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7 19:16:08

서울행 시내버스가 없는 수도권의 읍면동

1. 개요2. 서울행 시내버스는 없으나 광역전철역은 있는 읍면동3. 서울행 시내버스와 광역전철역 둘 다 없는 읍면동4. 특수한 경우

1. 개요

수도권 중에서 서울행 시내버스(광역버스, 광역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도 포함)가 없는 수도권의 읍면동을 모아둔 문서이다. 이때 동은 행정동 범위(행정동의 경계는 2024년 1월 기준)를 기준으로 하며, 서울행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으로부터 반경 1km 범위까지는 인정으로 한다.

또한 서울행 시내버스는 없으나 광역전철역이 있는 경우도 따로 정리하였다. 이 역시 해당 광역전철역으로부터 반경 1km 범위까지는 인정으로 한다.

이 문서에서의 서울행 시내버스는 면허만 시내버스인 노선이 아닌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에 포함되어야 한다.[1]

또한 나열한 읍면동 중에서 인구 2만명을 넘는 곳은 굵은 색으로 하며 괄호를 치고 인구를 표시한다.

2. 서울행 시내버스는 없으나 광역전철역은 있는 읍면동

  • 인천광역시 서구: 검암경서동(5.4만명), 연희동(3.7만명)
  • 이천시: 부발읍(3.6만명), 신둔면
  • 여주시[A]: 중앙동(2.4만명), 여흥동(2만명), 세종대왕면
  •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3.6만명), 용유동
  • 인천광역시 동구: 모든 지역
  •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1동, 옥련2동[3]
  • 평택시: 원평동
  • 양평군: 지평면[4]

3. 서울행 시내버스와 광역전철역 둘 다 없는 읍면동

  • 평택시: 안중읍(4.3만명), 청북읍(2.7만명), 포승읍(2.4만명), 오성면, 현덕면, 팽성읍(2.7만명), 서탄면
  • 화성시: 양감면, 정남면[5]
  • 안산시: 대부동
  • 용인시 처인구: 해곡동, 호동, 운학동, 백암면, 원삼면, 양지면[6]
  • 광주시: 도척면, 목동, 목현동, 남종면[7]
  • 안성시[B]: 원곡면, 양성면, 금광면, 보개면, 미양면, 서운면, 양성면, 원곡면, 일죽면, 죽산면, 고삼면[9]
  • 이천시: 호법면, 대월면, 모가면, 설성면, 장호원읍, 율면, 백사면
  • 여주시[A]: 오학동, 가남읍, 점동면, 강천면, 북내면, 대신면, 흥천면, 금사면, 산북면
  • 파주시: 파평면,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 진서면[11][12]
  • 양평군: 강상면, 강하면, 개군면, 단월면, 서종면, 양동면, 청운면[13]
  • 양주시: 남면
  • 포천시[B]: 관인면, 이동면, 일동면, 창수면 [15]
  • 연천군: 군남면, 미산면, 백학면, 왕징면, 장남면, 중면[16]
  •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송해면, 양사면, 하점면, 교동면, 삼산면, 서도면[17]
  • 인천광역시 옹진군: 모든 지역이 연륙교가 없는 섬이라서 모든 지역에 서울행 시내버스와 광역전철역 둘 다 없다.[18]

4. 특수한 경우



[1] 그래서 면허상 시내버스인 서울 공항버스가 다니는 운서동은 이 문서에 기재한다.[A] 시 전체에 서울행 시내버스가 없다.[3] 파일:서울행 시내버스 음영지역_인천 연수구.png[4] 서울행 광역버스가 안 다니며, 지평역이 있기는 하지만 광역전철(경의중앙선) 열차가 5~6회만 정차한다. 물론 경의중앙선 이외에 기차가 다니기는 하지만 수도권 환승할인을 받는 교통수단이 아니므로 논외로 한다.[5] 매송면(6700명), 비봉면(7400명), 남양읍에는 화성 버스 1008이 돌아다니며, 우정읍(17000명), 장안면(1만명), 팔탄면(1만명), 향남읍, 봉담읍에는 화성 버스 8155가, 서신면(7천명), 송산면(1만명), 마도면(6800명)에는 화성 버스 1002가 돌아다닌다.[6] 참고 파일:서울행 시내버스 음영지역(용인시 처인구).png[7] 파일:서울행 시내버스 음영지역(광주시).png[B] 시 전체에 광역전철 역이 1개도 없다.[9] 대덕면, 삼죽면, 공도읍, 안성1동, 안성2동, 안성3동은 서울행 시내버스 존재.[A] [11] 광탄면은 서울 버스 774가, 적성면, 법원읍은 파주 버스 30이, 탄현면은 파주 버스 2200이 다닌다.[12] 파평면을 제외하면 모두 민간인 출입통제선 지역이다.[13] 양평읍, 양서면, 옥천면, 용문면에는 서울행 시내버스와 전철역 모두 있으며, 지평면은 전철역이 있다.[B] [15] 영북면(7800명)은 바로 옆에 강원도 철원군이 있지만 포천 버스 1386이 돌아다닌다. 또 내촌면 또한 내촌차고지에서 바로 옆에 있는 남양주시 진접 경유으로 구리 버스 92, 남양주 버스 23등이 광진구로 배차는 망했지만 남양주 버스 88이 청량리로 바로 간다.[16] 연천읍, 전곡읍, 신서면, 청산면은 서울행 시내버스가 있다.[17] 강화읍, 선원면, 불은면, 양도면, 화도면, 길상면은 인천 버스 60-5가 다닌다. 강화읍은 인천 버스 3000, 김포 버스 88도 다닌다.[18] 예외적으로 영흥도는 연륙이 되어 있으나, 애초에 육지로 나가는 버스가 인천 버스 790, 영흥직행 버스밖에 없다.[19] 수요응답형 교통체계가 고령층 등 일부 계층에는 제한적이다. 또한 별도 예약등이 필요하다는 점이 있다.[20] 단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포함되거나 무료인 예약제 노선이어야 여기에 기술한다.[21] 참고: 파일:서울행 시내버스 음영지역(시흥시).png[22] 시흥 광역콜버스가 있다.[23] 일 운행횟수는 가장 운행횟수가 많은 요일/날짜를 기준으로 한다.[24] 개별 노선이 아닌 해당 읍면동을 운행하는 모든 서울행 시내버스의 운행횟수를 합해야 한다.[25] 광역전철이 있다.[26] 양평 버스 2000-1양평 버스 2000-2가 있다. 다 합쳐서 평일에만 3회.[27] 1km 이내에 광역전철역도 없으며, 가평 버스 1330-3이 다니기는 하지만 일 3회밖에 안 다닌다. 북면 이외에는 가평군의 모든 읍면에 서울행 시내버스가 일 20회 이상의 배차간격으로 돌아다니고 있다.[28] 파일:서울행 시내버스 음영지역(가평군).png[29] 양평 버스 G9311의 운행횟수가 일 8회이다. G9311번이 있는 타 지역은 양평 버스 2000-1, 양평 버스 2000-2를 넣으면 일 10회를 넘으므로 미기재.[30] 평일에만 운행하거나 주말에만 운행하는 등의 경우이다.[31] 다만 어떤 읍면동에 평일에만 운행하는 서울행 A노선과 주말에만 운행하는 B노선이 있어 결과적으로 매일 서울행 시내버스가 있는 지역은 제외한다.[32] 인천 버스 117이 주말에는 미운행.[33] 위의 두 노선은 주말 미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