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 R / D | A | Z | S | P | ||
일리리아 왕국 | 일리리아 왕국 | ||||||
달마티아 왕국 | 일리리아 왕국 | ||||||
일리리아 전쟁 | 로마 공화국 | 일리리아 왕국 | 로마 공화국 | ||||
로마 제국 | 로마 제국 | 일리리아 왕국 | 로마 제국 | ||||
로마 제국 | |||||||
서로마 제국 | |||||||
서로마 제국 | 동고트 | 서로마 제국 | |||||
5C 말 | 오도아케르 | 동고트 | 오도아케르 | ||||
동고트 왕국 | |||||||
6C | 동로마 제국 | 랑고바르드 왕국 | 동로마 제국 | ||||
아바르 칸국 | |||||||
슬라브 | |||||||
동로마 제국 | 남슬라브 | ||||||
8C | 크로아트 족 | ||||||
9C | 동로마 제국 | 크로아트 족 | 프랑크 왕국 | ||||
크로아트 공국 | 동프랑크 | 중프랑크 왕국 | |||||
10C | 크로아트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
헝가리 | 신성 로마 제국 | ||||||
11C | 동로마 제국 | 크로아트 왕국 | |||||
동로마 제국 | 베네치아 | 크로아트 왕국 | 헝가리 왕국 | ||||
12C | 헝가리-크로아티아 | ||||||
동로마 제국 | 헝가리-크로아티아 | ||||||
13 ~ 14C | 라구사 | 헝가리-크로아티아 | |||||
몽골 서정군의 침입 | |||||||
헝가리-크로아티아 | 슬라보니아 / 헤르만 | 헝가리-크로아티아 | |||||
15 ~ 16C / 17C | |||||||
베네치아 공화국 | 헝가리-크로아티아 | ||||||
오스만 제국 |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 오스만 제국 | |||||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 |||||||
18C | 베네치아 공화국 |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 베네치아 공화국 | ||||
19C | 프랑스 제1제국 | ||||||
오스트리아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 |||||||
20C : 유고슬라비아 |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 | ||||||
유고슬라비아 왕국 | |||||||
나치 독일 크로아티아 독립국 헝가리 왕국 |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 |||||||
현대 | 크로아티아 공화국 두브로브니크 공화국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 ||||||
크로아티아 공화국 | |||||||
※ S는 동부 슬라보니아 평야 일대, P는 풀라/이스트리아 반도, D는 달마티아 해안 지방 |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시스라이타니아 | |||
| | | | |
보헤미아 왕국 | 달마티아 왕국 |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 크라쿠프 대공국 | |
| | | | |
상오스트리아 대공국 | 하오스트리아 대공국 | 잘츠부르크 공국 |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 |
| | | | |
케른텐 공국 | 카르니올라 공국 | 부코비나 공국 |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 | |
| | | | |
모라비아 변경백국 | 이스트리아 변경백국 | 고리치아-그라디스카 후백국 | 티롤 후백국 | |
| | | ||
오스트리아 연안 지대 | 포어아를베르크 주 | 트리에스테 제국자유도시 | ||
트란스라이타니아 | ||||
| | |||
헝가리 왕국 |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 |||
공동통치령 | ||||
|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 | ||||
오스트리아 제국의 행정 구역 | }}}}}}}}}}}} |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Kraljevina Hrvatska i Slavonija Horvát-Szlavón Királyság | ||
| | |
국기 | 국장 | |
위치 | ||
| ||
1868년 ~ 1918년 | ||
성립 이전 | 멸망 이후 | |
크로아티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 |
슬라보니아 왕국 | ||
역사 | ||
1868년 성립 1918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편입 | ||
지리 | ||
위치 |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북부 | |
수도 | 자그레브 | |
인문환경 | ||
공용어 | 독일어, 크로아티아어, 헝가리어 | |
종교 | 가톨릭 | |
정치 |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1] | |
주요 국왕 | 프라뇨 요시프 1세(1867-1916) 카를로 1세(1916-1918) | |
경제 | ||
통화 | 굴덴, 크로네 |
1. 개요
1868년부터 1918년까지 현재의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북부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존재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구성국이다.2. 역사
1867년, 대타협으로 헝가리 왕국은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전 분야에서 주권을 되찾았다.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크로아티아인은 크로아티아 왕국, 슬라보니아 왕국, 달마티아 왕국, 오스트리아 연안 지대에 주로 거주했는데 이중 크로아티아 왕국과 슬라보니아 왕국은 헝가리 산하로 편입되었다. 크로아티아인들은 격하게 반발했으나 합스부르크 가문의 강압으로 인해 대타협에 울며 겨자 먹기로 서명했고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으로 통합,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헝가리 왕국 영토인 성 이슈트반 왕관령(이른바 트란스라이타니아)에 속한 구성국이 되었다.특기할 점은 당시 달마티아 왕국은 시스라이타니아의 일원이었는데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는 달마티아도 공식적으로는 자신들의 일부로 간주하였다. 다만 영토는 성 이슈트반 왕관령에 속해도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조 황제가 헝가리 국왕이었으니 달마티아와 별반 차이는 없었다. 그래서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국기에는 크로아티아와 슬라보니아의 상징과 달마티아의 상징(문장 왼쪽, 왕관을 쓴 사자 얼굴 셋이 그려진 파란 바탕)이 문장에 함께 들어있다.
대타협으로 인해 자그레브에 있던 독자적인 크로아티아 의회는 해산되어 부더페슈트의 헝가리-크로아티아 의회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인은 헝가리인으로부터 많은 간섭을 받았다. 그나마 헝가리 왕국의 다른 지역들과 달리 크로아티아어가 유일한 공용어로 사용되었지만 정치 등의 분야에서는 독일어와 헝가리어만 유효했다.
자체적인 지역방위군으로는 왕립 크로아티아 도모브란스트보가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막바지에 치닫을 무렵인 1918년, 더이상 가망이 없다고 판단한 크로아티아인은 슬로베니아인과 손잡고 세르비아 왕국에 합류[2]하여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국을 형성하면서 소멸했다.
3. 역대 국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20230%, #171796 30%, #171796 70%, #17179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르파드 왕조 | ||||
콜로만 | 스테판 2세 | 벨라 2세 | 게이자 2세 | 스테판 3세 | |
라디슬라브 2세 | 스테판 4세 | 스테판 3세 | 벨라 3세 | 에메리크 | |
라디슬라브 3세 | 안드리야 2세 | 벨라 4세 | 스테판 5세 | 라디슬라브 4세 | |
아르파드 왕조 | 프르셰미슬 왕조 | 비텔스바흐 왕조 | 카페앙주 왕조 | ||
안드리야 3세 | 벤체슬라브 | 오토 | 카를로 로베르트 | 루도비크 1세 | |
카페앙주 왕조 | 룩셈부르크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야기에우워 왕조 | ||
마리야 1세 | 카를로 2세 | 지그문드 | 알베르트 | 블라디슬라브 1세 | |
합스부르크 왕조 | 후녀디 왕조 | 야기에우워 왕조 | 서포여이 왕조 | ||
라디슬라브 포스므르트니 | 마티야 코르빈 | 블라디슬라브 2세 | 루도비크 2세 | 이반 자폴랴 | |
합스부르크 왕조 | |||||
페르디난드 1세 | 막시밀리얀 | 루돌프 | 마티야 2세 | 페르디난드 2세 | |
페르디난드 3세 | 페르디난드 4세 | 레오폴드 1세 | 요시프 1세 | 카를로 3세 | |
합스부르크 왕조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마리야 2세 | 요시프 2세 | 레오폴드 2세 | 프라뇨 1세 | 페르디난드 5세 |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프라뇨 요시프 1세 | 카를로 4세 | ||||
<rowcolor=#fff> 크로아티아 공작 · 크로아트 국왕 · 크로아티아 국왕 크로아티아 독립국 국왕 · 크로아티아 대통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