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14:51:26

슈퍼볼 LIX

슈퍼볼 59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00><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슈퍼볼 로고.svgSuper Bowl
슈퍼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연도는 경기일 기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I
1967
II
1968
III
1969
IV
1970
V
1971
그린베이 패커스 뉴욕 제츠 캔자스시티 치프스 볼티모어 콜츠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VI
1972
VII
1973
VIII
1974
IX
1975
X
1976
댈러스 카우보이스 마이애미 돌핀스 피츠버그 스틸러스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XI
1977
XII
1978
XIII
1979
XIV
1980
XV
1981
오클랜드 레이더스 댈러스 카우보이스 피츠버그 스틸러스 오클랜드 레이더스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XVI
1982
XVII
1983
XVIII
1984
XIX
1985
XX
1986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워싱턴 레드스킨스 로스앤젤레스 레이더스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시카고 베어스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ABC(미국) 로고.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XXI
1987
XXII
1988
XXIII
1989
XXIV
1990
XXV
1991
뉴욕 자이언츠 워싱턴 레드스킨스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뉴욕 자이언츠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ABC(미국) 로고.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ABC(미국) 로고.svg
XXVI
1992
XXVII
1993
XXVIII
1994
XXIX
1995
XXX
1996
워싱턴 레드스킨스 댈러스 카우보이스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댈러스 카우보이스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ABC(미국) 로고.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XXXI
1997
XXXII
1998
XXXIII
1999
XXXIV
2000
XXXV
2001
그린베이 패커스 덴버 브롱코스 세인트루이스 램스 볼티모어 레이븐스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파일:ABC(미국) 로고.sv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XXXVI
2002
XXXVII
2003
XXXVIII
2004
XXXIX
2005
XL
2006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탬파베이 버커니어스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피츠버그 스틸러스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파일:ABC(미국) 로고.sv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파일:ABC(미국) 로고.svg
XLI
2007
XLII
2008
XLIII
2009
XLIV
2010
XLV
2011
인디애나폴리스 콜츠 뉴욕 자이언츠 피츠버그 스틸러스 뉴올리언스 세인츠 그린베이 패커스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XLVI
2012
XLVII
2013
XLVIII
2014
XLIX
2015
50
2016
뉴욕 자이언츠 볼티모어 레이븐스 시애틀 시호크스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덴버 브롱코스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LI
2017
LII
2018
LIII
2019
LIV
2020
LV
2021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필라델피아 이글스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캔자스시티 치프스 탬파베이 버커니어스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LVI
2022
LVII
2023
LVIII
2024
LIX
2025
LX
2026
로스앤젤레스 램스 캔자스시티 치프스 필라델피아 이글스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LXI
2027
LXII
2028
LXIII
2029
LXIV
2030
LXV
2031
파일:ABC(미국) 로고.svg 파일:CBS 로고.svg파일:CBS 로고 화이트.svg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파일:NBC 로고 가로형.svg파일:NBC 로고 가로형 화이트 폰트.png 파일:ABC(미국) 로고.svg
}}}}}}}}}}}} ||
<nopad> 파일:Super_Bowl_LIX_MVP.jpg
슈퍼볼 LIX 우승팀
필라델피아 이글스
MVP 제일런 허츠
파일:Super_Bowl_LIX_Logo.png
Super Bowl LIX

1. 개요2. 개최지 선정 과정
2.1. 중계 관련
3. PLAYOFF - 컨퍼런스 챔피언십까지4. 슈퍼볼 참가 팀 (각 컨퍼런스 우승팀)
4.1. AFC 우승팀 (Away): 캔자스시티 치프스4.2. NFC 우승팀 (Home): 필라델피아 이글스4.3. 시나리오
5. PRO BOWL6. SUPER BOWL LIX
6.1. 선발 라인업6.2. 1쿼터6.3. 2쿼터6.4. 3쿼터6.5. 4쿼터
7. 경기 총평8. 하프타임 쇼
8.1. 곡 목록
9.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SuperBowlLIX.jpg

(현지 시각) 2025년 2월 9일 일요일 오후 6시 30분[1]에 열리는 2024-25 시즌의 결승전인 제 59회 슈퍼볼에 대한 문서.

2. 개최지 선정 과정

이번 슈퍼볼 개최지 선정에 대한 얘기는 슈퍼볼 LVIII 개최지 선정 과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슈퍼볼 LVII부터 개최지 선정 과정이 입찰제에서 NFL 사무국의 단독 선정 후 협상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는데, 이에 따라 사무국에서 슈퍼볼 LVIII의 개최지를 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시저스 슈퍼돔으로 선정하고 협상에 돌입했다. 그런데 2020년부터 NFL 정규시즌이 팀당 17경기로 확대되면서 슈퍼볼이 2월 둘째주로 미뤄짐에 따라 뉴올리언스 측에서 2024년 마르디 그라가 슈퍼볼 이틀 뒤에 열려서 인파가 몰릴 것을 우려했고, 결국 2020년 10월 14일 NFL 사무국에서 뉴올리언스의 슈퍼볼 개최를 1년 미루기로 하여 이에 따라 슈퍼볼 LIX를 시저스 슈퍼돔에서 열게 되었다.

2.1. 중계 관련

2023시즌부터 새로운 중계권 협상 결과에 따른 슈퍼볼 중계 로테이션이 2032시즌까지 CBS-FOX-NBC-ABC 순으로 진행됨에 따라 이번 중계는 FOX에서 중계한다. 슈퍼볼 LVII 이후 2년 만에 다시 슈퍼볼 중계를 하게 되며, 2024 시즌 FOX 중계진으로 데뷔하는 톰 브래디의 슈퍼볼 중계 데뷔전으로 예정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MBC SPORTS+가 TV 독점 생중계할 예정이며 쿠팡플레이는 뉴미디어 중계를 맡는다.

3. PLAYOFF - 컨퍼런스 챔피언십까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25 NFL 플레이오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슈퍼볼 참가 팀 (각 컨퍼런스 우승팀)

<rowcolor=#fff> AFC 우승팀 NFC 우승팀
파일:캔자스시티 치프스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이글스 로고.svg
캔자스시티 치프스 필라델피아 이글스
2년만에 또 다시 두 팀이 만나게 되었다. 치프스는 사상 최초 슈퍼볼 3연패에 도전하며, 이글스는 7년만의 2번째 롬바르디 트로피에 도전한다.

4.1. AFC 우승팀 (Away): 캔자스시티 치프스

파일:Chiefs_2024AFC_Champs.jpg

강한 자가 살아남는게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다라는 격언으로 올 시즌 치프스를 요약할 수 있다. 올 시즌 치프스는 플레이오프 포함 17승 중 단 3승만이 투포제션 승리를 거뒀고, 나머지는 모두 원포제션 승리를 거둘 정도로 딱 이길 수 있는 정도만 이겨왔던 팀이다. 하지만 위의 격언처럼 경기 내용과 상관없이 마지막엔 결국 이기는 본능이 플레이오프에서도 발휘했고 다시 한번 슈퍼볼 무대에 오르게 되었다.

이제 치프스가 노리는 것은 NFL 역사상 최초의 슈퍼볼 쓰리핏. NFL 역사상 리핏 이후 슈퍼볼에 진출한 경우는 없었으며, 치프스가 그 쓰리핏에 도전하는 첫 번째 도전자가 되었다. 여전히 건재한 마홈스-켈시 듀오, 그리고 시즌 도중 재구성하여 다시 한번 강력해진 리시버진[2], 그리고 여전히 건재한 스티브 스패그누올로식의 디펜스와 함께 다시 한번 3연속 롬바르디 트로피를 노린다.

4.2. NFC 우승팀 (Home): 필라델피아 이글스

파일:Eagles_2024NFC_Champs.jpg
  • 정규시즌 14승 3패, NFC 동부지구 우승 (2번 시드)
  • 역대 슈퍼볼 4전 1승(2017) 3패(1980, 2004, 2022)
  • 플레이오프는 위쪽 참조
  • 구체적인 시즌 상황은 필라델피아 이글스/2024년를 참조.

이번 시즌 디트로이트 라이언스와 함께 가장 강력한 NFC의 슈퍼볼 진출 후보로 거론되었던 이글스가 2년 만에 다시 한번 슈퍼볼 무대를 밟게 되었다. 이번 시즌 전 야심차게 영입한 세이콴 바클리를 위시로 이번 시즌 내내 문자 그대로 러싱으로 지배한다의 진수를 보여줬으며, 그 결과 바클리는 2005 러싱야드를 기록하며 역대급 시즌을 써냈고 제일런 허츠도 지난 시즌보다 훨씬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여기에 이번 시즌을 앞두고 빅 팬지오 수비 코디네이터를 위시로 재구성한 젊은 디펜스[3]가 리그 최강 수준까지 올랐고 다시 한번 슈퍼볼 무대에 오르게 되었다.

비록 팀 스탯으로는 이글스가 압도적이지만 치프스의 다수의 우승이 있어 언더독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이글스는 저번 슈퍼볼 57보다 전체적으로 전력이 올라갔고 치프스와 다르게 만난 팀들을 압도적으로 이기고 올라왔기에 이글스도 분위기가 좋다.

4.3. 시나리오

  • 캔자스시티 우승시 : 패트릭 마홈스는 네 번째 우승으로 슈퍼볼 최다 우승 쿼터백 2위 타이 기록을 달성하며, 앤디 리드 역시 네 번째 우승으로 슈퍼볼 최다 우승 감독 2위 타이 기록을 달성하게 되며, 칩스 구단 역시 본인들이 슈퍼볼 LVIII에서 1년 전 우승한 뒤 이루게 될 5번째 우승과 3연속 우승으로 NFL 최초 쓰리핏을 하게 된다. 통산 5회 우승으로 샌프란시스코, 댈러스와 동률을 이루게 되고 이는 역대 우승 공동 3위 팀이 된다. 칩스는 최근 6년간 5회의 슈퍼볼에 진출해 4회 우승과 1회 준우승을 거두게 됨으로써 왕조 건설을 하게 되고, 그 톰 브래디조차 못했던 전무후무한 슈퍼볼 쓰리핏에 성공한다.
  • 필라델피아 우승시: 슈퍼볼 LVII 이후 2년 만의 리벤지 매치에서 승리하고, 슈퍼볼 LII에서 우승한 뒤로 7년 만에 2번째 우승 트로피를 필라델피아로 가져오게 된다. 제일런 허츠존 엘웨이 이후 처음으로 슈퍼볼에서 패배한 쿼터백이 다시 진출해 우승하는 사례를 만들고 세이콴 바클리는 이적 첫 해 역대 최고의 러닝백 시즌 중 하나로 평가될 시즌을 만들게 된다.

5. PRO BOWL

파일:NFL 프로볼 로고.svg
2025 Pro Bowl
2025년 2월 2일 일요일 15:30 (EDT)
[4]
캠핑 월드 스타디움 (올랜도, 플로리다)
관중: 명
파일:아메리칸 풋볼 컨퍼런스 로고.svg 파일:NFL 프로볼 로고.svg 파일:내셔널 풋볼 컨퍼런스 로고.svg
<rowcolor=#fff> AFC NFC
63 76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각 컨퍼런스 별 로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NFL 프로볼 로고.svg
2025 Pro Bowl 로스터
<rowcolor=#fff> AFC NFC
헤드코치
페이튼 매닝 일라이 매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OFFENSE 로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선수명 선수명
쿼터백
BUF 조시 앨런[B] DET 제러드 고프
CIN 조 버로우 MIN 샘 다놀드
BAL 라마 잭슨[B] WAS 제이든 대니얼스[B]
NE 드레이크 메이[C] TB 베이커 메이필드[C]
PIT 러셀 윌슨[C]
러닝백
BAL 데릭 헨리[B] PHI 세이콴 바클리[A]
HOU 조 믹슨 DET 자미르 깁스
IND 조나단 테일러 GB 조시 제이콥스
BUF 제임스 쿡[C] ATL 비잔 로빈슨[C]
풀백
BAL 패트릭 리카드 SF 카일 유스첵
와이드 리시버
CIN 자말 체이스 MIN 저스틴 제퍼슨
CLE 제리 쥬디 DET 아몬라 세인트브라운[B]
HOU 니코 콜린스 DAL 시디 램[B]
BAL 제이 플라워스[B] WAS 테리 맥러린[B]
JAX 브라이언 토마스 주니어[C] NYG 말릭 네이버스[C]
TB 마이크 에반스[C]
SEA 잭슨 스미스은지그바[C]
타이트 엔드
LV 브록 바우어스 SF 조지 키틀
KC 트래비스 켈시[A] ARI 트레이 맥브라이드
MIA 조누 스미스[C]
오펜시브 태클
BUF 디온 도킨스 DET 퍼네이 스웰[B]
HOU 래러미 턴실[B] PHI 레인 존슨[A]
LAC 라션 슬레이터 TB 트리스탄 워프스
BAL 로니 스탠리[C] DET 테일러 데커[C]
MIN 브라이언 오닐[C]
오펜시브 가드
IND 퀸튼 넬슨 PHI 랜던 디커슨[A]
KC 조 튜니[A] DAL 타일러 스미스
KC 트레이 스미스[A] ATL 크리스 린드스트롬
CLE 조엘 비토니오[C] CAR 로버트 헌트[C]
PIT 아이작 슈말로[C]
센터
KC 크리드 험프리[A] DET 프랭크 래그나우
BAL 타일러 린더바움 PHI 캠 저겐스[A]
BUF 코너 맥고번[C] NO 에릭 맥코이[C]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DEFENSE 로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선수명 선수명
인테리어 라인맨(DT, NT)
PIT 캐머론 헤이워드 NYG 덱스터 로렌스
KC 크리스 존스[A] PHI 제일런 카터[A]
BAL 은남디 마두비케[B] TB 비타 베아
NYJ 퀴넨 윌리엄스[C] SEA 레너드 윌리엄스[C]
TEN 제프리 시몬스[C]
디펜시브 엔드
CLE 마일스 개럿 SF 닉 보사
CIN 트레이 헨드릭슨 DAL 마이카 파슨스
LV 맥스 크로스비[B] GB 라션 게리
HOU 드닐 헌터[C]
아웃사이드 라인배커
DEN 닉 보니토 MIN 조너선 그리나드
PIT T.J. 왓[B] MIN 앤드루 밴 긴켈
LAC 칼릴 맥[B] LAR 재러드 버스
BAL 카일 밴 노이[C]
LAC 조이 보사[C]
인사이드 및 미들 라인배커
BAL 로콴 스미스[B] SF 프레드 워너
IND 자이어 프랭클린 PHI 잭 분[A]
PIT 패트릭 퀸[C] WAS 바비 와그너[C]
코너백
HOU 데릭 스팅리 주니어 CHI 제일런 존슨
DEN 패트릭 서테인 2세 MIN 바이런 머피 주니어
BAL 말론 험프리 CAR 제이시 혼
CLE 덴젤 워드 SEA 데본 위더스푼
프리 세이프티
PIT 민카 피츠패트릭 GB 재비어 맥키니
스트롱 세이프티
BAL 카일 해밀턴 ARI 부다 베이커
LAC 더윈 제임스 DET 브라이언 브랜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SPECIAL TEAM 로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선수명 선수명
키커
PIT 크리스 보스웰 DAL 브랜든 오브리
펀터
JAX 로건 쿡 DET 잭 폭스
롱 스내퍼
JAX 로스 매티식 MIN 앤드루 드폴라
리터너
DEN 마빈 밈스 DAL 카본테 터핀
스페셜 티머
NE 브렌든 스쿨러[B] ATL 카대럴 호지
PIT 마일스 킬브루[C]
}}}}}}}}}}}} ||
}}}}}}}}}}}} ||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플래그 풋볼로 진행되며 페이튼 매닝일라이 매닝 형제가 각자 뛰었던 컨퍼런스 프로볼 팀의 헤드 코치를 담당한다.

6. SUPER BOWL LIX

파일:Super_Bowl_LIX_Logo.png
Super Bowl LIX
2025년 2월 9일 일요일 5:30 PM CST[59] | TV:
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시저스 슈퍼돔 - 뉴올리언스, 루이지애나
관중: 65,719명
파일:캔자스시티 치프스 로고.svg 0 Q1 7 파일:필라델피아 이글스 로고.svg
0 Q2 17
6 Q3 10
16 Q4 6
Chiefs 22 Final 40 Eagles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Game Boo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득점 루트 ]
시간 플레이 스코어
1Q
??:??
yd.
(? plays-? yards, ?:??)
<colbgcolor=#e31837><colcolor=#ffb81c> KC 0 0 <colbgcolor=#004c54><colcolor=#a5acaf> PHI
?Q
??:??
yd.
(? plays-? yards, ?:??)
0 0
?Q
??:??
yd.
(? plays-? yards, ?:??)
0 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개인 기록 ]
탑 패서 탑 러셔 탑 리시버
KC
/, yards

rushes, yards

receptions, yards
PHI
/, yards

rushes, yards

receptions, yard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팀 기록 ]
토탈 야드
KC
0
PHI
0
패싱 야드
KC
0
PHI
0
러싱 야드
KC
0
PHI
0
턴오버
KC
0
PHI
0
포제션 타임
KC
0
PHI
0
페널티
KC
0
PHI
0
}}}}}} ||

6.1. 선발 라인업

파일:Super_Bowl_LIX_Logo.png
Super Bowl LIX
선발 라인업
캔자스시티 치프스 포지션 필라델피아 이글스
OFFENSE
패트릭 마홈스 QB 제일런 허츠
조 튜니 LT 조던 마일라타
마이크 칼리엔도 LG 랜던 디커슨
크리드 험프리 C 캠 저겐스
트레이 스미스 RG 메카이 벡튼
자완 테일러 RT 레인 존슨
재비어 월디 WR A.J. 브라운
주주 스미스-슈스터 WR 자한 닷슨
디안드레 홉킨스 WR 디본타 스미스
트래비스 켈시 TE 댈러스 고더트
아이재아 파체코 RB 세이콴 바클리
DEFENSE
마이크 대나 DE OLB 조시 스웨트
크리스 존스 DT 조던 데이비스
터션 와튼 DT 제일런 카터
레오 셔넬 LB OLB 놀란 스미스
닉 볼튼 LB 잭 분
드루 트랑킬 LB 오렌 버크스
트렌트 맥더피 CB 대리어스 슬레이
저스틴 왓슨 CB 퀴니언 미첼
차마리 코너 DB 쿠퍼 드진
저스틴 리드 S 리드 블랭큰십
브라이언 쿡 S CJ 가드너존슨
SPECIAL TEAM
해리슨 벗커 K 제이크 엘리엇
맷 아라이자 P 브레이든 맨
제임스 윈체스터 LS 릭 로바토
니코 레미지오 KR 아이재아 로저스
PR 쿠퍼 드진

6.2. 1쿼터

6.3. 2쿼터

전반전을 요약하면 충격과 공포 그 자체였다.

마홈스는 최근 298번의 패스 시도 중에서 단 한번도 가로채기(인터셉션)를 당하지 않았었는데, 오늘만 2개를 던지며 자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고 공격진이 잘했던 것도 아닌게, 중요한 패스들을 드랍하며 전혀 마홈스를 도와주지 못했으며, 수비진들마저도 여러차례 타겟맨을 놓친 것도 모자라 멘붕한 기색이 역력할 정도였다.

반대로 이글스는 허츠가 초반은 다소 불안하게 시작했으나, 이후 미드레인지 패싱 게임이 먹히면서 빅플레이가 2차례나 나오는등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이글스의 수비진이 마홈스를 집어삼켰는데 아예 그 마홈스를 상대로 여러차례 쌕까지 이끌어내며[60] 바클리의 러싱을 이용한 시간 태우기의 효과를 극대화했다.[61]

참고로 전반전이 24-0로 종료되면서 치프스는 슈퍼볼 출전 이후 최초로 전반전 무득점이라는 치욕적인 기록을 쓰게 되었다.

6.4. 3쿼터

3쿼터, 제이크 엘리엇이 필드골을 넣은뒤 마홈스가 다시 한번 4th&4에서 턴오버로 공격권을 넘겨줬고, 그 직후 허츠가 데본타 스미스에게 헤일 메리 패스를 던져 다시 한번 터치타운을 기록, 이글스는 급기야 34-0까지 도망갔다.

다음 캔자스의 드라이브에서 마홈스가 하비에르 워디에게 터치다운 패스를 던지며 자신의 플레이오프 커리어의 첫 영봉패는 막았으나, 2PT 컨버전이 실패하며 34-6이 되었다.[62]

6.5. 4쿼터

마홈스가 9분 40초를 남기고 이글스의 밀튼 윌리엄스에게 쌕을 당한 뒤 공을 놓쳐서 급기야 펌블까지 헌납하며 다시 한번 이글스가 공격 기회를 얻었고, 다시 제이크 엘리엇이 침착하게 차넣으며 37-6 리드를 유지했다.

종료 3분을 남기고 치프스는 디안드레 홉킨스가 터치타운을 한 뒤 이번엔 2PT 컨버전이 성공, 40-14가 되었다. 이글스는 마지막 드라이브에서 후보 선수들을 주로 내보냈고 AJ 브라운과 다리우스 슬래이 주니어가 시리아니 감독에게 게토레이를 부어버리며 승리를 자축했다.

다만 이후 마홈스가 다시 한번 재비어 월디에게 터치다운을 던지고 디안드레 홉킨스가 터치타운을 한 뒤 이번엔 2PT 컨버전이 성공하며 일단 40-22까지 추격했으나 이미 3-peat이라는 버스는 너무나도 멀리 떠나있었고, 이후 백업 QB인 케니 피켓이 QB 닐을 통해 시간을 흘려보내며[63] 그렇게 이글스의 복수극이 완성되었다.

7. 경기 총평

파일:Eagles_SBLIX_Champion.jpg

7.1. 우승팀: 필라델피아 이글스

이글스는 치프스의 쓰리핏을 저지하며 전미의 찬사를 받았으며, 지난 슈퍼볼 LII의 우승이 닉 폴스의 영웅적인 활약에 기반을 둔 우승이었다면, 이번 이글스의 우승은 지난 4년 동안 리빌딩을 거치며 팀을 탄탄하게 만들어서 우승했다는 점에서 더더욱 의미가 큰 우승이었다고 볼 수 있다.[64] 또한 필라델피아 스포츠팀들을 응원하는 필리건들에게도 8년 만의 우승 갈증을 풀어주게 되었다.[65]

또한 이번 우승으로 이글스는 두 가지 의미있는 기록을 더 쓰게 되었는데, 브래디의 3연패[66]를 저지한 것도 모자라 마홈스의 3연패를 저지한 것, 그리고 허츠가 필라델피아의 프랜차이즈 QB로서는 최초로 슈퍼볼을 우승시킨 것이다.[67]

7.2. 패배팀: 캔자스시티 치프스

NFL 역사상 최초의 슈퍼볼 3연패에 도전했던 치프스는 2년 전 슈퍼볼에서 자신들이 승리를 거두었던 이글스를 상대로 최악의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슈퍼볼 3연패에 실패하고 말았다.

이번 슈퍼볼에서 보여준 마홈스의 퍼포먼스는 페이튼 매닝의 흑역사로 남게된 슈퍼볼 XLVIII에 비견될 정도로, 마홈스는 전반전에 패서 레이팅 13.9를 찍고 픽식스 포함 턴오버 3개를 범하는 등 개인 커리어 역사상 최악의 경기가 될 뻔 했으나, 마지막 분전으로 체면치레만 한 경기가 되었으며[68], GOAT 톰 브래디는 슈퍼볼 LI에서 대역전극을 써냈으나 이마저도 못해버렸기 때문에 이 경기로 GOAT가 되는 길은 사실상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이 경기의 패배 책임은 치프스의 O-라인들, 그리고 이글스의 변화무쌍한 공격 전술에 대처하지 못한 수비 코디네이터인 스패노글로의 책임이 가장 크지만 8개의 쌕과 2개의 인터셉션을 기록하며 굴욕적인 패배에 적지 않은 지분이 있는 마홈스 본인 또한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되었다. 한편 전임 이글스 쿼터백이자 현재 마홈스의 백업인 카슨 웬츠 역시 의문의 1패를 떠안게 되었다.

8. 하프타임 쇼

파일:KendrickLamar_SBLIX.jpg
2024년 9월 8일 켄드릭 라마가 슈퍼볼 LIX 하프타임쇼의 헤드라이너로 선정되었다. 켄드릭 라마는 지난 슈퍼볼 LVI에서 닥터 드레 사단과 함께 하프타임 쇼 무대에 선 뒤 3년 만에 다시 하프타임쇼 무대에 서게 되었으며, 커리어 최초로 하프타임쇼 단독 무대를 펼치게 되었다. 2025년 1월 23일, SZA가 게스트로 참여함이 공지되었다.

Not Like Us의 "이봐, 드레이크(Hey, Drake)" 파트에서 씩 웃는 모습이나 A-Minor가 관객들 사이에서 울려퍼지는 명장면들을 연출해냈다. 무대 자체는 호불호가 많이 갈리고 있는데, 음향 문제에 최신 앨범인 GNX의 수록곡들이 몰려있다는 점[69], 게스트로 출연한 SZA의 비중이 너무 적다는 문제점들이 제기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과 팬들은 애초부터 Not Like Us를 슈퍼볼 무대에서 듣는 걸 원한 것이기 때문에 기대를 충분히 충족시켰다는 평 또한 많이 나오고 있으며, 유튜브에서는 호평이 주를 이루고 있다.

8.1. 곡 목록

세트리스트
<rowcolor=#fff> 순서 곡명 수록앨범
<colbgcolor=#000><colcolor=#fff> 1 squabble up GNX
2 HUMBLE. DAMN.
3 DNA. DAMN.
4 euphoria -
5 man at the garden GNX
6 peekaboo GNX
7 luther GNX
8 All the Stars Black Panther: The Album
9 Not Like Us -
10 tv off GNX

9. 여담

  • 최근 개최지의 이미지를 반영하고 있는 슈퍼볼 로고 특성상 이번 슈퍼볼 로고에는 뉴올리언스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랑스 혁명 이전의 프랑스 국기였던 백합 무늬(Fleur-de-Lis)를 이용하여 로고를 제작했다.
  • 슈퍼볼을 한달 가량 남겨준 2025년 1월 1일 개최지인 뉴올리언스에서 벌어진 차량 돌진 테러 사건으로 사상자가 발생하여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연방 당국은 이에 슈퍼볼 주간에 인원을 추가 파견하여 보안과 경비를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
  • 지난 시즌 슈퍼볼과 동일하게 이번 시즌도 비호감 대진으로 불리고 있다. 치프스에 대한 피로도도 있는데, 이글스도 필리건의 악명 때문에 안티가 적지 않기 때문. 또한 지난 슈퍼볼 LVIII처럼 똑같은 팀들끼리의 매치업이 다시 성사되었다는 점도 한몫한다. 그래도 지난 시즌은 테일러 스위프트 효과로 티켓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올해는 이런 매치업은 물론 1월에 터진 뉴올리언스 테러로 인한 치안 불안으로 인해 티켓값이 지난 슈퍼볼 LIX에 비해 50% 가까이 하락했다. 대신 광고 단가는 역대 최고치가 예상되는데, 슈퍼볼 30초 광고가 단가 800만 달러가 예상된다고 한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슈퍼볼 현장 관람에 참석하였다.[70] 이는 현직 미국 대통령이 슈퍼볼 현장 관람에 참석한 최초의 사례이며, 앞서 말한 차량 테러 돌진 사태로 인해 원래도 강화될 예정이었던 경비가 비밀경호국을 비롯하여 FBI와 루이지애나 주경찰, 뉴올리언스 시경찰 등 2,900여명의 법 집행기관 인력 및 루이지애나 주방위군이 투입됨으로써 더욱 삼엄한 경비 속에서 경기가 치뤄졌다.
  • 이글스의 코너백 쿠퍼 드진과 러닝백 세이콴 바클리는 공교롭게도 자신들의 생일인 2월 9일에 슈퍼볼이 개최되어 경기에 출전하였는데, 이 경기에서 승리하면서 생일선물로 무려 슈퍼볼 우승반지를 얻게 되었다. 특히 마홈스를 상대로 픽식스를 기록한 드진은 슈퍼볼 역사상 최초로 자신의 생일에 터치다운을 기록한 선수[74]가 되었다.

[1] 한국 시각 10일 월요일 오전 8시 30분.[2] 시즌 전 마르퀴스 브라운주주 스미스-슈스터를 영입했으며, 시즌 도중 디안드레 홉킨스를 트레이드로 영입했다.[3] 이번 시즌 1라운드에 지명한 퀴니언 미첼은 이번 시즌 재러드 버스와 함께 리그 최고의 루키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세인츠에서 영입한 잭 분은 DPOY 컨텐더가 될 정도로 엄청난 활약을 펼쳤다.[4] 한국 시간 2월 3일 월요일 05:30[B] 부상 및 개인사정으로 인한 미출전[B] [B] 부상 및 개인사정으로 인한 미출전[C] 대체 출전[C] [C] [B] [A] 슈퍼볼 출전으로 인한 불참[C] [C] [B] [B] [B] [B] [C] [C] [C] [C] [A] [C] [B] [B] [A] [C] [C] [C] [A] [A] [A] [C] [C] [C] [A] [A] [C] [C] [A] [A] [B] [C] [C] [C] [B] [C] [B] [B] [C] [C] [B] [A] [C] [C] [B] [C] [59] KST 10일 8:30 AM[60] 심지어 2쿼터 2분을 남기고 무려 세이프티를 유도할뻔 했으며, 이마저도 이글스 수비진의 일원인 잭 본에게 잡히며 인터셉션이 되고 말았다. 첫번째 인터셉션의 주인공인 쿠퍼 드진은 아예 픽식스까지 따내버렸다.[61] 다만 바클리는 전반전에는 많은 야드를 전진하지는 못했으나, 그래도 PO 포함 단일시즌 최다 야드 전진 기록을 깨버리는데는 문제가 없었다.[62] 만약 3쿼터도 무득점이었으면 슈퍼볼 9에서 미네소타가 피츠버그를 상대로 당한 3쿼터 연속 무득점 기록과 동률이 될뻔 했다.[63] 이미 이 시점에서 치프스는 타임아웃이 없었다.[64] 2017시즌 루키시즌에 우승한 이글스의 키커 제이크 엘리엇은 이 경기에서 필드골 기회를 전혀 놓치지 않으며 같은 팀에서 2번째 우승을 맞이하게 되었다.[65] 현재 다시 전성기를 맞은 MLB의 필리스를 제외하면, NHL의 플라이어스는 리빌딩에 들어가있는 상황이고, NBA의 식서스는 윈나우 시즌인데도 현재 플레이오프권에도 들지 못하며 위기에 빠져있다.[66] 슈퍼볼 LI팰컨스를 상대로 3쿼터 2분 12초까지 28-3의 극열세를 뒤집은 브래디의 커리어 역사상 최고의 역전극이고, 슈퍼볼 LIII램스를 상대로 고전하긴 했지만 수비진의 활약으로 우승을 차지했는데, 그 사이의 슈퍼볼 LII에서 폴스가 브래디의 우승을 막았었다.[67] 닉 폴스는 드래프트는 이글스에게 받았지만, 커리어로는 저니맨에 가까웠으니 제외.[68] 3TD 2INT, 패서 레이팅 95.4로 마무리하기는 했으나, 이미 경기 결과가 결정난 상태에서 막판에 스탯을 끌어올린거라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69] luther나 tv off는 미국에서 큰 관심을 불러모은 곡들이기 때문에 부르는 게 맞았다는 평가가 많지만, 그 외에 3곡은 다른 앨범들에서 가져왔으면 더 좋았을거라는 의견이 주류다.[70] 참고로 트럼프는 2014년 버팔로 빌스 인수전에 뛰어들 정도로 스포츠에 관심이 있는 모습을 보인바 있다.[71] 파일:173914453.jpg[72] 파일:로드리 슈퍼볼.jpg[73] 파일:그리즈만 코케 슈퍼볼.jpg[74] 슈퍼볼 체제 이전의 사례까지 포함하면 역사상 두 번째이다. 첫 번째는 1947년 NFL 챔피언십에서의 스티브 밴 뷰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