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align=center><tablewidth=800px><tablebordercolor=red><tablebgcolor=red> ![파일:슈퍼전대 로고.png]()
슈퍼전대 시리즈 ||
슈퍼전대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rowcolor=#fff> 1대 (1975) | 2대 (1977) | 3대 (1979) | 4대 (1980) | 5대 (1981) |
<rowcolor=#fff> 6대 (1982) | 7대 (1983) | 8대 (1984) | 9대 (1985) | 10대 (1986) | |
<rowcolor=#fff> 11대 (1987) | 12대 (1988) | 13대 (1989) | 14대 (1990) | 15대 (1991) | |
<rowcolor=#fff> 16대 (1992) | 17대 (1993) | 18대 (1994) | 19대 (1995) | 20대 (1996) | |
<rowcolor=#fff> 21대 (1997) | 22대 (1998) | 23대 (1999) | 24대 (2000) | 25대 (2001) | |
<rowcolor=#fff> 26대 (2002) | 27대 (2003) | 28대 (2004) | 29대 (2005) | 30대 (2006) | |
<rowcolor=#fff> 31대 (2007) | 32대 (2008) | 33대 (2009) | 34대 (2010) | 35대 (2011) | |
<rowcolor=#fff> 36대 (2012) | 37대 (2013) | 38대 (2014) | 39대 (2015) | 40대 (2016) | |
<rowcolor=#fff> 41대 (2017) | 42대 (2018) | 43대 (2019) | 44대 (2020) | 45대 (2021) | |
<rowcolor=#fff> 46대 (2022) | 47대 (2023) | 48대 (2024) | 49대 (2025) | ||
번외 | |||||
<colbgcolor=#ffffff,#191919>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 | |||||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브레이브 | |||||
4주 연속 스페셜 슈퍼전대 최강 배틀!! | |||||
히어로 마마 리그 | }}}}}}}}} |
슈퍼전대 시리즈 크로스오버 작품 | |||
| |||
해적전대 고카이저 (2011) | 기계전대 젠카이저 (2021)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2022) | 넘버원전대 고쥬저 (2025) |
슈퍼 히어로 타임 현재 방영작품 | |
가면라이더 시리즈 | 슈퍼전대 시리즈 |
가면라이더 가브 | 넘버원전대 고쥬저 |
2024.9.1. ~ 2025 | 2025.2.16. ~ |
넘버원전대 고쥬저 ナンバーワン戦隊 ゴジュウジャー No.1 Sentai Gozyuger (2025) | ||
| ||
방송 시간 | 일요일 오전 9:30 ~ 10:00 (30분 방영) | |
방송 기간 | ● 일본: 2025년 2월 16일 ~ 2026년 | |
상표 공개일 | 2024년 11월 1일 | |
방송 횟수 | ||
제작 | 테레비 아사히, 토에이, 토에이 에이전시 | |
채널 | ● 일본: 테레비 아사히 | |
원작 | 야츠데 사부로 | |
프로듀서 | 테레비 아사히: 오오카와 타케히로, 시바타카 케이스케 | |
토에이: 마츠우라 다이고 | ||
토에이 에이전시: 야다 코이치 | ||
연출 | 타사키 류타 외 | |
각본 | 이노우에 아키코 외 | |
내레이션 | ||
음악 | 사와다 칸 | |
출연 | 후유노 미오, 스즈키 히데하루, 칸다 마사카즈, 마츠모토 진, 이마모리 마야, 나카고시 노리코, 카루마, 마루피 외 | |
첫 에피소드 | 구세주 넘버원! (救世主ナンバーワン!) | |
시청 등급 | ||
링크 |
[clearfix]
1. 개요
[ruby(最強, ruby=ナンバーワン)]は 5[ruby(人, ruby=にん)]もいらねぇ! [ruby(최강, ruby=넘버원)]은 5명이나 필요 없어! 캐치프레이즈 |
주제는 최강 & 경쟁. 모티브는 맹수 + 크로스오버 + 반지.
2. 특징
- 제작 관련
- 공식 영문 표기에 'No.1'이 삽입되었으며, 고쥬저의 '고쥬'는 일본어로 50이라는 뜻으로, 시리즈 5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하고 있다. 동시에 첫 번째 시리즈 및 명칭에 5가 들어가는 비밀전대 고레인저의 이름을 오마주하였으며, 고레인저와 고쥬저의 심볼을 합쳐서 50주년 로고를 형상화하고 있다.
- 슈퍼전대 시리즈 50주년 기념 코멘트와 PV 영상을 통해 레드의 모습이 최초로 공개되었다.
- 작품 순서로는 49번째지만, 전대 자체는 50번째로 취급한다. 이는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를 각각 42, 43번째로 분류하여 한 자리 더 옮겼기 때문이다.[1]
- 이렇게 기념 일정을 조정한 것은 지금까지 슈퍼전대와 가면라이더를 '더블 애니버서리'로 같은 해에 기념작을 만들어왔는데, 이는 기업 입장에서는 편리한 방식이지만 필연적으로 둘 중 하나는 묻히게 된다는 결론이 나와서였다. 이에 세이버 + 젠카이저 슈퍼 히어로 전기를 마지막으로 더블 애니버서리를 접고 전대와 라이더 각각의 노선을 분리하는 것이 첫번째. 두 번째는 더블 애니버서리를 하다보니 라이더는 '탄생 x주년', 전대는 'y작품' 기념작을 만들게 되었는데 이러다보니 사람들이 슈퍼전대의 '주년'과 '대수'를 혼동하는 일이 자주 벌어졌고, 이에 고쥬저를 만들면서 세계관을 정리하고 혼동을 줄이자는 것이다. 이것은 2021년 슈히전 당시 시라쿠라가 암시했던 이야기이다.#
- 제작발표회는 1월 24일(금)에 TTFC 회원들을 모집한 상태에서 진행하고 1월 26일(일)에 유튜브에서 TTFC 비회원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에게 공개되며, 여기서는 전작 4인의 주인공 고시키다 카이토(코마기네 키이타) & 모모이 타로(히구치 코헤이) & 기라(사카이 타이세이) & 한도 타이야(이우치 하루히)가 참가한다.
- 프로듀서 마츠우라 다이고는 시라쿠라 신이치로와 함께한 애니메이트 타임즈의 인터뷰에서 "이번 작품에서는 '레전드'라는 단어를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했다"고 언급했다. 과거 작품에 레전드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토에이 특촬 뿐이며, 울트라맨 시리즈나 건담 시리즈는 레전드라는 표현을 쓰지 않는다는 것. 예를 들어 RX-78을 레전드 건담이 아니라 퍼스트 건담이라고 부르는 식으로.
과거 작품으로 확실한 비지니스를 성립시키는 두 시리즈와 달리, 토에이의 특촬 시리즈는 '1년 장사'라는 이미지이기 때문에 1년 간격으로 메인 상품 캐릭터가 바뀌어버리고, 이것은 토에이특촬 IP 전체적으로 부족한 시점이라고 한다. '레전드' 전대라고 말해버리면, 그 순간 어린이들에게는 '아저씨 세대의 것'이라는 장벽이 되어버린다는 것. 그래서 마츠우라는 위인이 아니라 이웃같은 감각으로 과거의 전대를 접해주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레전드'라는 표현을 쓰지 않기로 했다고 한다.
|
- 설정 관련
- 모티브는 동물인데, 범위를 크게 잡은 것인지 공룡 같은 고생물이나 유니콘 같은 환상종도 포함되었다.
- 레드의 모티브는 늑대이며, 개과 동물이 주인공으로 지정된 경우로는 최초이다.
- 세계 각지에 흩어진 역대 슈퍼전대의 힘이 담긴 전대 링을 모두 모으기 위해서 싸우는 것이 기본 설정이며, 이 전대링을 모두 모으면 테가소드가 소원을 들어 준다. 이를 위해서 기본적인 악역 괴인과의 대결뿐만 아니라 역대 레드들의 힘을 손에 넣은 라이벌들, 심지어는 같은 고쥬저 멤버들끼리도 경쟁해야 하는 배틀로얄 요소가 추가됐다. 아예 시작부터 테가소드 로보를 중심으로 모든 전대 로봇들이 파괴되어 잔해가 널려 있는 장면이 나오며 역대 전대들의 봉인된 힘이 흩어져있음이 드러난다.
- 경쟁을 목적으로 서로 싸운다는 점 때문인지 대전 격투 게임의 요소 또한 연출에 가미되어 있다. 슈퍼 히어로 타임 오프닝과 적과의 배틀에서도 대전 격투 게임에서 볼 수 있는 캐릭터끼리의 대치구도와 함께 VS 구도를 갖추며, 거대전의 경우 아예 권투나 프로레슬링에서 볼 수 있는 사각 링에 양 조종사가 마주서서 나노리를 외치고 거대전에 들어간다. 심지어 1화에 나온 주인공인 레드의 전투 액션만 해도 대놓고 격투게임의 필살기를 연상시키도록 연출되어 있으며, 아예 전투 후에는 승리자를 표현하는 WINNER의 문구와 함께 아나운서의 승리 선언이 울려퍼지기도 한다.
- 슈퍼전대 시리즈 최초로, 특이하게도 로봇에 탑승할 때에 변신하지 않고 얼굴이 그대로 드러난 파일럿 슈츠만을 입는다. 고쥬저 변신과 로봇 조종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 마츠우라 프로듀서 역시 오디오 코멘터리에서 이 연출은 향후 고정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연출을 한 이유는 변신기인 테가소드 자체가 로봇으로 변신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번 작품을 '로봇물'로써 어필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다고 한다. 1화에서 고쥬 울프의 변신체 전투보다도 거대로봇전이 먼저 등장한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 배색 및 디자인 관련
- 그린 전사가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이후 5년만에 레귤러에 포함되었다.
- 슈트와 무장 등의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손과 발톱을 모티브로 해서 날카로운 느낌을 가지고 있다.
- 슈퍼전대 시리즈 최초로 레귤러 여성 블랙 전사가 등장한다. 대신 여성임을 강조하기 위해서 서브 컬러는 핑크가 곳곳이 치장되어 있다.
3. 시놉시스
4. 키 비주얼
|
1장 (1화 ~ ) |
5. 예고편
티저 영상 |
정식 예고편 |
6. 주제곡
6.1. 오프닝: Winner! 고쥬저!
6.2. 엔딩: 빌리빌리 Be-lie-ving
6.3. 삽입곡
6.4. 영화 및 외전곡
7. 국내 방영
7.1. 방영 전 정보
8. 등장인물
8.1. 넘버원전대 고쥬저
| |||
<rowcolor=#ffffff> 코드명 | 색상 | 이름 | 배우 |
고쥬 울프 | 레드 | 토노 호에루 | 후유노 미오 |
고쥬 레온 | 블루 | 뱌쿠야 리쿠오 | 스즈키 히데하루 |
고쥬 티라노 | 옐로 | 바쿠가미 류기 | 칸다 마사카즈 |
고쥬 이글 | 그린 | 타케하라 킨지로 | 마츠모토 진 |
고쥬 유니콘 | 블랙 | 이치카와 스미노 | 이마모리 마야 |
거신 테가소드의 선택을 받고 각자의 소원을 이루기 위해 싸워나가는 다섯 명의 전사들.
이들은 전부 모종의 사유로 인해서 주변인을 잃거나, 버림받고 소외되면서 외톨이가 되었으며 각자 이름에 변신체의 모티브가 된 동물과 연관된 한자가 들어간다.
8.2. 조력자
8.3. 노 원 월드 브라이던
8.4. 유니버스 전사
유니버스 전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bgcolor=white,#191919> 츠츠미 나츠메 (쿠와가타 오저) | () | () | () | () | }}}}}}}}} |
8.5. 기타 등장인물
9. 무장 및 아이템
10. 등장 메카
10.1. 메인 메카
10.1.1. 슈퍼 합체
10.1.2. 궁극 합체
10.2. 악역 메카
11. 설정
- 전대 링
- 유니버스 대전
과거 시공의 틈새에서 벌어진 슈퍼전대의 메카들과 어느 재앙간에 벌어진 전투. 초반에는 슈퍼전대 측이 선전했으나 전황이 장기화되자 끊임없이 몰려드는 재앙의 군세가 슈퍼전대의 메카들을 쓰러뜨리고 모든 세계를 어둠으로 뒤덮어버리고 만다. 불리한 상황에서 누군가의 간절한 기도가 닿아 테가소드 로보가 참전, 모든 유니버스 로보들의 힘을 이어받아 전황을 역전시켜 승리를 거둔다. 그러나 재앙을 비롯한 모든 것이 멸망했고, 간신히 승리한 테가소드 로보 역시 상처를 입은채 긴 잠에 빠져든다. 이때 테가소드 로보의 힘은 반지가 되어 우주에 흩뿌려 진다. - 노 원 월드
인간계를 모델로 만들어진 수수께끼의 세계. 브라이던이 군림하고 있다. - 배틀 드레스
고쥬저가 테가소드 로보를 조종할 때 착용하는 전투복. 배틀 드레스를 착용하면 변신이 해제된다. - 찻집 반세기 → 테가소드 마을
이이지마 사오리가 운영하는 찻집으로, 교회였던 건물을 찻집으로 리노베이션 하였다고 한다. 찻집 2층에서는 호에루가 하숙하며 지내고 있다. 이후 찻집을 류기에게 물려주는데 테가소드 신봉자답게 가게 이름을 '테가소드 마을'로 변경해버린다.
12. 방송 목록
방영일 | 회차 | 제목 | 각본 | 감독 |
<colcolor=#373a3c><colbgcolor=#ffe300> 2025/02/16 | 1화 | 구세주 넘버원! | 이노우에 아키코 | 타사키 류타 |
2025/02/23 | 2화 | 붕 잡아라 보물! 내 사냥감이다[2] | ||
2025/03/02 | 3화 | |||
2025/03/09 | 4화 | |||
2025/03/23 | 5화 | |||
2025/03/30 | 6화 | |||
2025/04/06 | 7화 | |||
2025/04/13 | 8화 | |||
2025/04/20 | 9화 | |||
2025/04/27 | 10화 | |||
2025/05/04 | 11화 | |||
2025/05/11 | 12화 | |||
2025/05/18 | 13화 | |||
2025/05/25 | 14화 | |||
2025/06/01 | 15화 | |||
2025/06/08 | 16화 | |||
2025/06/15 | 17화 | |||
2025/06/22 | 18화 | |||
2025/06/29 | 19화 | |||
2025/07/06 | 20화 | |||
2025/07/13 | 21화 | |||
2025/07/20 | 22화 | |||
2025/07/27 | 23화 | |||
2025/08/03 | 24화 | |||
2025/08/10 | 25화 | |||
2025/08/17 | 26화 | |||
2025/08/24 | 27화 | |||
2025/08/31 | 28화 | |||
2025/09/07 | 29화 | |||
2025/09/14 | 30화 | |||
2025/09/21 | 31화 | |||
2025/09/28 | 32화 | |||
2025/10/05 | 33화 | |||
2025/10/12 | 34화 | |||
2025/10/19 | 35화 | |||
2025/10/26 | 36화 | |||
2025/11/09 | 37화 | |||
2025/11/16 | 38화 | |||
2025/11/23 | 39화 | |||
2025/11/30 | 40화 | |||
2025/12/07 | 41화 | |||
2025/12/14 | 42화 | |||
2025/12/21 | 43화 | |||
2026/01/04[3] | 44화 | |||
2026/01/11 | 45화 | |||
2026/01/18 | 46화 | |||
2026/01/25 | 47화 | |||
2026/02/01 | 48화 | |||
2026/02/08 | 49화 | |||
2026/02/15 | 최종화 |
13. 스토리 라인 & 에피소드 가이드
<colcolor=#373a3c><colbgcolor=#ffe300> #1 | VS | 파이어캔들(in 킹 캔들러) 츠츠미 나츠메(쿠와가타 오저) |
주요 등장인물 첫 등장 |
14. 평가
14.1. 방영 전
메인 각본가인 이노우에 아키코는 첫 특촬 각본인 가면라이더 갓챠드에서 서브 각본을 맡았을 때 좋은 평가를 받았기에 일본과 한국 양쪽에서 큰 기대를 받고 있다. 게다가 메인 감독인 타사키 류타가 기본 연출력도 좋고 안정적인 퀄리티를 보여주어서 고쥬저의 연출에 대해서도 이목이 쏠렸다.14.2. 방영 후
1화부터 파격적인 전개와 뛰어난 연출력을 보여주며 호평을 받았다.14.2.1. 장점
- 파격적인 전개
바로 지난주에 종영된 전작의 주연 한도 타이야의 배우를 다시 등장시켰을 뿐만 아니라, 한도 타이야의 게스트 출연도 아닌 배우만 같은 아예 다른 캐릭터에 그 캐릭터가 갑자기 전대로 변신을 하고 한술 더 떠서 배우 본인의 배역인 분 레드가 아닌 전전작의 주역인 쿠와가타 오저로 변신하는 파격적인 전개를 보여준다.
- 뛰어난 연출력
대전 격투 게임에서 볼 법한 뛰어난 콤보 액션 연출력을 보여주며 호평을 받았다. 이에 한 시청자의 격투게임 같은 액션이 흥미롭다는 트윗에 철권 시리즈 프로듀서를 역임중인 하라다 카츠히로가 반응을 보여주었다.#
14.2.2. 호불호
- 본토와 달리 한국에서는 평이 갈리는 슈트 디자인
본토 내에서는 각 멤버들의 슈트 디자인과 메카의 디자인이 멋있다는 평이 많다. 허나, 한국에서는 검은색 베이스에 금색이 곳곳에 섞인 컬러, 그리고 동물을 형상화 한 슈트 디자인이 뭉친 결과 중국 특촬물이 연상된다는 평이 다수 존재한다.
14.2.3. 단점
14.2.4. 총평
15. 시청률 & 완구 판매량
15.1. 매출
첫 방영 당시에 테가소드 DX 판매량이 엄청나서 일본의 마트 한 곳에서 매진되었다고 한다. #첫 방영 후에 며칠 뒤에는 다른 마트에서는 테가소드 DX 관련 완구 뿐만 아니라 레온 버스터 50 & 티라노 해머 50 완구도 상당히 매진되었다고 나온다.#
16. 관련 작품
16.1. 영화
17. 기타
- 가면라이더 갓챠드의 각본가 중 한 명인 이노우에 아키코가 메인으로 담당하게 된 첫 슈퍼전대 시리즈 작품이며, 아버지 이노우에 토시키와 함께 가면라이더 시리즈와 슈퍼전대 시리즈의 각본을 모두 맡게 되었다.
- 작품 곳곳에 기동무투전 G건담의 오마주 요소가 들어있는 것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1화 처음부터 역대 전대 메카들[4]이 파괴된 채 널부러져 있고, 거기에 테가소드 로보가 위로 올라가 손가락을 하늘로 치켜올리는 G건담의 한 장면을 연상케 하는 장면으로 시작했다.# 게다가 주인공의 기체인 테가소드 레드는 G건담의 주역 기체가 연상되는 디자인이며[5], 로봇들의 거대전도 Ready Go!라는 구호와 함께 마치 시합을 개시하는 듯이 묘사된다.
18.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등장인물 | |
선역 | 등장 전사 | |
악역 | 노 원 월드 브라이던 | |
설정 | ||
주역 메카ㆍ무장 및 아이템 | ||
음악 | ||
오프닝 & 엔딩 | Winner! 고쥬저! • 빌리빌리 Be-lie-ving | |
삽입곡 | ||
관련 작품 | ||
극장판 | 극장판 넘버원전대 고쥬저 | |
스핀오프 | ||
외전 | 넘버원전대 고쥬저 애니버서리 토론회 | |
← 폭상전대 분붐저 | }}} }}} }}} |
[1] 기계전대 젠카이저의 전대 기어는 넘버 자체는 42번으로 동일하지만 루팡레인저와 패트레인저가 각각 따로 존재하며,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의 괴인인 히토츠귀도 쾌도귀와 경찰귀가 따로 있으며 아예 별개의 에피소드로 나왔다. 같은 작품이긴 해도 전대 자체는 별도로 취급하고 있다. 어디까지나 루팡레인저과 패트레인저를 별도로 분리한 것이지 후속 작품들의 순번이 밀린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고쥬저가 50번째 작품이라고 착각해서는 안 된다.[2] '붕 잡아라'의 원문인 '분도레(ブン捕れ)'는 분도리오 붐데라스의 이름 유래 중 하나인 형용사 '분도루(ぶんどる, 훔치다)'와 폭상전대 분붐저의 분(ブン)을 합친 표현.[3] 12월 28일 신년 휴방.[4] 화면에 작게라도 보이는 요소를 기준으로, 좌 → 우 순으로 루팡카이저, 젠카이오 쥬라가온, 마지 킹, 킹오저, 토큐오, 오레인저 로보, 무적장군, 데카레인저 로보, 가오 킹, 다이덴진, 대수신, 돈 오니타이진, 분붐저 로보 순이다.[5] 심지어 사용하는 기술 중에도 상대방의 머리를 손으로 잡아 뜯는 듯한 기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