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34:16

이노스페이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KSR 계획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ffffff> 1993년 1997년 2002년
KSR-I KSR-II KSR-III }}}
<rowcolor=#ffffff> KSLV 계획
<rowcolor=#ffffff> 2013년 2018년 2022년 2030년
KSLV-I 나로 KSLV-II TLV KSLV-II 누리 KSLV-III
KSLV-s
<rowcolor=#ffffff> 국방부
한국형 고체연료 발사체
<rowcolor=#ffffff> 민간 개발 우주발사체
<rowcolor=#ffffff>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이노스페이스
블루웨일 시리즈 한빛 시리즈한빛-TLV
<rowcolor=#ffffff> 엔진
누리호 75톤급 엔진누리호 7톤급 엔진
<rowcolor=#ffffff> 관련 문서
나로호/역사누리호 75톤급 엔진/연소 시험누리호/필요성에 대한 찬반양론누리호 7톤급 엔진/연소 시험대한민국의 우주개발사
관련 틀 :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순위
기업명
401 비나텍
402 미래컴퍼니
403 톱텍
404 엔케이맥스
405 한국캐피탈I
406 케이티알파
407 국전약품
408 케이씨에스
409 파일:와이지-원 CI.svg
와이지-원
410 압타바이오
411 케이에스피
412 보광산업
413 폰드그룹
414 디알텍
415 포니링크
416 아가방
417 한국파마
418 파일:coocon_logo.png
쿠콘
419 티이엠씨
420 브이엠
421 엠에스오토텍
422 오상헬스케어
423 파일:그래디언트 로고.png
그래디언트
424 마이크로디지탈
425 알멕
426 헥토이노베이션
427 이큐셀
428 휴림로봇
429 파일:IMG_2549.png
크레버스
430 쓰리빌리언
431 모다이노칩
432 케이엔솔
433 우주일렉트로
434 나스미디어
435 파일:Innospace_logo.jpg
이노스페이스
436 에이럭스
437 파이버프로
438 파일:isu_abxis_logo.jpg
이수앱지스
439 와이엠티
440 양지사
441 파일:SM티케이케미칼CI.png
티케이케미칼
442 디케이티
443 씨티씨바이오
444 한국전자금융
445 이노와이어리스
446 파일:네오위즈 홀딩스 로고.svg
네오위즈홀딩스
447 대한약품
448 LB세미콘
449 이크레더블
450 액션스퀘어
◀ 코스닥 상위 351위~400위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이름이 비슷한 다른 브랜드에 대한 내용은 이노스페이스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이름이 비슷한 다른 브랜드:
이노스페이스원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이노스페이스
INNOSPACE
파일:Innospace_logo.jpg
<colbgcolor=#0f3b87><colcolor=#ffffff> 기업명 이노스페이스
설립 2017년 9월
소재지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232 A동 412호
대표 김수종
업종 항공우주기업
기업 분류 중소기업(스타트업)
상장 여부 코스닥 상장 462350
매출액 2억 1396만원[A]
영업이익 -242억 8000만원[A]
자본금 7억 5226만원[A]
자산 총액 -
직원 수 85명[A]
공식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발사체4. 기타

[clearfix]

1. 개요

SPACE FOR INNOVATION, INNOVATION FOR SPACE[5]
이노스페이스의 슬로건

대한민국의 우주 탐사·개발 기업.

2017년 9월에 창업하였으며, 한국 최초로 우주에 발사체를 쏘아올린 기업이다. 회사명은 혁신(innovation)과 우주(space)를 결합한 명칭이다.

2. 역사

2022년까지는 이곳을 참고했다.

3. 발사체

이노스페이스의 발사체 목록.
  • 한빛-TLV[개발완료]
    한빛-TLV

    파일:한빛TLV발사대.jpg

    상태개발 완료

    주요 제원이륙 중량: 9.2t
    추진 기관: 1 x 150kN(15t)
    추진제: 액체-고체 혼합 추진제(액체 산소/파라핀)
    탑재능력: 미공개
    최대 도달고도: 미공개[8]
  • 한빛-나노[개발중]
    한빛-나노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상태개발중 (2025년 7월 첫 발사 예정)

    주요 제원이륙 중량:-
    추진 기관: 1단: 1 x 245kN(25t), 2단: 1 x 29kN(3t)
    추진제: 액체-고체 혼합 추진제(액체 산소/파라핀)
    탑재능력: 90kg SSO
    최대 도달고도: -
  • 한빛-마이크로[개발중]
    한빛-마이크로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상태개발중 (2025년 7월 시험 발사 예정)

    주요 제원이륙 중량:-
    추진 기관: 1단: 1 x 245kN(25t), 2단: 2 x 29kN(6t), 킥스테이지: 1 x 4kN(0.4t)
    추진제: 액체-고체 혼합 추진제(액체 산소/파라핀)
    탑재능력: 170kg SSO
    최대 도달고도: -

  • 한빛-미니[개발중]
    한빛-미니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상태개발중 (2026년 말까지 개발 예정)

    주요 제원이륙 중량:-
    추진 기관: 1단: 9 x 245kN(225t), 2단: 1 x 245kN(25t), 3단: 2 x 29kN(6t)
    추진제: 액체-고체 혼합 추진제(액체 산소/파라핀)
    탑재능력: 1,300kg SSO
    최대 도달고도: -

4. 기타

프리 IPO 나선 이노스페이스, 몸값 2000억으로 '쑥'
“한국 우주 스타트업 첨단 기술 좀 봅시다” 업계 관계자들 줄 서
  • 우주발사체 분야에 진출해 처음 가시적 성과를 낸 민간기업이다 보니 여러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으며, 일반인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업계 종사자들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노스페이스 김수종 대표는 실제로 50kg의 위성을 궤도에 진입할 수 있는 2단형 한빛 나노 발사체를 개발할 예정이며 2024년부터 상업 시장에 진출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서는 이노스페이스 공식홈페이지에서 더 자세한 개념도를 확인할 수 있다.

[A] 2022년 기준[A] [A] [A] [5] 번역하자면 "혁신을 향한 우주, 우주를 향한 혁신" 정도의 뜻이다.[6] 3D 프린팅 부문[개발완료]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시험발사가 이행된 발사체들[8] 탑재체 관할인 브라질 공군의 요청에 따른 비행고도 미공개[개발중] 동체 제작은 완료되었으나 시험발사가 이행되지 않은 발사체 포함[개발중] [개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