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16 20:26:49

아제르바이잔 육군

세계의 육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 대한민국파일:조선인민군륙군기.svg 북한파일:중국 인민해방군 육군기.svg 중국 |
파일:육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파일:대만 육군기.svg 대만
동남아시아 파일:싱가포르 육군기.svg 싱가포르 | 파일:태국 육군 엠블럼.svg 태국 | 파일:베트남 인민군기.svg 베트남 |
파일:Flag_of_the_Indonesian_Army.svg.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육군기.svg 필리핀 | 말레이시아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육군기.svg 이스라엘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육군기.png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남아시아 파일:Flag_of_Indian_Army.svg.png 인도 | 파일:파키스탄 육군 로고.png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투르크메니스탄
북아시아 몽골
동유럽 파일:러시아 육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육군 엠블럼.svg 우크라이나 | 파일:벨라루스 육군기.svg 벨라루스 |
파일:루마니아 육군 휘장.png 루마니아
서유럽 파일:영국 육군기.svg 영국 | 파일:프랑스 육군 로고.svg 프랑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2px-Flag_of_the_Royal_Netherlands_Army.svg.pn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지상구성군기.png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육군 로고.svg 독일 | 파일:스위스 육군 엠블럼.svg 스위스 연방 | 파일:폴란드 육군 엠블럼.svg 폴란드 | 파일:체코 육군 엠블럼.png 체코 | 파일:슬로바키아 육군 휘장.png 슬로바키아 | 파일:헝가리 육군기.sv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육군 엠블럼.png 이탈리아 | 스페인 | 파일:포르투갈 육군기.png 포르투갈 | 파일:튀르키예 육군 엠블럼.png 튀르키예 |
파일:그리스 육군 엠블럼.svg 그리스 | 파일:몬테네그로 육군기.jpg 몬테네그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War_flag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파일:세르비아 육군기.svg 세르비아
북유럽 스웨덴 | 덴마크 | 파일:노르웨이 육군기.svg 노르웨이 | 파일:에스토니아 육군 엠블럼.svg 에스토니아 | 파일:라트비아 육군 엠블럼.png 라트비아 | 파일:리투아니아 육군기.png 리투아니아
북아메리카 파일:미합중국 육군기.svg 미국 | 파일:캐나다 육군 엠블럼.png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Logo_de_Ej%C3%A9rcito_Mexicano.svg.png 멕시코
남아메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oat_of_arms_of_the_Brazilian_Army.svg.png 브라질 | 파일:칠레육군기.png 칠레 | 파일:페루 육군기.svg 페루
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Army_of_Egypt.svg.png 이집트 | 파일:Flag_of_the_Royal_Moroccan_Army.png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1.png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육군 엠블럼.svg 호주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아제르바이잔 육군
Azərbaycan Silahlı Qüvvələri Quru Qoşunları
Azerbaijani Land Forces
파일:아제르바이잔 육군기.svg
아제르바이잔 육군기
창설년도 1992년 4월 9일
기념일 6월 26일(국군의 날)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제르바이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제르바이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명령체계 아제르바이잔 국방부
주임무 지상전, 영토방위
소속 파일:아제르바이잔군 로고.svg아제르바이잔군
군종 육군
전력 74,000명
본부 아제르바이잔 간자시
전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소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소련}}}{{{#!if 출력 != null
소비에트 연방}}}}}}]]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소비에트 연방}}}}}}]]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소비에트 연방}}}}}}]]
파일:소련 국방부 휘장.svg 소비에트 육군
참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지휘
참모총장 중장 안와르 에펜디예프

1. 개요2. 역사3. 편제4. 계급5. 육군사령관6. 장비7. 여담8. 관련문서9. 둘러보기10. 외부링크

1. 개요

아제르바이잔군의 육군으로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 이후 창설되었으며, 창설 직후부터 육군은 다양하고 다수의 장갑차를 중심하는 기동력을 중점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전시상태가 되면 준군사조직인 국가근위대, 국경수비대, 내무군에게 지원을 요청할수 있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제르바이잔군/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제르바이잔군/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제르바이잔군/역사#|]][[아제르바이잔군/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편제

  • 육군본부 ★★
    • 제1군단 "베르데 군단"(1-ci Ordu Korpusu) ★
      • 제1차량화소총여단 ❁❁❁
      • 제3차량화소총여단 ❁❁❁
      • 제9차량화소총여단 ❁❁❁
      • 제10차량화소총여단 ❁❁❁
      • 제15차량화소총여단 ❁❁❁
      • 제17차량화소총여단 ❁❁❁
    • 제2군단 "베일래간 군단"(2-ci Ordu Korpusu) ★
      • 제2차량화소총여단 ❁❁❁
      • 제4차량화소총여단 ❁❁❁
      • 제6차량화소총여단 ❁❁❁
      • 제8차량화소총여단 ❁❁❁
      • 제13차량화소총여단 ❁❁❁
      • 제14차량화소총여단 ❁❁❁
      • 제18차량화소총여단 ❁❁❁
    • 제3군단 "캘배재르 군단"(3-ci Ordu Korpusu) ★
      • 제7차량화소총여단 ❁❁❁
      • 제11차량화소총여단 ❁❁❁
      • 제12차량화소총여단 ❁❁❁
      • 제16차량화소총여단 ❁❁❁
      • 제19차량화소총여단 ❁❁❁
      • 제20차량화소총여단 ❁❁❁
    • 제4군단 "바쿠 군단"(4-ci Ordu Korpusu) ★
      • 차량화소총여단 ❁❁❁
      • 차량화소총여단 ❁❁❁
      • 차량화소총여단 ❁❁❁
    • 아흐츠반 독립합동군 ❁❁❁
    • 제6군단
    • 포병여단
    • 대응포병여단
    • 대전차포병여단

4. 계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제르바이잔군/계급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제르바이잔군/계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제르바이잔군/계급#|]][[아제르바이잔군/계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육군사령관

파일:아제르바이잔 국장.svg
아제르바이잔 육군 사령관
Azərbaycan Quru Qoşunları komandanı
성명 임기 계급
1대 안와르 에펜디예프 2021년 7월 23일 ~ 현임 중장

6. 장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현대 아제르바이잔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90012> 현대의 아제르바이잔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D90012> 소총 <colbgcolor=#D90012> 돌격소총 EM-14, AKM, AK-74, AKS-74, AKS-74U, AK-74M, Khazri, AK-105
지정사수소총 SVD, Yırtıcı, PSL, M110
저격소총 Yalquzaq, Yalguzag, KNT-308, M82
기관단총 UZI
권총 PM, Zəfər, G19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HP-7.62, RPK-74, RPK-74M, PK, PKM, 네게브 기관총, FN 미니미, MG3, M60
중기관총 DShK, NSV, M2HB
유탄발사기 밀코 MGL, GP-25, GP-30, AGS-17, AGS-30
로켓발사기 RPG-7, RPG-7V2, RPG-26
미사일발사기 9K111, 9M113, 9M133, 스파이크-ER, 스키프, 현궁
박격포 RM-38, 2B14, M1938, 2B11, MO-120 RT
맨패즈 9K32, 9K34, 9K310, 9K338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APS, M21, G3, MPT-76, TAR-21, X95, SG552, M16A1, M4
저격소총 VSS 빈토레즈, JNG-90, T-5000, OSV-96, TRG-42, AW338, AX50, RPA 레인지마스터, M700, SSG 08, M300, NTW-20
기관단총 MP5
권총 APS, 야부즈 16, 제리코 941, SPP-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현대 아제르바이잔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아제르바이잔 국군 (1991~현재)
Azərbaycan Silahlı Qüvvələri
MBT 1세대 T-55
3세대 T-72 "아스란", T-72B, T-72B3, T-90S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60, BTR-70, BTR-70M, BTR-70 (Shimshek), BTR-80, BTR-80A, BTR-82A, BTR-3U, BRDM-2
궤도장갑차 BMP-1, BMP-1K, BRM-1K, BMP-2M, BMP-3, BMD-1, MT-LB
차량 <colbgcolor=#ed2939> 소형 마라우더, 오토카르 코브라/코브라 II, 오토카르 아크렙, 험비, AIL 스톰, 샌드캣, 쿠거,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 UAZ-3151, 타르판 혼커, 랜드로버 울프, 마타도르, UAZ-469
트럭 메르세데스-벤츠 아테고, 우랄-432043206, AIL 아비르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2S19 무스타-S, ShKH vz.77 Dana, ATMOS 2000, {NORA B-52}
자주평사포 2S7 피온
자주박격포 카돔, 2S9 노나-S, 2S31 베나, 스피어 Mk.2
대전차 자주포 MT-LB (AZP S-60)
<colbgcolor=#3f9c35>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 쉴카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3 오사
공병 차량 공병전차 IMR-2, IMR-3M
가교차량 MTU-90, TMM-6
구난차량 BTS-5B
다연장로켓 BM-21, RM vz. 70, BM-30, TOS-1 부라티노, Polonez, TRG-300 타이거, 링스, T-122 사카랴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800px-Azerbaijani_Armed_Forces_logo.svg.png
아제르바이잔 육군의 전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T-90계열 주력전차 러시아 200대 - - 로소보로넥스포르트와 계약하여 100대를 구매했고, 이후 추가로 100대를 구매했다.
T-72계열 주력전차 소비에트 연방 427대 325대 - 구식은 비축하고 있으며, 이스라엘에서 현대화한 전차만 운용중
아르메니아와의 전쟁에서 72대를 노획하였다.
T-55계열 주력전차 소비에트 연방 - 150대 - 우크라이나로 부터 구매하였고, 다량이 비축중이며 현대화된 전차들은 포병부대가 운용중이다.
아제르바이잔 육군의 장갑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BMP-3 IFV 러시아 118대 - 1대 2013년에 도입하였으며 1대가 아직까지 수입되지 않았다.
BMP-2 IFV 소비에트 연방 200대 30대 - 국경수비대가 운용중이며 30대는 비축중이며, 이스라엘이 현대화해주었다.
BMP-1 IFV 소비에트 연방 43대 80대 -
BMD-1 공수장갑차 소비에트 연방 41대 - -
BTR-80계열 APC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627대 - -
BTR-3 APC 우크라이나 3대 - -
BTR-70계열 APC 소비에트 연방 259대 - - 아제르바이잔 방위사업부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현대화하였다.
BTR-60 APC 소비에트 연방 25대 - -
BTR-D APC 소비에트 연방 11대 - -
MT-LB APC 소비에트 연방 336대 - -
BRM-1K BRM 소비에트 연방 20대 - -
BRDM-2 BRM 소비에트 연방 88대 - - 아제르바이잔에서는 ZKDM이라고 한다.
귀르저 APC 아제르바이잔 30대+ - - 2가지 타입이 있으며, 기관총무장과 대전차미사일무장한 타입이 있다.
AZCAN 휴런 APC 아제르바이잔
캐나다
? - -
AZCAN 센트리 APC 아제르바이잔
캐나다
? - - 내무군에서 사용하고 있다.
타이탄계열 APC 캐나다 ? - - 나고르노카라바흐에서 사용하고 있다.
오토카르 코브라계열 APC 튀르키예 350대 - -
오토카르 APV APC 튀르키예 200대 - -
오토카르 엔게렉 APC 튀르키예 ? - - 국경수비대가 운용중이다.
플레산 샌드캣 APC 이스라엘 120대 - - 다양한무기로 무장하여 운용하고 있다.
험비 APC 미국 100대+ - - 평화유지군과 내무군이 운용한다.
르노 셰르파 APC 프랑스 ? - -
AIL 스톰 APC 이스라엘 80대 - - 내무군에서 운용한다.
AIL 아비르 APC 이스라엘 30대 - -
아제르바이잔 육군의 포병무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아제르바이잔 육군의 전술미사일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로라 SRBM 이스라엘 4문 - -
OTR-21 토치카 SSM 소비에트 연방 4문 - -

7. 여담

  • 징병제국가로서 복무를 마친 육군출신군인 비율이 높다.
  • 아제르바이잔 육군또한 가혹행위인 데도프시나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 소비에트 연방때 장비가 부품부족과 구식장비, 작동불가 등의 문제로 10년동안 재정비 및 국방지출이 독립국가연합에서는 높은편에 속한다.
  • 육군장비는 장갑차, 포병장비를 비정상적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다.

8. 관련문서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b5e2 15%,#EF3340 15%,#EF3340 85%,#509E2F 8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F334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교통 아제르바이잔 항공
역사 역사 전반 · 알바니아 왕국 · 서돌궐 · 하자르 · 오구즈 · 셀주크 제국 · 흑양 왕조 · 백양 왕조 · 사파비 제국 · 아프샤르 왕조 · 카자르 왕조 · 자캅카스 민주 연방 공화국 ·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소련(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아르차흐 공화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아제르바이잔/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 관계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독립국가연합 · 상하이 협력기구 · 아제르바이잔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국방 아제르바이잔군
문화 문화 전반 · 노루즈 · 요리 · 라바시 · 바클라바 · 플롭 · 공휴일/아제르바이잔 · 사모바르 · 아제르바이잔/관광 · 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 ·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 아제르바이잔어 · 카만체
인물 니자미 간자비 · 매햄매드 애민 래술자대 · 하즈 한맴매도프 · 헤이다르 알리예프 · 일함 알리예프
지리 나흐츠반 · 카스피해 · 나고르노카라바흐 · 캅카스 산맥 · 아라스강 · 쿠라강
사회 아제르바이잔 마피아
민족 아제르바이잔인(러시아계 · 아르메니아계) · 타트인 · 산악 유대인 ·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 아제르바이잔계 이란인 · 아제르바이잔계 튀르키예인 · 아제르바이잔계 중앙아시아인
}}}}}}}}}

10. 외부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