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02:36:23

안토니오 앙헬리요

안토니오 앙헬리요의 역임 직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d0000><tablebgcolor=#dd0000> 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1957년 ~ 현재
1대
벤 바렉
파일:모로코 국기.svg
2대
카리미리브 / 록힘미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3대
벤 바렉
파일:모로코 국기.svg
4대
피루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5대
마손 / 마히조프
파일:모로코 국기.svg
6대
클루제우 / 셀타티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7대
비드니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8대
바링가
파일:스페인 국기.svg
9대
마히조프
파일:모로코 국기.svg
10대
마르다레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11대
클루제우
파일:프랑스 국기.svg
12대
퐁텐
파일:프랑스 국기.svg
13대
제브레인 / 하미도치
파일:모로코 국기.svg
14대
아미아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15대
발렌티
파일:브라질 국기.svg
16대
파리아
파일:브라질 국기.svg
17대
발렌티
파일:브라질 국기.svg
18대
앙헬리요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대
블린다
파일:모로코 국기.svg
20대
올크
파일:독일 국기.svg
21대
블린다
파일:모로코 국기.svg
22대
라마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23대
누네즈
파일:브라질 국기.svg
24대
미셸
파일:프랑스 국기.svg
25대
카스페르작
파일:폴란드 국기.svg
26대
코엘류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7대
바두
파일:모로코 국기.svg
28대
트루시에
파일:프랑스 국기.svg
29대
파키르
파일:모로코 국기.svg
30대
미셸
파일:프랑스 국기.svg
31대
자말
파일:모로코 국기.svg
32대
르메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33대(대행)
무멘
파일:모로코 국기.svg
34대
게레츠
파일:벨기에 국기.svg
35대
타우시
파일:모로코 국기.svg
36대(대행)
벤디비차
파일:모로코 국기.svg
37대
바두
파일:모로코 국기.svg
38대
르나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39대
할릴호지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40대
레그라귀
파일:모로코 국기.svg
}}}}}}}}}}}}}}}

{{{#!wiki style="margin: 0 -10px;"
{{{#c5a55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64년 ~ 2011년
61대
비츠팔레크
파일:UEFA CZE.png
62대
파키니
파일:UEFA ITA.png
63대
아킬리
파일:UEFA ITA.png
64대
디 벨라
파일:UEFA ITA.png
65대
데 그란디
파일:UEFA ITA.png
66대
피나르디
파일:UEFA ITA.png
67대
비아지니
파일:UEFA ITA.png
68대
비치아니
파일:UEFA ITA.png
69대
데 그란디
파일:UEFA ITA.png
70대
데 벨리스
파일:UEFA ITA.png
71대
그라소티
파일:UEFA ITA.png
72대
베네란다
파일:UEFA ITA.png
73대
카데
파일:UEFA ITA.png
74대
베네란다
파일:UEFA ITA.png
75대
우르바니
파일:UEFA ITA.png
76대
디 벨라
파일:UEFA ITA.png
77대
렌나
파일:UEFA ITA.png
78대
델 노체
파일:UEFA ITA.png
79대
렌나
파일:UEFA ITA.png
80대
자뇨니
파일:UEFA ITA.png
81대
란도니
파일:UEFA ITA.png
82대
로사티
파일:UEFA ITA.png
83대
앙헬리요
파일:UEFA ARG.png
84대
베네란다
파일:UEFA ITA.png
85대
카라만노
파일:UEFA ITA.png
86대
루미냐니
파일:UEFA ITA.png
87대
리구오리
파일:UEFA ITA.png
88대
페라리
파일:UEFA ITA.png
89대
디 마르치오
파일:UEFA ITA.png
90대
오라치
파일:UEFA ITA.png
91대
니콜리니
파일:UEFA ITA.png
92대
살베미니
파일:UEFA ITA.png
93대
비탈리
파일:UEFA ITA.png
94대
데 벨리스
파일:UEFA ITA.png
95대
아르콜레오
파일:UEFA ITA.png
96대
비탈리
파일:UEFA ITA.png
97대
루미냐니
파일:UEFA ITA.png
98대
아르콜레오
파일:UEFA ITA.png
99대
모르자
파일:UEFA ITA.png
100대
손초니
파일:UEFA ITA.png
101대
셀라
파일:UEFA ITA.png
102대
무티
파일:UEFA ITA.png
103대
글레레안
파일:UEFA ITA.png
104대
아리고니
파일:UEFA ITA.png
105대
소네티
파일:UEFA ITA.png
106대
발디니
파일:UEFA ITA.png
107대
귀돌린
파일:UEFA ITA.png
108대
델네리
파일:UEFA ITA.png
109대
파파도풀로
파일:UEFA ITA.png
110대
귀돌린
파일:UEFA ITA.png
111대
페르골리치
파일:UEFA ITA.png
112대
귀돌린
파일:UEFA ITA.png
113대
콜란투오노
파일:UEFA ITA.png
114대
귀돌린
파일:UEFA ITA.png
115대
콜란투오노
파일:UEFA ITA.png
116대
발라르디니
파일:UEFA ITA.png
117대
쳉가
파일:UEFA ITA.png
118대
로시
파일:UEFA ITA.png
119대
코스미
파일:UEFA ITA.png
120대
로시
파일:UEFA ITA.png
◀ 팔레르모 FC 감독(1대~60대)
팔레르모 FC 감독(121대 이후) ▶
}}}}}}}}}}}}}}}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역대 주장
<colcolor=#000> 조반니 인베르니치
(1957~1958)
안토니오 앙헬리요
(1958~1961)
<colcolor=#000> 브루노 볼키
(1961~1962)
}}}}}}}}} ||
안토니오 앙헬리요의 수상 이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세리에 A 로고.svg
1958-59

1957 코파 아메리카 우승 멤버
1957
}}}}}}}}} ||
아르헨티나의 前 축구인
파일:::.jpg
<colbgcolor=#eee><colcolor=#000,#e5e5e5> 이름 안토니오 앙헬리요
Antonio Angelillo
본명 안토니오 발렌틴 앙헬리요
Antonio Valentín Angelillo
출생 1937년 9월 5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사망 2018년 1월 5일 (향년 80세)
이탈리아 토스카나시에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8cm|체중 74kg
직업 축구 선수 (미드필더, 공격수)
축구 감독
경력 <colbgcolor=#eee> 선수 라싱 클루브 (1955)
CA 보카 주니어스 (1956~1957)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957~1961)
AS 로마 (1961~1965)

AC 밀란 (1965~1966)
AC 레코 (1966~1967)
AC 밀란 (1967~1968)
제노아 CFC (1968~1969)
ASD 안젤라나 (1969~1971)
감독 ASD 안젤라나 (1969~1971)
아퀼라 몬테바르키 (1971~1972)
키에티 FC (1972~1973)
캄포바조 FC (1973~1974)
AC 리미니 (1974~1975)
브레시아 칼초 (1975~1977)
레지나 칼초 (1977~1978)
페스카라 칼초 (1978~1980)
US 아레초 (1981~1984)
AS 아벨리노 (1984~1985)
US 팔레르모 (1985~1986)
AC 만토바 (1986~1987)
US 아레초 (1987~1988)
FAR 라바트 (1988~1990)
모로코 대표팀 (1989~1990)
SEF 토레스 (1990~1991)
데포르티보 오소르노 (1994)
국가대표 11경기 11골 (아르헨티나 / 1956~1960)
2경기 1골 (이탈리아 / 1960~1962)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1. 개요

아르헨티나이탈리아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선수 경력

원래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오마르 시보리 등과 함께 1957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페루에서 아르헨티나를 우승으로 이끌고 이탈리아 무대로 넘어왔다. 이 당시 아르헨티나 국대는 유럽으로 인재 유출이 너무나도 심해서 암흑기를 겪고 있었는데 앙헬리요도 그렇게 이탈리아 국대로 적을 옮긴 케이스이기도 하다. 세리에 A 2번째 시즌만에 33골로 득점왕을 차지하면서 이름을 알리고 주장을 맡기도 했다. 1958-59 시즌 33골의 득점은 2015-16 시즌이 되어서야 곤살로 이과인이 36골로 득점왕을 차지하면서 깨게 된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이는 호나우두, 주세페 메아차,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등을 제치고 인테르 소속 선수가 한 시즌에 가장 많은 골을 넣은 기록이기도 하다.
다만 인테르에서 행복하게 생활을 한 것만은 아닌데, 일단 인테르에서는 우승 타이틀을 차지한 적이 없었다. 게다가 1961-62 시즌 당시 신임 감독이었던 엘레니오 에레라와의 불화로 결국 AS 로마로 팔리게 되었다. 이후 인테르는 유러피안컵 2회 우승을 차지하며 "La Grande Inter"로 유럽을 호령했지만, 앙헬리요 개인으로 보면 로마에서 코파, 밀란에서 리그를 우승하면서 나름 우승 타이틀은 챙긴 편.

3. 감독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정통파 스트라이커가 아니었지만 득점력이 좋은 인사이드 포워드였다. 지금으로 치면 골 잘넣는 윙어의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다만 반항적인 성미도 꽤나 있었다고 한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