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01:03:30

전국언론노동조합

언론노조에서 넘어옴
파일: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로고.svg 의 가맹노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로고.jpg 파일: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로고.svg파일: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로고_White.svg 파일:전국공무원노동조합 로고.svg 파일:교수노조 로고.gif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국교수노동조합
파일:전국금속노동조합 로고.svg 파일:전국대학노동조합 로고00.png 파일: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로고.svg 파일:한국비정규직교수노동조합 로고.png
전국금속노동조합 전국대학노동조합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파일: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로고.svg 파일: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로고.svg파일: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로고_White.svg 파일: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 로고.svg파일: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 로고_White.svg 파일:전국언론노동조합 로고.svg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 전국언론노동조합
파일:민주여성노조.png 파일:전국교직원노동조합 로고.svg 파일:화섬식품노조.jpg 파일:전국정보경제서비스노동조합연맹 로고.svg
전국민주여성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전국정보경제서비스노동조합연맹
}}}}}}}}} ||

파일:전국언론노동조합 로고.svg
전국언론노동조합
全國言論勞動組合
National Union of Mediaworkers
약칭언론노조
창립일2000년 11월 24일
임원진
(11대)
위원장윤창현
수석부위원장전대식
상급 단체

파일:민주노총 로고타입.svg
조합원 수15,670명(2021년 4월)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공식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하위 노조3. 평가4. 여담

[clearfix]

1. 개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언론노동조합.

신문사와 방송사의 기자, 아나운서, 기술자, PD, 경영직과 언론유관단체, 미디어 사업체의 노동자들이 가입해 있는 산업별 노동조합이며 정식 명칭은 전국언론노동조합이다. 약칭은 '언론노조'이다. 산하조직은 130여개, 조합원은 1만 5천여 명에 달한다. 상급가맹단체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며 사무실은 서울 중구 세종대로 124에 있는 한국프레스센터 18층에 있다. 민주노총에 소속된 노조 가운데서 인원수가 특출나게 많은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공영언론사 사장 여러 명을 내쫓은 경력[1]이 있는 만큼 대한민국의 산별노조 가운데서는 강한 투쟁성을 띠는 조직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수십여개 언론사들이나 코바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의 언론유관단체 직원들도 노조를 만들어서 언론노조에 가입할 만큼 영향력이 강한 축에 속한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동아일보 노조도 과거 언론노련(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에 가맹한적이 있었지만, 2000년 이후로 언론노조가 산별노조화 되면서 탈퇴, 현재는 미가맹 상태로 남아있다. 다만 동아일보 신문 인쇄노조는 지속적으로 언론노조에 가맹하고 있는 상황이다.

언론노조가 대주주로 있는 매체로는 미디어오늘이 있다.

2. 하위 노조

  • 중앙 사무처
    • 사무처지부
  • 출판・인쇄
    • 동아일보신문인쇄지부
    • 서울경인지역인쇄지부
    • 돌베개지부
    • 보리지부
    • 작은책지부
    • 한겨레출판지부
    • 창비지부
    • 고래가그랬어지부
    • 사계절출판지부
    • 서울경기지역출판지부

3. 평가

4. 여담

  • 진보정당운동의 대부인 권영길민주노동당 대표는 현 언론노조의 전신이었던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초대 위원장을 지냈다.

[1] 다만, 이런 점 때문에 일부 노조에 반감을 가진 사람들로부터 "상황 파악 제대로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고, 공영언론사 사장 교체운 부족으로 인해 오히려 갖은 역풍을 맞기도 한다. 애초에 공영언론사 사장 임명권은 노조가 아니라 대한민국 정부방통위, 혹은 각 방송국의 이사회가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2] 예컨대 가로세로연구소(대표인 김세의가 언론노조에 반대하는 입장으로 2013년 MBC에 제3노조를 설립했던 전력이 있다. 특히 본인 저서인 '좌파가 장악한 대한민국'에서 언론노조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자유한국당과 후신인 국민의힘 등.[3] 특히 MBC는 직원의 약 80%가 언론노조 소속이다. 그러한 여파로 인해 공영방송으로써의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는 평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