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23:31:52

연창궁주


고려의 후궁
[[틀:고려의 후궁/태조 ~ 예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3F6864;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5AA58, #B6D592 20%, #B6D592 80%, #85AA58); color: #3F686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태후 · 왕태자
후궁 : 태조 ~ 예종 · 의종 ~ 공양왕
왕자 : 국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왕녀 : 태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 봉작을 받았거나 이름이 알려진 사람만 기재
}}}}}}}}}

<colbgcolor=#B6D592><colcolor=#3F6864>
고려 정종의 제5비
연창궁주 | 延昌宮主
출생 미상
사망 1048년 3월 16일
본관 노씨[1]
부모 미상
배우자 정종
자녀 없음
거처 연창궁(延昌宮)
작호 연창궁주(延昌宮主)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

[clearfix]

1. 개요

고려 제10대 국왕 정종의 제5비.

2. 생애

《고려사》〈열전〉연창궁주편에는 그녀의 가계에 대해 미상이라고만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아버지가 누구인지, 출신지나 본관이 어디인지 전혀 알 수 없다.

언제 입궁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처음에 정종이 그녀의 아름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입궁시켰으며, 이후 정종의 총애를 받게 되었다. 문종은 즉위한 후 선왕 정종의 유교를 지키기 위해, 노씨에게 연창궁을 하사하였다.

문하성과 어사대에서는 이에 대해 "노씨는 예로써 맞이하지 않았으며, 또 선왕의 난명을 따르는 것은 불가합니다."라며 반대하였다. 하지만 문종은 끝내 대신들의 반대를 들어주지 않았다.

1048년(문종 2년) 음력 3월 16일에 사망하였다. 호는 연창궁주(延昌宮主)이다. 시호와 능은 기록되어 있지않아 알 수 없으며 소생은 없었다.

3. 가족관계

  • 배우자 / 남편
  • 남편 : 정종 왕형(王亨)

[1] 본관은 미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