우, 사이토 류, 소우마 사토루, 하시야스메·아츠코, 미야자와 유
첫 에피소드 배달상의 핸들
(届け屋のハンドル)
시청 등급 파일:영륜 G 로고.svg 전체 관람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아사히)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토에이)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시놉시스4. 키 비주얼5. 주제가
5.1. 오프닝: 폭상전대 분붐저5.2. 엔딩: 코츠코츠-PON-PON5.3. 삽입곡5.4. 영화 및 외전곡
6. 국내 방영
6.1. 방영 전 정보6.2. 방영 중
7. 등장인물
7.1. 폭상전대 분붐저(파워레인저 붐붐포스)7.2. 조력자7.3. 레전드 슈퍼전대(레전드 파워레인저)
7.3.1. 염신전대 고온저(파워레인저 엔진포스)7.3.2. 열차전대 토큐저(파워레인저 트레인포스)7.3.3. 해적전대 고카이저(파워레인저 캡틴포스)
7.4. 대우주침략대주력단 하시리얀(대우주 침략 대주력단 갤로피안)7.5. ISA7.6. 기타 등장인물
8. 무장 및 아이템9. 등장 메카
9.1. 메인 메카
9.1.1. 슈퍼 합체9.1.2. 궁극 합체
9.2. 레전드 메카9.3. 악역 메카
10. 설정11. 방송 목록12. 스토리라인13. 평가14. 시청률 & 완구 판매량
14.1. 매출
15. 관련 작품
15.1. 영화15.2. 코믹스
16. 기타17. 같이 보기


1. 개요

기분 분붐! 새로운 시대를 열어라!
(氣分ブンブン! 新時代をバクアゲろ!)

- 캐치프레이즈
気分ブンブン、ブン回せ! 爆上戦隊 ブンブンジャー!
(기분 분붐, 부웅 돌려라! 폭상전대 분붐저!)
텐션 붐붐, 붐스핀! 파워레인저 붐붐포스!
소개 대사

슈퍼전대 시리즈의 48번째 작품. 소재는 자동차 + 만들기 + .

2. 특징

  • 제작 관련
    • 타이틀의 '爆上(폭상)'은 일본어로 'バクアゲ(바쿠아게)'라고 읽는다.[6] 여기서 '아게(アゲ)'는 일본에서 2000년대 후반 들어 퍼지기 시작한 갸루어의 일종으로, '올리다'를 뜻하는 '上げる(아게루)'에서 유래되었다. 주로 분위기를 업 시키는 행동 또는 그러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반대말로는 '내리다'라는 의미의 '下げる(사게루)'에서 비롯된 '사게(サゲ)'가 있다. 폭(爆, 바쿠)는 갸루어에서 무언가를 강조할 때 사용되는 관용어의 일종으로, 흔히 90년대 중후반부터 젊은 세대에서 무언가를 강조할 때 '초(超)○○하다' 라는 표현을 썼는데 갸루어에서는 '오니(鬼)○○하다' '바쿠(爆)○○하다' 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한다. 예를 들어 '텐션(의욕) 잔뜩 올라간다'라는 의미로 'テンション爆上げ(텐션 바쿠아게)'라는 표현이 자주 쓰인다.
    • 본작의 경우 프로듀서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색작으로 구성된 전작들인 기계전대 젠카이저,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임금님전대 킹오저와는 달리 매너리즘의 타파[7][8]보단 슈퍼전대의 정석적인 스토리로 초심을 되짚자는 기획에서 구성되었다고 한다. 세 작품이 공통적으로 쉴 새 없이 몰아치는 충격적이고도 광란적인 전개의 스토리텔링 구성 때문인지 이런 이색작들의 신선함은 마음에 들지만 종종 이전의 전대물처럼 정석적인 전개를 바라는 팬들의 여론도 존재했고 이 점을 토에이 측에서도 인지하고 있는지 본작인 분붐저의 경우 세 작품이 연달아 슈퍼전대의 문제점으로 여겼던 매너리즘을 극복했다 판단하여 마진전대 키라메이저에서 차용되었던 슈퍼전대 스토리의 정석적인 전개로 방향성을 잡은 걸로 보인다. 물론 정석적 전개의 완전 회귀로 인한 문제점이 생기지 않도록 레이와 시대의 특징 중 하나인 트렌디를 집어넣어, "자동차의 핸들"을 "인생의 주도권"에 대비시킨 스토리로 고리타분함을 없애는 섬세한 요소를 넣었다. 이러한 점은 트렌디함을 추구한 조인전대 제트맨과도 나름 일맥상통하는 편.
    • 기계전대 젠카이저부터 임금님전대 킹오저까지는 각본가 한명이 전화 각본을 맡는 구성이었으나 본작부터는 다시 메인 각본가와 서브 각본가가 팀을 이루어 각본을 쓰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메인 각본 담당인 토미오카 아츠히로가 전작들처럼 혼자서 각본을 맡는 방식도 고려했으나 분붐저는 1화에 갈등이 해결되는 기존 전대 각본의 특성을 띄어 각본가 여러명이 함께 작품을 만드는게 좋다고 판단하여 평소에 하던 방식[9]대로 각본을 쓰게 되었다.

  • 설정 관련
    • 고속전대 터보레인저격주전대 카레인저염신전대 고온저를 잇는 자동차 콘셉트의 전대이다.
      • 멤버들의 이름은 모두 자동차의 부품에서 유래했으며, 적 조직인 대우주침략대주력단 하시리얀의 멤버 이름은 모두 불법 튜닝 자동차의 명칭에서 유래했다.
      • 염신전대 고온저와 마찬가지로 슈트에 타이어가 장착되어있다. 그저 이동수단이나 돌진기에서 그쳤던 고온저와 다르게 전투할 때 강력한 위력을 자랑한다. 발에 달린 타이어는 고속이동과 빠른 스핀턴을 사용할 수 있으며 등에 있는 타이어는 방어용으로 쓸 수 있다. 게다가 신체에 장착된 타이어를 응용해서[10] 적을 공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액션을 선보인다.
    • 전작 임금님전대 킹오저와 마찬가지로 남녀 공용 슈트이다.
    • "만들기"라는 테마에 맞춰 등장하는 메카들은 모든 멤버들이 같이 제작한 메카라는 설정이다.
    • 표면상으로는 대부분의 전대처럼 악의 세력으로부터 지구를 지키는 역할도 하지만, 분붐저의 본래 창설 목적은 우주 레이스 참가라는 점이 이색적이다. 그동안 레이싱와 관련된 요소는 다른 자동차 모티브 전대에서 자주 쓰였으나 분붐저는 본격적으로 레이싱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 보통 슈퍼 전대 시리즈에서는 리더가 지시를 내리면 멤버들은 주로 "알았다" 혹은 "OK"로 답하는데, 분붐저에서는 리더인 타이야가 지시를 내리면 멤버들이 "올라잇"이라고 답하며 지시에 따른다.
  • 배색 및 디자인 관련
    • 선공개된 포스터에서는 레드, 블루, 핑크만 공개되었으나 이후 2차 포스터에서 블랙오렌지도 등장하며 배틀피버 J와 동일한 컬러 구성을 갖게 되었다.
    • 마스크는 안면 전체에 거대하게 디자인된 자동차 타이어와 휠 캡의 디자인이 특징적이며, 슈트는 전체적으로 카레이서의 경기복을 콘셉트로 만들어졌다.[11] 상반신에는 속도계를 연상시키는 문양이 디자인되어 있으며, 발목과 등 뒤에는 헬멧과 같은 디자인의 타이어가 달려 있다. 벨트 버클의 디자인은 안전벨트[12]를 연상시킨다. 블랙과 오렌지는 한쪽 어깨에 자신의 메카와 같은 디자인의 견갑이 있다.
    • 천장전대 고세이저 이후로 사라지다시피 했던 은색 입술의 헬멧이 다시 등장하였다. 기계전대 젠카이저[13] 이후의 전대들은 슈트 위에 갑주를 덧입었으나 분붐저에서는 갑주를 입지 않기 때문에[14]여러모로 레트로풍 전대의 느낌이 강하다. 또한 타이어 부분이 입체감 있게 만들어진 건 가면라이더 드라이브보이슬럭거를 연상시킨다.
    • 악역은 시마모토 카즈히코가 디자인 하였다.

3. 시놉시스

모두가 좋아하는《차》
그런《차》를 멋지게 잘 타는
레이싱 슈트를 입은《히어로》의 이름은...
폭상전대 분붐저!


분붐저의 멤버는
모두 크리에이티브하고 프로페셔널!


대담무쌍하고 긍정적인 배달상 「한도 타이야/분 레드
쿨하고 머리가 좋은 정보상 「메이타 이시로/분 블루
생각한 그대로 돌진하는 운전상 「시후토 미라/분 핑크
성실하고 강한 정의감을 가진 경찰상 「아쿠세 죠/분 블랙
중요한 순간에 손을 뻗는 조달상 「부레키 겐바/분 오렌지


슈퍼머신 《분붐카》를 스스로 만들고 변형!
동료 기계생명체우주인 《분도리오 분데라스》와 콤보,
폭상합체한 《분붐저 로보》로 한계 돌파!
여러 행성을 습격한 《대우주침략대주력단 하시리얀》과 싸운다!


기분 분붐!
자기 인생의 핸들은 자기가 잡는다!


새로운 시대를 여는
대담하고 초긍정적인 히어로가 여기에 탄생!

4. 키 비주얼

파일:분붐저 메인 비주얼.jpg 파일:분붐저 2쿨.webp 파일:분붐저 3쿨.jpg
1st LAP(1~9화) 2nd LAP(10~25화) 3rd LAP(26~35화)
파일:분붐저 4쿨 비주얼 완전판.jpg
Final LAP(36~48화)
파일:분붐저 티저.jpg <bgcolor=white> 파일:분붐저 티저 비주얼 3탄.jpg
티저 비주얼 1탄 티저 비주얼 3탄
파일:분붐저 2차 티저 비주얼.jpg
티저 비주얼 2탄
파일:분붐저 티저 비주얼 4탄.jpg
티저 비주얼 4탄

==# 예고편 #==
티저 예고편 : 자동차의 히어로! 분붐저!
예고편
예고편2
예고편3
스페셜 PV
예고편4

5. 주제가

5.1. 오프닝: 폭상전대 분붐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폭상전대 분붐저(노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상전대 분붐저(노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상전대 분붐저(노래)#|]][[폭상전대 분붐저(노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엔딩: 코츠코츠-PON-P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츠코츠-PON-PON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코츠코츠-PON-PON#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코츠코츠-PON-PON#|]][[코츠코츠-PON-PON#|]]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삽입곡

5.4. 영화 및 외전곡

6. 국내 방영

파일:애니박스 로고.svg 신작 시간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white><colcolor=white>
시간
07​:30
[[폭상전대 분붐저|{{{#!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border: 2px solid #d14;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ffe5e5; color: #07d"
08​:00
[[울트라맨 Z|{{{#!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brder: 2px solid #d14; border-radius: 12px; backgrund: #e7e7f0; clor: #07d"
09​:00 [[폭상전대 분붐저|{{{#!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border: 2px solid #d14;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ffe5e5; color: #07d"
13​:00
[[이누야샤 완결편#회차 목록|{{{#!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0px; word-break: keep-all; brder: 2px solid #358; border-radius: 50%; backgrund: gold; clor: crimson; fnt-weight: bold; letter-spacing: 0px"
14​:00
15​:00
16​:00 [[윈브레 -WINBRE-(애니메이션 2기)|윈브레 2기{{{#!wiki style="margin-top: -5px; padding-top: 5px; color: #333" dark-style="margin-top: -5px; padding-top: 5px; color: #ddd"
17​:00
21​:00 [[윈브레 -WINBRE-(애니메이션 2기)|윈브레 2기{{{#!wiki style="margin-top: -5px; padding-top: 5px; color: #333" dark-style="margin-top: -5px; padding-top: 5px; color: #ddd" [[울트라맨 Z|{{{#!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brder: 2px solid #d14; border-radius: 12px; backgrund: #e7e7f0; clor: #07d"
22​:00
{{{#!wiki style="min-width: 45px; word-break: keep-all" [[원피스(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원방송판|{{{#!wiki style="padding: 0px 10px; word-break: keep-all"
22​:30
23​:00
23​:30 [[원피스(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원방송판|{{{#!wiki style="margin: -5px 0px"
24​:00
[[울트라맨 Z|{{{#!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brder: 2px solid #d14; border-radius: 12px; backgrund: #e7e7f0; clor: #07d"
24​:30
25​:00
25​:30
윈브레
2기

(자막)
26​:00
26​:30
27​:30
{{{#!wiki style="margin: -15px -10px"
[[https://www.tving.com/player/C05441| 파일:TVING 로고.svg '''무료 스트리밍
(모바일 환경에서는 '앱으로 이용하기'
터치한 뒤, '라이브' 탭으로 이동해야 함)
''']]
}}}
}}}}}}}}} ||

파일:붐붐포스 국내.jpg
<colbgcolor=#ff0000,#ff0000><colcolor=#ffffff> 한국어 더빙 제작 정보
기획 심상백
연출 정영진, 이소인조연출
수입/배급 송경아, 손승희, 허조영, 김한솔, 장아름, 김아리, 손예림, 김우빈, 김혜린
편집
종합편집 강혜림
운행 김인경, 백지연
번역 명지선
녹음/믹싱 강건구
CG 김연수, 정한울
OAP 배정민, 김효정, 박찬경, 윤혜림

6.1. 방영 전 정보

2024년 3월 13일부터 반다이남코코리아몰에서 가면라이더 기츠, 파워레인저 킹덤포스와 함께 네이버 쇼핑 라이브가 진행됨과 함께 완구 판매를 시작했다.

파워레인저 킹덤포스 최종화에서 스태그비틀 레드붐 레드의 바톤터치가 스킵되지 않고 방영되었다.

AGF 2024대원방송의 부스를 통해서 '파워레인저 붐붐포스'라는 이름으로 2025년 3월 애니박스에서 방영되는 것이 밝혀졌다.

한국어 발음의 편의성을 위해서인지 '분붐'이 아닌 '붐붐'으로 로컬라이징 되었으며, 분붐저 로보는 '붐붐 킹', 주요 사용 단어인 '폭상'은 '폭발'로 번안된 것으로 보인다.

2025년 2월 14일 주역들의 로컬 및 성우가 공개됐다. 레귤러 멤버들은 외부 성우 2명(이상준, 김동현), 대원 성우 3명(박성영(프리랜서), 박혜진, 장태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더리오의 성우는 이선호가 캐스팅됐다. 이외에도 매드렉스의 성우로 김영선이, 데코토라테의 성우로 박준원이 캐스팅됐다.

2025년, 카페 로콜라보와 콜라보하여 붐붐포스 카페를 운영하게 다. 기간은 2025년 3월 28일부터 5월 11일까지이다. 그리고 본편에서 특별출연 하게된 선배 파워레인저 중에서 12화에서 출연한 파워레인저 엔진포스는 2025년 4월 12일부터 4월 25일[15], 32화에서 출연한 파워레인저 트레인포스는 2025년 4월 26일부터 5월 11일까지 행사진행을 하게 한다.[16]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2025년 3월 6일, 붐붐포스 오프닝이 공개되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2. 방영 중

2025년 3월 6일에 1~2화가 오프닝곡 및 일부 성우진과 함께 선행 공개파일:유튜브 아이콘.svg되었으며, 분더리오의 성우 이선호가 변신기와 엔딩곡파일:유튜브 아이콘.svg까지 모두 맡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파일:분붐저 화면 수정 1.jpg 파일:분붐저 화면 수정 2.jpg
가면라이더 기츠 · 가면라이더 갓챠드식 화면 수정이 슈퍼전대 시리즈의 더빙판에도 처음으로 적용되었다.[17][18]

2025년 3월 15일에 4~6화에서 4화 괴인 사우나 고마와 5화 괴인 다트 고마 역에 갓 프리랜서가 된 김병현오건우가 캐스팅되었다.

2025년 3월 29일에 10~12화에서 11화에 첫 등장하는 캐논보그 역에는 신경선을, 나이도 역에는 베테랑 성우인 장광을 캐스팅했고, 추가로 안테나 고마의 성우로 투니버스 성우극회의 손수호가 출연했다. 여기에 더해 12화에선 파워레인저 엔진포스와 콜라보하여 마하 / 엔진 레드 & 엔진 스피돌을 맡았던 변현우, 엔진 버스온을 맡았던 정재헌, 엔진 베아르V를 맡았던 박지윤 성우 모두 유지되었다. 이처럼 엔진포스 본편 방영 당시의 성우들을 그대로 캐스팅하는 등 킹덤포스처럼 적극적이게 선보이고 있다. 12화에서 엔진포스의 오프닝과 성우, 용어들이 대부분 유지되었으나 로드 사벨과 엔진 킹 소드가 로드 세이버와 엔진 소드로 바뀌었다.

2025년 4월 5일에 13~15화에서 14화 괴인 냉장고 고마 역에 갓 프리랜서가 된 이동윤이, 15화에서 신전사 석이든 역에 채안석이 캐스팅됐다.

2025년 4월 12일에 16~18화에서 17화 괴인 헬스 고마역에 KBS 성우극회의 권창욱이 캐스팅됐으며, 붐 바이올렛의 테마곡인 High Speed Racer가 번안되었다.

2025년 4월 19일에 19~21화에서 21화 괴인 소화기 고마역에 KBS 성우극회의 송기원이 캐스팅됐으며, 붐 레드 119의 테마곡인 RESCUE TIME 119도 번안되었다.

4월 10일부터 브라보키즈에서도 방영했다.

4월 12일부터 대교어린이TV에서도 방영중이다.

7. 등장인물

7.1. 폭상전대 분붐저(파워레인저 붐붐포스)

파일:분붐저 단체샷.jpg
파일:분붐저 단체 나노리.jpg
<rowcolor=#ffffff> 코드명 색상 이름 배우 한국판 성우
분 레드
(붐 레드)
레드 한도 타이야 / 박차륜 이우치 하루히 이상준
분 블루
(붐 블루)
블루 메이타 이시로 / 채시온 하야마 유키 박성영
분 핑크
(붐 핑크)
핑크 시후토 미라 / 백미라 스즈키 미우 박혜진
분 블랙
(붐 블랙)
블랙 아쿠세 죠 / 추진 사이토 류 김동현
분 오렌지
(붐 오렌지)
오렌지 부레키 겐바 / 부장현 소우마 사토루 장태혁
분 바이올렛
(붐 바이올렛)
바이올렛 호무라 사키토 / 석이든 미야자와 유 채안석

의뢰를 받아 물건을 배달하는 배달상 팀.[19] 타이야의 저택 지하를 아지트와 분붐카 차고로 사용하고 있다.

분붐저란 명칭은 "분붐(분도리오 붐데라스)과 전사들"이라는 의미로, 본래는 전우주적으로 개최되는 레이싱 대회인 '빅 뱅 그랑프리'에 참여하기 위하여 결성된 팀이지만[20], 현재는 하시리얀으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서 힘을 쓰고 있다.

최초에는 한도 타이야메이타 이시로, 두 명이서만 활동하다가 도중에 시후토 미라가 참여하면서 3인 전대가 되었고 이후에 추가로 아쿠세 죠부레키 겐바가 합류하게 된다. 특별히 정해진 유니폼이 없이 멤버별로 사복을 입고 다녔으나, 빅뱅 그랑프리에 출전하기 위해서 유니폼을 입기도 한다.

공식 영어 표기명은 'Boonboomger'이지만, 변신체 명칭은 'Boon'이 아닌 'Bun'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7.2. 조력자

슈퍼전대 시리즈의 조력자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1대 2대 3대 4대 5대
에도가와 곤파치 총사령관[A] 쿠지라이 다이스케 장관[A]
히메 타마사부로
쿠라마 테츠잔 장군[A] 덴지견 아이시
덴지 공주
아라시야마 장관[A]
아라시야마 미사
6대 7대 8대 9대 10대
혼고 히데키 박사[A][B]
컴퓨터 보이즈 & 걸즈[A]
유메노 큐타로[A][B] 피보 이부키 장관[A]
리겔성인 나나
플래시 성인[B]
레이 바라키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스가타 산쥬로[A][B] 코론 다자이 박사[A][B]
요정 시론
아서 G6 오다기리 장관[A]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불가사의 선인 바쟈
생명의 요정 클로드
도사 카쿠
노도사 구혼
쿠자크
카메오[C]
네코마루
모모치 산다유[A]
미우라 나오유키[A]
감마진[D]
도린
다프[A]
VRV 마스터[D]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쿠보타 에이키치[B] 장로 오기 타츠미 몬도[A][B] 류야[E]
테토무[A]
가오갓[C]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히나타 오보로[B]
히나타 무겐사이
스기시타 류노스케[A][B]
이마나카 에밀리[D]
하쿠아 마이
도기 크루거[A][D]
시라토리 스완[B][D]
누마 O[A]
천공성자 루나젤
천공대성자 마지엘
만도라보야
스모키
야마자키 유카
마키노 모리오[B]
31대 32대 33대 34대 35대
권성 마스터 샤프
권성 샤키 첸
권성 고리 옌
권성 미셸 팽
권성 배트 리
권성 엘레펀 킹포
권성 푠 표우
마사키 미키
봄퍼[B] 쿠사카베 히코마
탄바 토시조
쿠로코
아마치 노조무
아마치 쇼이치로
마스터 헤더[A]
네비
아카레드
36대 37대 38대 39대 40대
쿠로키 타케시[A]
모리시타 토오루[B]
나카무라 미호[B]
현신 토린[A][D] 티켓
차장[D]
왜건
총재
이가사키 츠무지[D]
사이가 테츠노스케[B]
모리 마리오[D]
41대 42대 43대 44대 45대
오라이온
빅 베어 총사령관
코구레
힐톱[A]
짐 카터
티라미고[C]
세토[D]
타츠이 나오히사
타츠이 우이
류소우 족의 장로
오토
하카타미나미 무료[A]
오라딘 왕
마브시나 공주
카키하라 미즈키
고시키다 야츠데
고시키다 이사오[D]
고시키다 미츠코
플린트 골드츠이카[D]
셋짱
46대 47대 48대 49대
고시키다 카이토[D] 코가네

두가
코후키
시오카라
세바스찬
모르포냐
쿠로다
스즈메 디보우스키
게로우짐
분도리오 붐데라스[C]
사이부 시라베[A]
뷴 디젤[C]
노기 아키
니콜라 키도어
이이지마 사오리
이이지마 아오이
거신 테가소드[C]
번외
다이노포스 브레이브
기쁨의 전기 캔드릴라[A]
즐거움의 밀정 라큐로
[ 각주 펼치기 · 접기 ]

[A] 사령관 캐릭터[A] [A] [A] [A] [B] 메카닉 or 과학자 캐릭터[A] [A] [B] [A] [B] [A] [B] [A] [B] [A] [C] 거대전 메카로 활약.[A] [A] [D] 히어로로서 활약 or 히어로로 변신 가능.[A] [D] [B] [A] [B] [E] 악의 조직에 협력하여 배신.[A] [C] [B] [A] [B] [D] [A] [D] [B] [D] [A] [B] [B] [A] [A] [B] [B] [A] [D] [D] [D] [B] [D] [A] [C] [D] [A] [D] [D] [D] [C] [A] [C] [C] [A]
}}}}}}}}}

7.3. 레전드 슈퍼전대(레전드 파워레인저)

7.3.1. 염신전대 고온저(파워레인저 엔진포스)

<rowcolor=#ffffff> 코드명 색상 이름 배우 한국판 성우
고온 레드
(엔진 레드)
레드 에스미 소스케 / 마하 후루하라 야스히사 변현우

7.3.2. 열차전대 토큐저(파워레인저 트레인포스)

<rowcolor=#ffffff> 코드명 색상 이름 배우 한국판 성우
토큐 1호
(트레인 1호)
레드 라이토 / 한별 시손 쥰
토큐 6호
(트레인 6호)
오렌지 니지노 아키라 / 홍무현 나가하마 신

7.3.3. 해적전대 고카이저(파워레인저 캡틴포스)

<rowcolor=#ffffff> 코드명 색상 이름 배우 한국판 성우
고카이 블루
(캡틴 블루)
블루 조 깁켄 야마다 유키

7.4. 대우주침략대주력단 하시리얀(대우주 침략 대주력단 갤로피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우주침략대주력단 하시리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우주침략대주력단 하시리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우주침략대주력단 하시리얀#|]][[대우주침략대주력단 하시리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5. IS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SA(폭상전대 분붐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SA(폭상전대 분붐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SA(폭상전대 분붐저)#|]][[ISA(폭상전대 분붐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6. 기타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폭상전대 분붐저/기타 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상전대 분붐저/기타 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상전대 분붐저/기타 등장인물#|]][[폭상전대 분붐저/기타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무장 및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폭상전대 분붐저/무장 및 아이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상전대 분붐저/무장 및 아이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상전대 분붐저/무장 및 아이템#|]][[폭상전대 분붐저/무장 및 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등장 메카

9.1. 메인 메카

9.1.1. 슈퍼 합체

9.1.2. 궁극 합체

9.2. 레전드 메카

9.3. 악역 메카

10. 설정

  • 빅 뱅 그랑프리
    통칭 BBG[21]. 우주적으로 개최되는 레이싱 대회. 타이야와 분도리오는 이 대회를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분붐저를 결성하게 되었다.
  • 갸솔린/꺄솔린(ギャーソリン)
    사람들이 고통과 공포의 비명을 지를 때 생겨나는 에너지원. 하시리얀은 이 갸솔린을 모으기 위해 인간들을 공격한다. 어원은 비명소리인 꺄! + 가솔린
  • 기계생명체형 외계인
    분도리오 붐데라스뷴 디젤과 같은 메카형 외계인들을 부르는 호칭으로, 해당 종족들의 공식적인 명칭은 따로 정해진 것이 따로 없다. 분붐카 형태로 변형하거나, 거대화가 가능하며, 신체구조도 기계와 흡사하기 때문에 부상치료도 기계를 수리하듯 이루어 지지만 로봇이 아닌 엄연한 생물이라고 한다.
  • 하이웨이 공간
    작중 우주의 이공간 게이트. 분붐저는 분붐카 발진 및 출격을 위한 게이트로 활용하며 분붐카는 이 공간을 통과해 분붐저가 호출하는 곳 어디에든 등장하며 분붐저 로보도 적에게 방해받지 않고 합체할 수 있다. 분붐카 외에도 야이야이 야루카도 진입할 수 있으며 이 공간을 통과하여 에너지를 이용해 고마수를 거대화시킨다. 이 공간에서 분붐카와 야루카의 추격전이 벌어진다.
  • 라이트닝 테크
    한도 타이야의 스승인 나이토 라이타가 사장인 작중 굴지의 위치를 자랑하는 거대 전자기업.
  • 트리클
    니콜라 키도어 공주의 출신 행성. 현재는 하시리얀의 영토이며, 담당하는 인물은 체포대장 데이몬 썬더.
  • 부레키
    부레키 겐바의 출신 행성으로, 우수한 조달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과거에는 우주 제일의 통신판매로 유명했으나 현재는 하시리얀의 영토이며, '하시리얀 통신판매'의 본사로 쓰이는 상태. 담당하는 인물이자, 하시리얀 통신판매의 사장은 재건대장 디스레이스.
  • 빅뱅 사커

11. 방송 목록

회차 표기를 폭상(バクアゲ)/붐붐으로 쓴다.
방영일 회차 제목 각본 감독 비고
1st LAP 폭상전대 분붐저 결성
<colcolor=#373a3c><colbgcolor=#ffe300> 2024/03/03(日)
2025/03/08(韓)
폭상 1
(붐붐 1)
배달상의 핸들
(배달원의 핸들)
토미오카 아츠히로 나카자와 쇼지로 분붐저 본편 시작
2024/03/10(日)
2025/03/08(韓)
폭상 2
(붐붐 2)
정보상은 인정하지 않는다
(정보원은 인정 못 해)
2024/03/17(日)
2025/03/08(韓)
폭상 3
(붐붐 3)
운전상은 멈추지 않는다
(드라이버는 멈추지 않아)
2024/03/24(日)
2025/03/15(韓)
폭상 4
(붐붐 4)
히어로를 부르는 목소리 와타나베 카츠야
2024/03/31(日)
2025/03/15(韓)
폭상 5
(붐붐 5)
경찰상은 기죽지 않는다
(경찰관은 꺾이지 않아)
야마구치 히로시
(山口 宏)
분 블랙, 분붐저 로보 폴리스 첫 등장
2024/04/07(日)
2025/03/15(韓)
폭상 6
(붐붐 6)

(흑과 백)
히구치 타츠토
(樋口達人)
카토 히로유키
(加藤弘之)
매드렉스 첫등장
2024/04/14(日)
2025/03/22(韓)
폭상 7
(붐붐 7)
조달상의 브레이크
(조달원의 브레이크)
모리치 나츠미
(森地夏美)
분 오렌지, 분붐저 로보 빌더 첫 등장
2024/04/21(日)
2025/03/22(韓)
폭상 8
(붐붐 8)
폭주와 분열 토미오카 아츠히로 나카자와 쇼지로 분붐저 로보 펀처 첫 등장
2024/04/28(日)
2025/03/22(韓)
폭상 9
(붐붐 9)
배달상들의 핸들
(배달원들의 핸들)
분붐저 로보 나이트 첫 등장
매드렉스 퇴장
분붐저 1장 종료
2nd LAP 히어로와 파트너
2024/05/05(日)
2025/03/29(韓)
폭상 10
(붐붐 10)
들썩들썩 미션 야마구치 히로시 와타나베 준 분붐저 2장 시작
2024/05/12(日)
2025/03/29(韓)
폭상 11
(붐붐 11)
소년이 원하는 것
(소년이 갖고 싶은 것)
토미오카 아츠히로 캐논보그 첫 등장
2024/05/19(日)
2025/03/29(韓)
폭상 12
(붐붐 12)
폭상 엔진
(엔진 붐붐)
코누타 켄지 와타나베 카츠야 염신전대 고온저 콜라보 에피소드
에스미 소스케 등장
2024/05/26(日)
2025/04/05(韓)
폭상 13
(붐붐 13)
배신의 조달
(조달원의 배신)
히구치 타츠토 분붐 킬러 로보 첫 등장
2024/06/02(日)
2025/04/05(韓)
폭상 14
(붐붐 14)
와일드 모리치 나츠미 분붐저 로보 몬스터 첫 등장
2024/06/09(日)
2025/04/05(韓)
폭상 15
(붐붐 15)
자물쇠열쇠
()
야마구치 히로시 하야마 코이치로
(葉山康一郎)
2024/06/16(日)
2025/04/12(韓)
폭상 16
(붐붐 16)
보라색 해결상
(보랏빛 처리원)
토미오카 아츠히로 분 바이올렛 첫 등장
2024/06/23(日)
2025/04/12(韓)
폭상 17
(붐붐 17)
카토 히로유키 뷴븀 마하 로보 첫 등장
2024/06/30(日)
2025/04/12(韓)
폭상 18
(붐붐 18)
해결상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처리원은 마음에 들지 않아)
2024/07/07(日)
2025/04/19(韓)
폭상 19
(붐붐 19)
은하수와 하늘길 히구치 타츠토 타케모토 노보루
(竹本 昇)
윙 분붐저 로보 첫 등장
2024/07/14(日)
2025/04/19(韓)
폭상 20
(붐붐 20)
예스터데이 완스 모어[22]
(예스터데이 원스 모어)
모리치 나츠미
2024/07/21(日)
2025/04/19(韓)
폭상 21
(붐붐 21)
불꽃의 배달물
(불꽃의 배달품)
야마구치 히로시 카토 히로유키 준줌 소화 블래스터 첫 등장
2024/07/28(日)
2025/04/26(韓)
폭상 22
(붐붐 22)
불꽃의 사자 분진
(불꽃의 사자)
분붐 레온 첫 등장
2024/08/04(日)
2025/04/26(韓)
폭상 23
(붐붐 23)
불꽃의 역경 야구 코누타 켄지 분붐저 로보 119 첫 등장
2024/08/11(日)
2025/04/26(韓)
폭상 24
(붐붐 24)
전하고 싶은 노래 모리치 나츠미 하야마 코이치로
2024/08/18(日)
2025/05/03(韓)
폭상 25
(붐붐 25)
여섯 바퀴의 불꽃 히구치 타츠토 캐논보그 퇴장
분붐저 2장 종료
3rd LAP 정체와 결의
2024/08/25(日)
2025/05/03(韓)
폭상 26
(붐붐 26)
우주의 비밀 토미오카 아츠히로 나카자와 쇼지로 디스레이스 첫 등장
분붐저 3장 시작
2024/09/01(日)
2025/05/03(韓)
폭상 27
(붐붐 27)
달콤하지 않은 선택 부레키 겐바 분붐저 탈퇴
2024/09/08 폭상 28
(붐붐 28)
빛을 뿌리치고 와타나베 카츠야 매드렉스 부활
2024/09/15 폭상 29
(붐붐 29)
스파이와 패밀리
2024/09/22 폭상 30
(붐붐 30)
폭주는 나의 것 야마구치 히로시 타케모토 노보루
2024/09/29 폭상 31
(붐붐 31)
화려한 도전 코누타 켄지
2024/10/06 폭상 32
(붐붐 32)
지옥의 전차 놀이 모리치 나츠미 나카자와 쇼지로 열차전대 토큐저 콜라보 에피소드
라이토, 니지노 아키라 등장
2024/10/13 폭상 33
(붐붐 33)
조달상은 양보하지 않는다 히구치 타츠토 챔피언 분붐저 등장
부레키 겐바 분붐저 복귀
매드렉스 재퇴장
2024/10/20 폭상 34
(붐붐 34)
꿈을 옮기는 차 토미오카 아츠히로 와타나베 카츠야 챔피언 캐리어 첫 등장
와루이도 스핀도 첫 등장
2024/10/27 폭상 35
(붐붐 35)
푸른 제왕 분붐저 로보 챔피언 첫 등장
디스레이스 퇴장
분붐저 3장 종료
FINAL LAP 우주와 지구와 너의 핸들
2024/11/10[23] 폭상 36
(붐붐 36)
꿈을 향해 달리는 길 토미오카 아츠히로 와타나베 카츠야 분붐저 최종장 시작
2024/11/17 폭상 37
(붐붐 37)
두 명의 스파이 하야마 코이치로
2024/11/24 폭상 38
(붐붐 38)
산시타의 맹세 히구치 타츠토 그란츠 리스크 첫 등장
2024/12/01 폭상 39
(붐붐 39)
비명의 행성 토미오카 아츠히로 나카자와 쇼지로
2024/12/08 폭상 40
(붐붐 40)
잴 수 없는 남자 모리치 나츠미
2024/12/15 폭상 41
(붐붐 41)
맡길 수 있는 등 히구치 타츠토 카토 히로유키
2024/12/22 폭상 42
(붐붐 42)
거룩한 밤의 선물 호죠 치나츠
(北条千夏)
2025/01/05[24] 폭상 43
(붐붐 43)
호쾌한 핸들 토미오카 아츠히로 나카자와 쇼지로 해적전대 고카이저 콜라보 에피소드
조 깁켄 등장
메이타 이시로 분붐저 탈퇴
2025/01/12 폭상 44
(붐붐 44)
배달상이 도착하지 않는다 미야자키 슌
(宮﨑 駿)
분도리오 붐데라스 일시 퇴장
2025/01/19 폭상 45
(붐붐 45)
지구의 적 하야마 코이치로 디스레이스 부활 및 재퇴장
2025/01/26 폭상 46
(붐붐 46)
미래를 이 손에
2025/02/02 폭상 47
(붐붐 47)
배달상은 혼자가 아니야 나카자와 쇼지로 메이타 이시로 분붐저 복귀
2025/02/09 폭상 FINAL
(붐붐 )
너의 핸들 그란츠 리스크 퇴장
분도리오 붐데라스 부활
와루이도 스핀도 퇴장
분붐저 본편 종료

특정 에피소드의 타이틀에 "~가 ~하지 않는다."라는 표현이 존재하는데, 각 멤버들의 메인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다. 다음은 그 타이틀의 목록이다.

12. 스토리라인

<colcolor=#373a3c><colbgcolor=#ff0000> #1 VS 웨딩드레스 구루마
야이야이 야루카
#2 VS 청소기 구루마
야이야이 야루카
#3 VS 시계 구루마
야이야이 야루카
#4 VS 사우나 구루마
야이야이 야루카
#5 VS 다트 구루마
야이야이 야루카
#6 VS 매드렉스
화장실 구루마
야이야이 야루카
#7 VS 매드렉스
블록베이 구루마
야이야이 야루카
#8~9 VS 매드렉스
#10 VS 코이노보리 구루마
야이야이 야루카
#11 VS 안테나 구루마
야이야이 야루카
#12 VS 게다 구루마
야이야이 야루카
#13 VS 분붐 킬러 로보
#14 VS 분붐 킬러 로보
냉장고 구루마
#15 VS 화석 구루마
#16 VS 소드 구루마
#17 VS 짐 구루마
#18 VS 분붐 킬러 로보
소드 구루마 리벤지
#19 VS ATM 구루마
#20 VS 그릇 구루마
#21 VS 소화기 구루마
#22 VS 텐트 구루마
#23 VS 글러브 구루마
#24 VS 어쿠스틱 기타 구루마
#25 VS 캐논보그
#26 VS 화장실 구루마 리미티드
#27 VS 디스레이스
카펫 구루마
#28 VS 네온 구루마
매드렉스 퓨리
#29 VS 공 구루마
매드렉스 퓨리
#30 VS 매드렉스 퓨리
분붐 킬러 로보
#31 VS 시계 구루마 세컨드
디스레이스
#32 VS 선로 구루마
#33 VS 매드렉스 퓨리
벽돌블럭 구루마
군고구마 구루마
#34 VS 분붐 킬러 로보
일렉트릭 기타 구루마
#35 VS 디스레이스
#36 VS 2대 청소기 구루마
2대 냉장고 구루마
#37 VS 카메라 구루마
#38 VS 분붐 킬러 로보
형님의 어쿠스틱 기타 구루마
아우의 일렉트릭 기타 구루마
#39 VS 스펀지 구루마
그란츠 리스크
#40 VS 체중계 구루마
#41 VS 축구공 구루마
슈퍼 그레이트 짐 구루마
#42 VS 쓰레기통 구루마
#43 VS 보물상자 구루마
#44 VS 와루이도 스핀도
분붐 킬러 로보
#45 VS 디스레이스 2000
#46 VS 고마수 구루마
#47-48 VS 와루이도 스핀도
그란츠 리스크

13.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폭상전대 분붐저/평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상전대 분붐저/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상전대 분붐저/평가#|]][[폭상전대 분붐저/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시청률 & 완구 판매량

14.1. 매출

15. 관련 작품

15.1. 영화

15.2. 코믹스

  • 폭상전대 분붐저 formation lap 정보상의 비밀(유어 아이즈 온리)
    파일:분붐저 코믹스.jpg

    메이타 이시로가 한도 타이야와 운명적으로 만나, 분붐저를 결성하기까지의 알려지지 않은 스토리



    토에이 특촬 팬클럽

16. 기타

  • 티저 포스터에도 등장하는 타이야가 평상시에 타고 다니는 붉은 자동차는 분붐카 중 하나인 분붐 슈퍼카로, 베이스 차량은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인 미츠오카에서 창업 50주년 기념으로 생산한 미츠오카 록스타이다. 이후 공식 홈페이지 소식을 통해서 차량 제공 협력을 하겠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 타이야의 지하실이자 분붐저의 아지트에 걸려있는 3개의 타이어 장식에는 각각 TURBO_1989_2-25, CARRAN_1996_3-01. GO-ON_2008_2-17의 넘버가 새겨져 있다.[25] 이것 말고도 고온저의 긴지로호 미니어처가 있으며 12화 엔딩의 교통 안전 코너에서 소스케가 이걸 들고 앞으로 쭉 내미는 장면이 나온다.[26]
  • JAF(일본 자동차 연맹)과의 콜라보레이션 시책으로 3화 엔딩부터는 교통 안전 코너가 진행된다. 어린이들의 교통 안전 계발하고, 4월부터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어린이들을 둔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을 만한 정보를 제작할 것임을 밝혔다.
  • 일본의 타이어 회사인 카포트 마루젠과의 콜라보가 이루어졌다.
  • 27화는 악역을 디자인한 시마모토 카즈히코가 자신이 디자인한 악역에게 된통당하는 역할로 배우 출연하였다.
  • 2025년 2월 경, 분붐저 멤버들의 공식 나이 & 프로필이 공개되었다. #

17. 같이 보기

파일:분붐저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등장인물
선역 등장 전사
악역 대우주침략대주력단 하시리얀
설정
주역 메카무장 및 아이템
음악
오프닝 & 엔딩 폭상전대 분붐저코츠코츠-PON-PON
삽입곡 RIDE ON! 분붐저 로보 • High Speed Racer • RESCUE TIME 119
관련 작품
극장판 폭상전대 분붐저 극장BOON! 프로미스 더 서킷
스핀오프
코믹스판 폭상전대 분붐저 formation lap 정보상의 비밀(유어 아이즈 온리)
VS 시리즈 폭상전대 분붐저 VS 킹오저
← 임금님전대 킹오저넘버원전대 고쥬저 → }}} }}} }}}



[1] #[2] 특수 9의 프로듀서이기도 한 인물로 서부경찰 SPECIAL의 프로듀서이기도 한 인물이다.[3] 메인 각본 담당.[4] 樋口達人. 주로 선라이즈 계열의 로봇 애니메이션에서 서브 각본을 많이 맡았다. 특촬 관련은 후토탐정 애니메이션의 시리즈 구성 담당이 있다. 그 외 시리즈 구성 대표작은 크로스 앙쥬 천사와 용의 윤무,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시리즈 등이 있다.[5] 森地夏美. 토에이의 신입 각본가 중 하나. 디지몬 어드벤처:, 고스트 게임: 디지몬, 도주중 그레이트 미션 등에 서브로 참가했으면 특촬은 이번이 처음.[6] '바쿠(爆)'는 음독, '아게(上)'는 훈독이다.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부터 3연속으로 이어 전대명에 한자의 음독과 훈독이 혼용된다.[7] 매너리즘 관련 문제점이란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영웅으로서의 면모'를 부각시키는 전개의 고착화를 의미한다. 이는 고속전대 터보레인저지구전대 파이브맨을 통해 제기되면서 슈퍼전대 시리즈가 종영 위기에 놓이게 되었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조인전대 제트맨 이후부터 참신한 변화요소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드라마에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미래전대 타임레인저에서 생겨난 성인층 취향의 어둡고 진지한 분위기로 인한 역대 최저의 완구 매출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백수전대 가오레인저를 시작으로 아동 친화적인 스토리로 원점회귀를 하게 되면서 슈퍼전대 시리즈가 드라마 시청률과 완구 수익 모두 승승장구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매너리즘 관련 문제가 수리검전대 닌닌저를 기점으로 재점화되었고, 이것이 기사룡전대 류소우저의 부진과 함께 슈퍼전대 시리즈의 평가와 매출이 대폭 감소하는 원인이 되었다.[8] 이후 시라쿠라 신이치로가 슈퍼전대 시리즈에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는 언급과 함께 기계전대 젠카이저부터 임금님전대 킹오저까지 작품들이 매너리즘 타파를 위해 새로운 요소들을 시도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기계전대 젠카이저는 역대 슈퍼전대들 중 개그물이 강한 전대물들의 개그를 초월할 정도로 슈퍼전대의 기념작에 걸맞은 팬 서비스와 개그물,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는 슈퍼전대 시리즈 최초의 피카레스크, 임금님전대 킹오저는 평가 문서에 나오듯 민영 드라마의 한계를 초월한 작품이라 불릴 정도의 성공적인 왕도물 판타지라는 점에서 각자의 큰 인상을 남겨서 매너리즘을 확실하게 타파시킬 수 있었다.[9] 보통 토미오카 메인 각본의 작품은 서브 각본가들과 함께 작업하면서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파트를 본인이 담당한다. 예외가 있다면 산죠 리쿠수전전대 쿄류저가 그 예시인데 쿄류저의 경우 젠카이저부터 킹오저까지의 전개처럼 작가 본인이 1화부터 최종화까지 본인이 전부 집필했다.[10] 단순히 타이어를 활성화해 갈아버리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활성화된 타이어를 적에게 날리거나, 분붐 핸들로 원격조작해 공격하거나, 혹은 타이어를 허공에 배치한 상태로 본인이 그 사이로 들어가서 사출되며 가속도를 받아서 공격하는 등 아주 다양하게 활용한다. 메카 탑승시에도 슈트에 달린 타이어가 펼쳐지며 조종석으로 순간이동해서 착석한다.[11] 그래서 다른 전대들의 슈트에선 오페코트 재질의 슈트를 최종적으로 결속하기 위해 갖춰진 지퍼가 통상적으로 등쪽에 위치했던 반면(물론 해적전대 고카이저처럼 이너슈트 위에 퍼스널 컬러 재킷을 걸치는 형태로 지퍼를 가린 케이스도 있다.), 분붐저의 슈트는 지퍼가 디자인의 모티브이기도 한 레이싱복이나 특명전대 고버스터즈의 슈트처럼 몸통 앞쪽에 존재한다. 그리고 목덜미도 몸통의 옷감과 바로 이어지지 않고 레이싱 슈트나 고버스터즈의 슈트처럼 한 겹 더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차이가 있다면 고버스터즈는 상하의가 분리된 별개의 슈트로 상의의 지퍼 라인이 그대로 드러나지만, 분붐저의 슈트는 상하의가 일체형이며 지퍼도 슈트의 옷감이 덮고 있어서 옷감 아래에 지퍼가 있음을 알 수 있는 자국만 드러난다는 점이다.[12] 실제로 분붐카에 탑승하면 버클에서 안전벨트가 펼쳐져 시트와 연결된다.[13] 이 작품에서 입술 디자인은 딱 한 번 나오긴 했다. 그리고 그 이전에 우주전대 큐레인저도 인간형 레귤러 멤버들은 변신 시 입술이 있는 헬멧을 착용했으나, 은색이 아닌 멤버별 퍼스널 컬러와 동일한 색이었다. 때문에 헤비츠카이 실버도 퍼스널 컬러가 실버라 은색 입술을 가졌을 뿐, 통상적으로 이어져 오던 은색 입술과는 유형이 다르며, 입술의 생김새도 조금 다르다.[14] 분 블랙과 오렌지는 예외적으로 왼쪽 어깨에 견갑이 달려 있다.[15] 이 행사는 거의 대부분 2009년에 방영할때쯤, 어릴 때 즐겨보았던 연령층(2002년생 ~ 2007년생) 출생자들이 크게 관심을 가지게 된다.[16] 본편 43화에서 출연하는 파워레인저 캡틴포스는 유일하게 행사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17] 다만 일부 장면은 오른쪽 사진과 같이 일본어 위에 한글 해석을 적어놓았다.[18] 그 이전까진 에피소드 타이틀만 수정했고, 나머지 글자는 화면 아래쪽에 노란색으로 자막 처리했다.[19] 음식 배달부나 퀵 서비스처럼 일상생활과 가까운 배달부가 아니라, 돈만 된다면 의뢰인의 신분이나 물건의 종류를 따지지 않고 운반하는 운반책과 비슷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대충 트랜스포터에 나오는 개념과 비슷한 것.[20] 17화에 따르면 원래는 분도리오가 레이서였던 시절, 뷴 디젤과 같은 팀으로 활약할 당시 분도리오가 뷴 디젤과의 레이싱에서 승리해서 결정한 팀 이름이었다.[21] Big Bang Grandprix. 이는 분붐저(BoonBoomger)의 이니셜이기도 하다.[22] 완스의 완(椀)는 그릇을 뜻한다.[23] 11월 3일은 전일본대학역전으로 인한 결방.[24] 12월 29일은 송년회 기념 대체 방송으로 인해 결방했다.[25] 앞의 영어는 각각의 전대의 이름, 숫자는 방영년도와 날짜이며 휠 중앙에는 각 전대의 로고가 박혀있다.[26] 이 액션은 후루하라 야스히사의 요청으로 넣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