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둔도예촌역 (한국관광대) | ||
판교 방면 곤지암 ← 6.8 ㎞ | 경강선 (K416) | 여주 방면 이 천 7.8 ㎞ → |
역명 표기 | ||
경강선 | 신둔도예촌 Sindundoyechon 新屯陶藝村 / 新屯陶艺村 / [ruby(新屯陶芸村, ruby=シンドゥンドイェチョン)] | |
경강선 | ||
주소 | ||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남정로 55 (수광리)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초월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경기광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 ||
운영 기관 | ||
경강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강선 | 2016년 9월 24일 | |
경강선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판교 방면 곤지암 ← 6.8 ㎞ | 경강선 신둔도예촌 | 여주 방면 이 천 7.8 ㎞ → |
역 전경 |
[clearfix]
1. 개요
맞이방 |
도자기의 곡선과 장인의 손
신둔도예촌역은 2016년 9월 24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새롭게 들어선 역사인 만큼 아담한 크기지만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로 완성되었다. 깨끗하고 조용한 도자기 마을의 역사답게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였고, 건물 모서리를 곡선으로 처리하여 도자기의 부드러움을 담아내었다. 경강선 개통으로 함께 지어진 이천역, 여주역과 더불어 도자기를 주제로 한 대형 조형물이 설치되어있는데, 금빛 도자기를 빚는 거대한 장인의 손으로 표현된 역 광장의 작품은 오가는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강선 K416번.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남정로 55 (수광리 528-2)소재.신둔도예촌역은 2016년 9월 24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새롭게 들어선 역사인 만큼 아담한 크기지만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로 완성되었다. 깨끗하고 조용한 도자기 마을의 역사답게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였고, 건물 모서리를 곡선으로 처리하여 도자기의 부드러움을 담아내었다. 경강선 개통으로 함께 지어진 이천역, 여주역과 더불어 도자기를 주제로 한 대형 조형물이 설치되어있는데, 금빛 도자기를 빚는 거대한 장인의 손으로 표현된 역 광장의 작품은 오가는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부기 역명은 한국관광대학교이다.
2. 역 정보
지상역 2층 구조이다. 역 구조가 약간 특이한데, 곤지암역에서 출발해 터널로 빠져나오면 나타나는 구조이다. 다만 이천역에서 오는 반대 방향은 뚫려 있는 구조이다. 터널 바로 앞에 역사가 있는 역으로는 대표적으로 경춘선의 굴봉산역, 천마산역, 경의중앙선의 운길산역, 팔당역, 수인분당선의 사리역, 경부고속선의 경주역, 광명역 등이 있다. 경강선에도 삼동역, 경기광주역이 있는데, 이 역들은 양방향 터널 사이에 있다.이천역 방면으로 회차선이 존재한다. 다만 근처에 부발역이 있어 사용할 일 없이 그저 비상용으로 존재하다가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 때 이천 ~ 부발 간 선로가 유실되어 이 역에서 타절된 적이 있었다.
3. 역 주변 정보
인근에 동원대학교, 한국관광대학교, 도예촌쌀밥거리, 신둔초등학교, 엘리시움아파트 등이 있다.다만 문제는 역 위치 자체가 사람도 없고 교통편도 심각하게 불편해 차량이 없는 이상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거다. 연계 버스노선의 시간표를 숙지할 필요가 있다.
역 바로 앞은 그냥 시골 마을. 역 이름을 딴 신둔면 중심가와는 거리가 좀 있다. 심지어 역명의 유래인 사기막골 도예촌[1]은 거리상 30분 이상은 걸린다.
부기 역명이 '한국관광대'인데, 거리상으로는 무려 4.4㎞나 떨어져 있다. 도보로는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게다가 한국관광대학교와 역 사이에 중부고속도로와 제2중부고속도로가 끼어있고 빙빙 돌아가는 좁은 시골길이기 때문에 걸어가기는 위험하다. 도리어 전역인 곤지암역의 부역명인 동원대학교가 단순 거리로는 곤지암역이나 한국관광대학교보다 여기서 더 가깝다.
조용하고 깨끗한 역사와 대비되게 주변 요소들이 그다지 좋진 못하다.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조용한 신둔면 특성상 버스가 자주 오는 편도 아니고 택시 승강장도 휑한 상태다. 그렇다고 해서 자가용이 이용하기 편한 것은 아니다. 주차장도 작은 편이고 2번 출구 근처로 주차를 해논 차들도 쉽게 찾을 수 있다.
1번 출구가 시민들에게 없으면 안될 존재라면 2번 출구는 흡연자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존재다. 근처 벤치에 담배를 필수 있는 곳이 있는데 1번 출구 쪽에서 피게 된다면 썩 좋지 않은 시선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2번 출구는 남정1리회관으로 나오지만 주차된 차를 제외하면 휑하다. 그러나 열차선이 지면보다 살짝 위에 있는 신둔도예촌역 구조상 2번 출구는 편리성을 위해 없으면 안되는 출구이다.
주변엔 아파트라곤 좀 연식이 있는 반석 아르미 아파트와 2017년 입주한 신둔 코아루아파트, 신둔도예촌역에서 바로 보이는 엘리시움아파트[2], 그리고 주변은 물류창고나 작은 공장이 들어선 산업단지 뿐이다. 상점으로는 3㎞ 떨어진 도암농협과 3.4㎞ 떨어진 CU 이천신둔점이 있다.
역사를 황무로 인근에 만들었을 경우 접근성과 이용률을 조금이나마 올릴 수 있었다는 아쉬움을 표하는 의견도 존재한다.
2020년 들어서 주변 역세권 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신둔도예촌역세권개발사업을 참고할 것.
3.1. 출구 정보
신둔도예촌(한국관광대)역 출구 정보 | |
1 | 신둔면사무소 신둔초등학교 한국관광대학교 신둔체육공원 |
2 | 남정1리마을회관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4a6><bgcolor=#0054a6> 연도 || ||<bgcolor=#005bac> 비고 ||
2016년 | 1,975명 | [3] |
2017년 | 2,127명 | |
2018년 | 2,357명 | |
2019년 | 2,601명 | |
2020년 | 1,850명 | |
2021년 | 2,255명 | |
2022년 | 2,818명 | |
2023년 | 2,965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주변이 평범한 시골 동네인지라 인구 자체가 적고 이에 수요도 매우 저조하다. 하루 평균 2천여 명이 타고 내림으로서 경강선 전체에서 두 번째로 이용객이 적다. 다만 승차량이 계속해서 상승곡선을 그리는 부분은 긍정적인 요인. 2021년에는 코로나 여파에도 오히려 첫 해 이용객 평균을 넘겼으며, 코로나 이후에도 꾸준히 이용객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24년 일평균이용객 3,000명 돌파를 바라보게 되었다.
5. 승강장
승강장 |
↑ 곤지암 | |||
1 | ㅣ | ㅣ | 2 |
이천 ↓ |
1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초월·경기광주·이매·판교 방면 |
2 | 이천·부발·세종대왕릉·여주 방면 |
이 역은 이천 방면으로 7퍼밀 하구배가 있다.
6. 연계 교통
7. 기타
2016년 9월 28일 기준, 하행(여주행) 역명판에 곤지암역과 이천역의 일본어 표기가 뒤바뀐 오류가 있었다. 현재는 고쳐졌다.
2021년 12월 3일 기준, 이 역에 진입하는 열차에서 정읍시 안내방송이 나오는 오류가 있다.
8.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판교 - 성남 - 이매 - 삼동 - 경기광주 - 초월 - 곤지암 - 신둔도예촌 - 이천 - 부발 - 세종대왕릉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강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미개통) - - - - - - 대관령† - 남강릉† - 청량† - †:여객영업 안함 | }}}}}}}}} |
[1] 애초에 여기는 신둔면이 아닌 사음동 소속이다.[2] 역과 가까이 위치해있다. 걸어서 5분도 안걸리는 거리에 위치해있기에 몇몇은 엘리시움 입주자를 보고 신의 한 수라고 할 정도라고.[3] 개통일인 9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4] 역 앞[5] 역 건너편에 조그만 인도 있는 곳에 버스가 정차한다.[6] 신둔도예촌역 1번 출구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삼거리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철길황단교를 건너면 다리 끝에 정류장이 있다. 신둔도예촌역 2번 출구에서는 좌측으로 이동 후 삼거리에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다리 앞에 정류장이 있다.[7] 신둔도예촌역 1번 출구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삼거리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철길황단교를 건너면 다리 끝 건너편에 정류장이 있다. 신둔도예촌역 2번 출구에서는 좌측으로 이동 후 삼거리에서 길 건넌 후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다리 앞에 정류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