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6:26:53

스렘스카미트로비차

스렘스카미트로비차 (세르비아)

1. 개요2. 언어 표기3. 역사4. 인구5. 기타6. 출신 인물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도시. 인구는 2022년 기준 약 4만 명이다.

2. 언어 표기

세르비아어 Сремска Митровица
헝가리어 Szávaszentdemeter[1]
크로아티아어 Srijemska Mitrovica[2]
오스만어 Dimitrofça
독일어 Syrmisch-Mitrowitz[3]
라틴어 Sirmium[4]

3. 역사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로마 제국시르미움이 있었다. 4세기부터 주요 그리스도교 중심지였으며 동로마 제국, 아바르 칸국, 불가리아 제1제국, 헝가리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15세기에는 세르비아 공국의 주라지 브란코비치(Ђурађ Бранковић 1377~1456)의 개인 영지에 속했다가 1521년 오스만 제국난도르페헤르바르 침공 때 오스만 제국군에게 함락되었다. 오스만 제국 점령기에는 이슬람이 대다수였으나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합스부르크 제국령이 되면서 무슬림이 떠난 자리를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독일인 이민자들이 채웠다. 합스부르크 가문 치하에서는 오랫동안 군사 국경 지대(Militärgrenze)의 관할이었으나 1848년 헝가리 혁명이 실패로 끝난 후 오스트리아 제국의 행정개편으로 보이보디나 공국에 속했다. 대타협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들어선 후 군사 국경 지대는 폐지되었고, 성 이슈트반 왕관령 하에서는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스리옘 주(Srijemska županija)에 속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세르비아 왕국에게 넘어갔고, 세르비아 왕국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벌어진 후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속했는데 나치 독일우스타샤가 세운 강제 수용소에서 수많은 세르비아인, 유대인이 학살당했다. 하지만 유고슬라비아 전쟁에서는 수많은 크로아티아인 포로들이 세르비아인에게 역으로 학살당한 비극의 근현대사를 보냈다.

4. 인구

인구 대부분은 세르비아인이며 소수의 크로아티아인, 집시, 헝가리인이 거주하고 있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 2/3이 세르보크로아트어 사용자였으며 그 세르보크로아트어 사용자의 55%가 세르비아인, 45%가 크로아티아인이었으며 그 뒤를 독일인이 이었다.

5. 기타

미트로비차는 성 디미트리오스라는 의미이며, 디메트리오스는 로마 제국 시대 테살로니키 출신의 성인이다. 같은 이름의 도시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미트로비차가 있다.

6. 출신 인물


7명의 로마 제국 황제가 이곳에서 태어났다.

7. 관련 문서


[1] 사버센트데메테르[2] 스리옘스카미트로비차[3] 쉬르미슈미트로비츠[4] 시르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