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02:18:09

빈트후크

빈트훅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0deg, #003680 20%, #fece00 20%, #fece00 23%, #003680 23%, #003680 74%, #fff 74%, #fff 76%, #d21033 76%, #d21033 85%, #ffffff 85%, #ffffff 87%, #009543 87%)"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9543>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독일령 남서아프리카 · 남서아프리카 위임통치령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영연방
경제 경제 전반 · 나미비아 달러
국방 나미비아군
문화 요리 · 나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독일어 · 아프리칸스어 · 나마어
지리 나미브 사막 · 칼라하리 사막 · 빈트후크 · 뤼데리츠 · 월비스베이
민족 !쿵족 · 나마족 · 보어인 · 케이프 컬러드 · 코이산족 · 헤레로족 · 독일계 나미비아인 }}}}}}}}}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수도 · 최대도시
빈트후크
Windhoek(아프리칸스어)
Windhuk(독일어)
파일:빈드훅 휘장.png
시장(市章)
<colbgcolor=#003580>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빈터후크 설립 1844년 10월 15일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의 수도로 지정 1890년 10월 18일
헤레로-나마 전쟁 발발 1904년 1월 12일
독일에 의한 헤레로-나마 대학살 1904년 10월 2일
남아프리카 연방의 빈트후크 점령 1915년 5월 12일
남서아프리카 위임통치령 설립 1915년 7월 9일
나미비아 독립 전쟁 발발 1966년 8월 26일
나미비아 독립 1990년 3월 21일
}}}}}}}}}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9543><colcolor=#fff> 국가
[[나미비아|]][[틀:국기|]][[틀:국기|]]
시간대 UTC+2
면적 5,133 ㎢
평균 해발고도 1,655m
기후 Bsh
}}}}}}}}}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9543><colcolor=#fff> 인구 486,169명 (2023)
인구밀도 95명/㎢ (2023)
}}}}}}}}} ||
기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9543><colcolor=#fff> ISO 3166-2 NA-KH[1]
IATA 도시 코드 WDH
지역번호 061
}}}}}}}}}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지리3. 역사4. 관광5. 교통6. 언어별 명칭7. 기타8.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빈트후크 CBD.jpg
<colbgcolor=#003580> 빈트후크 중앙업무지구
나미비아수도이자 최대도시이다. 호마스주에 위치하며 지리적으로 나미비아의 중앙에 위치한다. 나미비아 인구의 18%가 빈트후크에 거주하며 제2의 도시월비스베이보다 대략 8배 크기 때문에 나미비아의 정치-경제적 중추다.

아프리칸스어로 "구석진 곳에 드는 바람"이란 뜻이다.

2. 지리

나미비아 중앙의 고원 지대에 위치한다. 주는 호마스 주. 위치는 동경 17°5′1″, 남위 22°34′12″에 위치하며 높이는 해발 1,780m에 위치한 고산 도시로서 온난한 기후를 가진다. 사막 기후에 속하며 당연히 강우량이 매우 적다. 시간대는 UTC+2이며 대한민국보다 7시간 느리다.

3. 역사

1800년대 말 독일 제국이 나미비아를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로 자국의 식민지로 삼은 뒤, 독일인들에 의해 개발이 이루어져 이 도시가 성장하게 되었다. 때문에 남아공과 이어진 철도가 있다.

4. 관광

나미비아 국립 미술관 등의 관광시설이 존재하며, 예쁜 교회들이 많기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독일의 지배 당시에 지어졌던 건축물들이 다수 남아 있다.

빈트훅 시내에 있는 나미비아 독립기념박물관이 놀랍게도 북한이 지었다. 2000년대에 북한이 나미비아의 몇몇 공공건물 수주를 받아 건축한 것으로 보인다.

5. 교통

  • 나미비아가 전체적으로 자동차 친화적인 교통체계다보니 수도 빈드훅도 대중교통 체계가 매우 부실하다. 따라서 차를 몰고 다니지 않는 이상 시내에서 이동할 때는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그나마 빠르고 안전한 편이다. 그나마 시정부에 등록된 택시는 여느 지역의 시내버스와 같은 역할을 하다보니 가격은 그렇게 비싼 편은 아니다.

6. 언어별 명칭

영어 Windhoek
아프리칸스어 Windhoek
독일어 Windhuk
나마어 ǀAiǁgams
헤레로어 Otjomuise

7. 기타

  • 지명의 의미는 네덜란드어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뜻한다. 실제 영어와 독일어 지명에 공통적으로 바람(Wind)이 들어가있다.
  • 주민의 대부분은 반투족 계열의 민족이 살고 있고 6% 정도의 독일계 백인 주민도 있다. 인구는 2014년 기준 약 322,500명, 면적은 5,133 km2이다. 인구밀도는 62.8/km2강원도보다 적다. 이유는 다름 아닌 도시 확장. 확장된 면적은 경기도 면적의 절반 정도이다. 그렇게 인구가 분산된 탓에 중심지에도 중세, 근대 독일풍 건물이 자리잡고 있다.[2]
  • 나미비아의 대학교들이 대부분 이곳에 모여 있다.
  • 빈부격차가 매우 심한 도시 중 하나다. 도시 자체가 전반적으로 느긋하고 빈민촌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남아공의 여느 부유한 도시와 같은 느낌이 들지만, 공원 같은 곳에는 부량인이 갑자기 나타나 구걸을 강요할 수도 있으니 주의할 것. 그래도 도보로 걸어다니기에는 치안이 나쁘지는 않다.

8. 같이 보기

아프리카의 국가별 수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북아프리카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트리폴리 깃발.png 트리폴리 파일:라바트 깃발.png 라바트 파일:튀니스 깃발.png 튀니스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하르툼 문장.png 하르툼 파일:알제 문장.png 알제 파일:카이로 깃발.svg 카이로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서사하라
파일:Seal_of_Tifarti.svg.png 티파리티
동아프리카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아스마라 파일:지부티시 휘장.png 지부티 파일:모가디슈 휘장.png 모가디슈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주바 아디스아바바 파일:kampala logo.png 캄팔라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나이로비 휘장.png 나이로비 파일:kigali logo.jpg 키갈리 기테가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도도마 휘장.png 도도마 파일:링롱궤 휘장.png 릴롱궤 파일:마푸투 휘장.png 마푸투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빅토리아 포트루이스 모로니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안타나나리보 하르게이사
서아프리카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프리이아 휘장.png 프라이아 아부자 바마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와가두구 파일:니아메 휘장.png 니아메 파일:반줄 휘장.png 반줄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다카르 비사우 코나크리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프리타운 몬로비아 파일:야무수크로 시장.png 야무수크로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아크라 깃발.svg 아크라 로메 포르토노보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mr-nou.gif 누악쇼트
중앙아프리카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야운데 은자메나 방기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Bandeira_São_Tomé.png 상투메 말라보 리브르빌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브라자빌 파일:킨샤사 휘장.png 킨샤사
남아프리카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빈드훅 휘장.png 빈트훅 파일:가보로네 깃발.gif 가보로네 파일:하라레 깃발.png 하라레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루사카 파일:프리토리아 깃발.png 프리토리아
행정

파일:케이프타운 기.svg 케이프타운
입법

블룸폰테인
사법
파일:마세루 휘장.png 마세루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로밤바
왕정·입법

파일:음바바네 상징.jpg 음바바네
행정
파일:ang-luanda1.gif 루안다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유럽의 수도
}}}}}}}}}

[1] 호마스주의 ISO 3166-2[2] 독일령이었을 당시에 지어진 독일풍 건물들이 많다보니 나미비아의 도시들은 전반적으로 독일식 건축물들이 많이 존재한다. 뤼데리츠에도 독일풍 건물들이 많이 있을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