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be673> 사로 6촌 | 신라 6부 | 성씨 | 시조 |
알천 양산촌 | 급량부 | 이씨 | 알평 | |
돌산 고허촌 | 사량부 | 최씨 | 소벌도리 | |
취산 진지촌 | 본피부 | 정씨 | 지백호 | |
무산 대수촌 | 점량부 | 손씨 | 구례마 | |
금산 가리촌 | 한기부 | 배씨 | 지타 | |
명활산 고야촌 | 습비부 | 설씨 | 호진 | |
삼국사기 기준.#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 }}}}}}}}} |
신라 6성{{{#!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230><tablebordercolor=#ece5b6><tablebgcolor=#ece5b6> 牙山 李氏 아산 이씨 | }}} | |
관향 | <colbgcolor=#fff,#191919>충청남도 아산시 | ||
시조 | 이주좌(李周佐) | ||
집성촌 |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방고산리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세종특별자치시 전라북도 정읍시 | ||
황해도 봉산군, 곡산군 평안북도 선천군 심천면 함경남도 영흥군 진평면 신당리 | |||
인구 | 13,552명(2015년) |
[clearfix]
1. 개요
아산 이씨(牙山李氏)는 경주 이씨(慶州李氏)에서 분적된 성씨이다.2. 상세
시조는 고려 초 형부상서 판어사대사(刑部尙書判御史臺事)를 지내고 사공 상서우복야(司空尙書右僕射)에 추증된 이주좌(李周佐)이다. 경주 이씨 시조 이알평(李謁平)의 후손으로, 신라 소판(蘇判) 이거명(李居明)[1]의 5대손이고, 병정(兵正) 이윤홍(李潤弘)의 종손이며, 평장사(平章事)[2]를 역임한 이승훈(李承訓)의 둘째 아들이다. 좌복야(左僕射) 이성공(李成功)이 동경 유수(東京留守)로 있을 때 큰 그릇임을 알아보고 개경에 데려와 국학(國學)에 입학시켰고, 목종 때 과거에 급제한 이후 약 40년간 관료생활을 하였다.후손 이서(李舒)가 고려 고종∼원종조에 벼슬하여 밀직부사(密直副使)·판위위사(判衛尉事) 등을 지내면서 공을 세워 아주백(牙州伯)에 봉해졌다.
그런 까닭으로 후손들이 경주 이씨에서 분적하여 이주좌를 시조로 하고, 본관은 이서의 봉지(封地)인 아주(牙州)가 뒤에 아산(牙山)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아산으로 하였다
지금으로부터 약 760여 년 전 포천시 가산면 마전리와 반금리를 중심으로 세거하였다고 한다. 포천시 가산면 우금리에 아산 이씨 시조단이 있다.
3. 분파
- 감정공파(監正公派)
- 대사간공파(大司諫公派)
- 부윤공파(府尹公派)
- 사인공파(舍人公派)
- 사직공파(司直公派)
- 아성군파(牙城君派)
- 영의정당공파(領議政堂公派)
- 정언공파(正言公派)
- 처사공파(處士公派)
- 현감공파 (縣監公派)
4. 인물
- 이지하(李枝夏) - 목사(牧使)
- 이석번(李碩蕃) - 병조판서
- 이홍 - 절제사(節制使)
- 이대춘 - 절제사(節制使)
- 이종의 - 사인(舍人)
- 이석 - 좌윤(左尹)
- 이중명 - 문신
- 이인화(李寅華) - 참판(參判)
- 이승복(1923)
[1] 경주 이씨의 중시조이다.[2] 경주이씨대종보에는 정조시랑으로 기록되어 있다. 평장사는 수상 다음가는 재상직인데 이 정도 고위직이면 고려사에 관력이 나오길 마련이다. 고려사 초기 기록이 부실하여 누락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이주좌 열전에 그의 가계가 한미하였다고 한 점을 보면 그런 것 같진 않다. 추증직이거나 후대에 미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