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02 22:57:59

스물 입에서 넘어옴
숫자 한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이십) (삼십) (사십) ()
- -
1(이백)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
스물 입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3획
미배정
준특급
-
일본어 음독
ジュウ
일본어 훈독
はたち
-
표준 중국어
nià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여담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卄은 '스물 입'이라는 한자로, '스물', '20', '스무째' 등을 뜻한다.

2. 상세

이 두 번 합쳐져 생긴 회의자다. 비슷한 자로 (서른 삽), (마흔 십) 등이 있다.

이체자로 아래쪽 획이 더해진 廿가 있다. KS X 1001에는 廿이 없고 卄이 있다.

주로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에서 쓰인다.[1]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초까지는 신문 기사에서 검색되는 등 어느 정도 사용되었지만 그 이후로는 잘 안 쓰이고, 일본에서도 신사사찰과 같은 곳에서 예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쓰는 사례를 빼면 일상에서는 二十으로 쓰는 경우가 훨씬 많다. 한국에서는 숫자를 한자로 써도 그냥 이십(十)이라고 두 글자로 쓰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卄은 부수이지만 정작 廿은 부수이다.

3. 용례

3.1. 단어

  • 卄 (20, 하츠카)
  • 卄五年 (25년)

3.2. 인명

3.3. 지명

3.4. 창작물

4. 여담

건설 자재 중 사각형 워셔와 결합한 ㄷ자 볼트(또는 U볼트)의 모양을 이 한자의 이체자(廿)로 표현할 수 있다.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Windows 10의 추가달력 기능을 사용하면 음력을 한자로 표시해주는데 이때 21일부터 29일까지를 卄一~卄九로 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