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新幹線 신칸센 / Shinkansen | |||
| |||
{{{#2cb4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홋카이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cb431><colcolor=#fff> 운행노선 | <colcolor=#1f2023,#dddddd>홋카이도 신칸센 | |
연계노선 | 도호쿠 신칸센 | ||
운행등급 | 하야부사 / 하야테 | ||
운행차종 | H5 | ||
차량기지 | 하코다테 신칸센 종합차량소 | ||
운전지령소 | 삿포로 종합지령소 | }}}}}}}}}}}} | |
{{{#0089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동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900><colcolor=#fff> 운행노선 | <colcolor=#1f2023,#dddddd>도호쿠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조에츠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 |
연계노선 | 홋카이도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츠루가) | ||
운행등급 | 도호쿠~홋카이도 | <colcolor=#1f2023,#dddddd>하야부사 / 하야테 / 야마비코 / 나스노 / | |
야마가타&아키타 | 츠바사 / 코마치 | ||
조에츠 | 토키 / 타니가와 / | ||
호쿠리쿠 |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아사마 | ||
운행차종 | |||
차량기지 |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아키타 차량센터 /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 / 도쿄 신칸센 차량센터 / 오야마 신칸센 차량센터 / 모리오카 신칸센 차량센터 / 아오모리 신칸센 차량센터 / 나스시오바라 신칸센 차량센터 | ||
운전지령소 | 신칸센 종합지령소 |
{{{#f773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도카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77321><colcolor=#fff> 운행노선 | <colcolor=#1f2023,#dddddd>도카이도 신칸센 츄오 신칸센미개통 | |
연계노선 | 산요 신칸센 | ||
운행등급 | 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 ||
운행차종 | |||
차량기지 | 오이 차량기지 / 미시마 차량소 / 시나가와 차량기지 / 토리카이 차량기지 | ||
차량공장 | 하마마츠 차량공장 | ||
운전지령소 | 신칸센 제2종합지령소 | }}}}}}}}}}}} | |
{{{#0072b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서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72bc><colcolor=#fff> 운행노선 | <colcolor=#1f2023,#dddddd>산요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츠루가) | |
연계노선 | 도카이도 신칸센 큐슈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도쿄~오미야) 조에츠 신칸센(오미야~타카사키)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 ||
운행등급 | 도카이도-산요 | <colbgcolor=#ffffff,#1f2023><colcolor=#1f2023,#dddddd>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 |
산요-큐슈 | 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 ||
호쿠리쿠 |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츠루기 | ||
운행차종 | |||
차량기지 | 하쿠산 종합 차량소 / 하카타 종합 차량소 / 오카야마 신칸센 운전소 / 히로시마 신칸센 차량기지 | ||
운전지령소 | 카나자와 신칸센 지령소 / 하카타 종합지령센터 |
{{{#e500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큐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50012><colcolor=#fff> 운행노선 | <colcolor=#1f2023,#dddddd>큐슈 신칸센 니시큐슈 신칸센 | |
연계노선 | 산요 신칸센 | ||
운행등급 | 산요-큐슈 | <colcolor=#1f2023,#dddddd>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 |
니시큐슈 | 카모메 | ||
운행차종 | 800 / N700 / N700S | ||
차량기지 | 쿠마모토 종합 차량소 / 오무라 차량기지 | ||
운전지령소 | 하카타 신칸센 종합지령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사항 ] | <colbgcolor=Navy><colcolor=#fff> 기술개발용/사업용차량 | 표준궤 | 1000형 - 951형 - 961형 - 962형 - 닥터옐로우 - WIN350 스타 21 - 300X - FASTECH 360 - E956형 - 궤간가변열차 |
초전도 리니어 | ML500 - MLU001 - MLU002 - MLX01 | ||
계획노선 | 기본계획 | 홋카이도 신칸센 - 홋카이도 남회 신칸센 - 우에츠 신칸센 오우 신칸센 - 호쿠리쿠-주쿄 신칸센 - 산인 신칸센 - 주고쿠 횡단 신칸센 시코쿠 횡단 신칸센 - 시코쿠 신칸센 - 히가시큐슈 신칸센 - 큐슈 횡단 신칸센 | |
계획파기 | 나리타 신칸센 - 제2 도카이도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도카이도 물류 신칸센 | ||
구상계획 | 미에 신칸센 | ||
시험노선 | 카모노미야 모델선 - 미야자키 리니어 실험선 - 야마나시 리니어 시험선 | ||
좌석등급 | 보통차 - 그린샤 - 그란 클래스 - 식당차 | ||
규격외 신칸센 | 미니 신칸센 - 신칸센철도규격신선 | ||
관련법 | 전국신칸센철도정비법, 신칸센 철도의 열차 운행 안전을 방해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에 관한 특례법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내수용 | ||||
전체 목록 | 0 - 100 -200 - 300 - 400 - 500 - 700 - 800 - N700 - N700S E1 - E2 - E3 - E4 - E5·H5 - E6 - E7·W7 - E8 - L0 | ||||
| 츄오 | | |||
도카이도 | | ||||
| 산요 | ||||
호쿠리쿠 | | ||||
| |||||
도호쿠 | | ||||
야마가타 | | ||||
아키타 | | ||||
조에츠 | | ||||
| 홋카이도 | H5 | |||
| 큐슈 | 800 - N700 | |||
니시큐슈 | N700S | ||||
수출용 | |||||
| 700T | ||||
| CRH2 | ||||
| Class 395 | ||||
| | ||||
| | ||||
기술개발용/검측용 | |||||
시험용 | 1000형 - 951형 - 952형/953형 - 955형 - 961형 - 962형 - E954형 - E955형 - E956형 - WIN350 - MLX01 | ||||
검측용 | 922형 - 923형 - 925형 | ||||
궤가변 | GCT01 - GCT01-200 - FGT-9000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신칸센 E6계 전동차 新幹線 E6系 電車 Shinkansen E6 Series | }}} | |||
| |||||
외부(Z13편성) | |||||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 신칸센 입선용 전동차/고속철도차량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 ||||
편성 | 7량 1편성 | ||||
생산 | 168량 24편성 | ||||
운용 | 161량 23편성[1]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2012년~2014년 | ||||
제작사 | 히타치 제작소 가와사키 차량 | ||||
소유기관 | JR 동일본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JR 동일본)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편성무게 | 306.5 t | |||
편성길이 | 148.65m | ||||
전장 | 선두차 | 23,075㎜ | |||
중간차 | 20,500㎜ | ||||
전폭 | 2,945㎜ | ||||
전고 | 3,650㎜ | ||||
궤간 | 1,435㎜ | ||||
좌석간격 | 그린샤 | 1,160mm | |||
일반실 | 980mm | ||||
대차 | 볼스터리스 대차 DT210, DT210A (전동차) TR7009 (부수차) 틸팅 장치 탑재 풀 액티브 서스펜션(전 차량) 토션바 식 안티 롤링 장치 [3] | ||||
사용전압 | 교류 25,000V/20,000V 50Hz 가공전차선 | ||||
신호장비 | DS-ATC, RS-ATC[4], ATS-P | ||||
제어방식 | 도시바, 미쓰비시, 히타치제 VVVF-IGBT | ||||
동력장치 |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기어비 | (전동기 : 차축) 기준으로 31 : 82 = 대략 1:2.645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편성출력 | 6,000kW | ||||
최고속도 | 설계 | 360㎞/h | |||
영업 | 재래선 : 130㎞/h[5] 고속선 : 320㎞/h | ||||
기동 가속도 | 1.71㎞/h/s(도쿄~모리오카) 2.0㎞/h/s(모리오카~아키타) | ||||
감속도 | 5.2㎞/h/s | ||||
전동차 비 | 5M 2T | }}}}}}}}} |
|
11호차 그린샤 내부 |
|
13호차 일반석 내부[6] |
데뷔 홍보 동영상 |
[clearfix]
1. 개요
JR 동일본에서 운행하는 미니 신칸센 차량.아키타 신칸센의 2세대 차량으로 도호쿠 신칸센 구간에서 최고 속도 320km/h 운전을 위해 개발된 차량으로써, 도호쿠 신칸센 속도 증속을 위한 시험차 FASTECH 360의 미니신칸센 규격인 FASTECH 360 Z를 기반으로 양산되었다.
2. 개발 및 운용
그동안 도호쿠 신칸센에서는 E5계가 300km/h의 속도로 영업운전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E5계가 하야테나 야마비코로 투입되는 경우 미니 신칸센 차량인 E3계와 병결을 하게 되는데, E3계의 최고 속도는 275km/h에 불과해서 E5계가 제속도를 못내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JR 동일본은 신형열차를 새로 개발해서 E3계를 대체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또한 마침 E3계의 차량 수명도 14년이 다 되어가는 시점이었기에 E3계를 대체할 신형 차량을 제조할 필요성이 있기도 했다. 이후 E6계를 새로 개발하게 되었다.2010년 6월에 시험용으로 선행편성을 도입하였다. 편성번호는 S12을 부여받았다. 2010년 7월 도호쿠 신칸센에서 시험 운행이 시작되었다.
첫번째 양산편성이 2012년 11월에 도입되었으며, 이어서 나머지 편성의 생산이 2014년까지 이어졌다. 총 24편성이 생산되었다.
기존의 E3계가 6량 1편성인데 비해, E6계는 7량 1편성으로 만들었다. 이는 E6계의 선두부 디자인 때문에 생긴 좌석수 부족 현상 때문에 그렇다. E3계는 선두부의 유선형 부분이 상대적으로 짧은 로즈 노즈 타입(6m)이고, E6계는 선두부가 긴 롱 노즈 타입(13m)이다. E6계는 이로 인해서 승객의 좌석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줄어든 좌석수만큼 늘리기 위해 1량을 더 추가한 것이다.
디자인은 페라리의 디자이너로 알려진 오쿠야마 키요유키가 감수하였다.
2013년 1월 21일에 언론 시승회가 있었다. 이후 1월 26일에는 일반인 시승회가 실시되었으며 3월에 첫 운행을 시작하였다. E6가 도입되면서 2013년 3월 16일부터 시간표를 개정하여 "슈퍼 코마치"라는 이름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E5계와 병결하며 속도는 300km/h이였다.
2013년 기준 슈퍼 코마치는 4왕복이 운행었으며 무서운 속도로 E3계를 치환하여 코마치에도 투입하였다. 다만 시간표 개정은 수시로 하는 것이 아니라 1년에 1번 정도 이루어지다 보니 코마치에 투입된 E6계는 E3계 시간표와 동일하게 운행되었다.
2013년 9월 28일, 다시 시간표 개정이 실시되어 기존의 코마치를 3왕복 대체하여 매일 정기열차 기준으로 슈퍼 코마치가 7왕복, 코마치가 8왕복[7]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 시점에 투입되는 E6계 편성은 총 13편성이였으며, 일부는 E5계와 병결된 상태로 코마치 외에도 토호쿠 신칸센 내의 야마비코, 나스노로도 운행되며, 모리오카에서 발착하는 하야부사의 병결 편성으로도 운행되었다.
2014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으로 아키타 신칸센의 모든 E3계를 최종적으로 대체하게된다. 슈퍼 코마치에서 슈퍼를 떼고 코마치로 운용되고 있으며, 속도를 320km/h로 증속하였다. 또한 E5계로 운행되는 야마비코, 나스노의 증결 편성에도 투입되고 있다.
3. 차량 스펙
| |
모리오카 방면의 17호차 | 도쿄 방면의 11호차 |
총 7량 편성으로 11호차부터 17호차까지 있다. E6계는 E5계와 E5+E6로 병결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차량번호가 1호차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E5계의 10량을 제외하고 11호차부터 시작한다. 11호차가 도쿄 방면이고, 17호차가 모리오카 방면이다. 외형으로 11호차와 17호차를 구별하는 방법은, 객실 창문이 6개면 11호차이고, 8개면 17호차인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E5계와의 연결을 위해 11호차는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덮개가 있는 연결기가 설치되어있다. 하지만 평소에 연결할 일이 없는 17호차 쪽의 연결기는 자동연결기가 아니며, 덮개도 고정식이라 자동으로 열리지 않는다.
양산 선행편성이었던 S12를 Z1으로 편성번호를 바꾸고, 이후에 제작된 편성들에게 Z2부터 번호를 부여하여 Z24까지 부여하였다.
<bgcolor=navy> 호차 | 차량번호 | 차량형식 | 좌석수 | 좌석형태 | 비고 |
11호차 | E611 | M1sc | 22[8] | 그린샤 | - |
12호차 | E628 | Tk | 34[9] | 일반석 | 장애인 화장실 |
13호차 | E625 | M1 | 60 | 일반석 | 화장실 |
14호차 | E625-100 | M1 | 60 | 일반석 | 화장실 |
15호차 | E627 | M1 | 68 | 일반석 | - |
16호차 | E629 | T | 60 | 일반석 | 화장실 |
17호차 | E621 | M1c | 32 | 일반석 | - |
7량 편성중에 모터카가 5량, 무동력차량이 2량이며 VVVF 인버터는 E5계계와 동일하게 도시바, 히타치, 미쓰비시제 3사 제품이 탑재되어 있다.
팬터그래프는 12호차와 16호차에 장착되어 있으며, 운행시 진행방향 후부 쪽 1개만 사용한다. 이외에도 E5계와 더불어 고속주행을 위하여 전 편성에 소음 최소화를 위한 차음판이 부착되어있다.
E6계가 E5계 개발을 위한 시험차인 FASTECH 360에 기반하여 양산된 만큼, E5계에 들어가 있는 설비는 거의 다 들어가 있다. 단지, 재래선 규격에 맞추기 위해 크기가 작고, 보조 스텝을 만드는 등의 차이점이 있으며, E5계와 E7계에 있는 그란 클라스 또한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E5계와 비교해 차량 하부의 기기 재배치 및 방음재 추가, 기존의 E5계에서는 그란 클래스에만 적용되었던 풀 액티브 서스펜션이 전 차량에 도입되는 등 전체적으로 승차감 향상에 많은 신경을 썼다.
신칸센규격 구간 내에서 최고속도 320km/h, 기동가속도 1.71km/h/s, 아키타 신칸센 구간인 재래선 구간에서는 최고속도 130km/h, 기동가속도 2.0km/h/s로 주행 가능하다. 차체 틸팅장치의 도움으로 반경 4,000m의 커브에서도 최고속도인 320km/h로 주행할 수 있다. 단, 틸팅 기능은 재래선 구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4. 갑종회송
|
2013년 6월, EH200 전기 기관차가 고베 가와사키 중공업 공장에서 아키타 차량센터로 Z9편성을 운반하는 모습 |
그동안 JR 동일본은 E5계 등 새로 제작한 풀 사이즈 신칸센 차량을 육로보다는 주로 해상운송을 통해 센다이의 차량기지로 운송해 왔다. 이는 신칸센 차량의 크기가 재래선의 차량한계보다 훨씬 커서 대차를 바꿔 끼운다 해도 재래선을 운행할 경우 차량에 손상이 가기 때문이다.[10] 그러나 E6계는 차체가 재래선 규격에 맞춰 제작했기 때문에 위 사진과 같이 대차만 협궤용으로 갈아끼우면 재래선을 문제 없이 달릴 수 있다. 물론 신호체계와 전류가 달라 타 노선상에서의 자력회송은 불가능하여 영업운전시에는 시행하지 않고, 갑종회송시에 이런 식으로 운송하는 정도로만 시행한다. 덕분에 갑종운행당시 간사이지방에서 E6계가 달리는 상당히 희귀한 광경이 펼쳐지기도 하였다. 한큐 전철 전동차와 나란히 달리는 것이 상당히 인상적.
5. 그 외
- 가끔 모리오카역 타자와코선 재래선 승강장에 주박, 정차하는 보기 희귀한 광경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타자와코선 궤간 규격이 표준궤로 신칸센과 동일해서 그렇다. 열차 지연시를 제외하면 심야에는 신칸센 선로를 비워두어야 하는데 심야에 모리오카에 도착하는 임시 열차가 운영될 때도 타자와코선 승강장에서 종착한다.
- 겨울철 혹한기때 붙은 얼음이 도호쿠 신칸센에서 떨어져나가 시설물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자와코선 오카마역에 설치되어 있는 융설 설비에서 대차에 온수를 정기적으로 분사한다.
C61형 증기 기관차가 SL아키타코마치라는 이름을 달고 오우 본선에서 운행했을때 E6계 슈퍼코마치와 병주하는 장면이 포착된 적도 있었다.[11]
- 2014년 로렐상을 수상했다.
- 2022년 3월 후쿠시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Z9편성의 탈선사고가 발생했고, 결국 폐차되었다.
6.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고속열차 | |||||
JR E3 (도색) | JR E6 | |||||
JR W7&E7 | JR E8 | |||||
🚈 전철&일반 열차 | ||||||
JR E001 | ||||||
JR E235 | JR E353 | |||||
JR E261 | Tobu 500 | |||||
Tokyo Metro 16000 | Osaka Metro 400 | |||||
MTA M9 | ||||||
전철/일반 열차로 되어있는 문단의 이모지는 🚅가 아닌 🚈로 표기, 인테리어 디자인은 틀에서 제외 |
[1] 도호쿠 신칸센 탈선 사고로 인해 1편성이 2022년 3월 16일 폐차됨.[2] 도쿄~모리오카 구간[3] 차체와 대차 프레임을 토션바 로 연결하여 대차의 사행동을 억제한다고 한다.[4] DS-ATC 작동 불능시 사용하는 대용폐색시스템이다. 이 경우 속도가 110으로 제한된다.[5] 아키타 신칸센 모리오카~오마가리~아키타 한정[6] E6는 다른 신칸센에 비해 차폭이 40cm 정도 더 좁은 미니신칸센이라서 2+3 배열의 좌석이 없고, 일반석도 그린샤처럼 2+2배열로 되어있다.[7] 그 중 E6계로 3왕복이 운행된다[8] Z1편성은 23석[9] Z1편성은 35석[10] 여담으로 JR 도카이나 JR 서일본의 신칸센 차량은 주로 육로를 통해 운송한다. 차량 제작공장이 차량기지와 비교적 가까워 차량으로 운송해도 될 정도이기 때문. 실제로 '모두의 철도'라는 방송에서 N700계 차량의 제작과정을 방송한 적이 있었는데, 토요카와에 있는 제작공장에서 하마마츠에 있는 JR 도카이의 차량기지까지 트레일러로 운송하는 장면이 있었다.[11] 사실 이런 일이 처음 있는 건 아닌데, 과거 E3계 또한 오우 본선에서 C11형 증기 기관차와 함께 달렸던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