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02:06:45

이상욱(화가)

이상욱
李相昱 | Rhee, Sang-Wooc
파일:이상욱화가프로필사진1.jpg
<colbgcolor=#bb3b22> 출생 1923년 1월 5일 (음력)
일제강점기 조선 함경남도 함흥군 사포리
(現 함경남도 함흥시 사포구역)
본적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사망 1988년 4월 5일 (향년 66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서울대학교병원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전주 이씨
학력 함흥상업학교 (졸업)
일본 도쿄 가와바타 미술학교 (수학)[1]
동양외국어대학교 불어과 (중퇴)[2]
단국대학교 정치법학과 (편입/졸업)
가족 아버지 이영수(李榮洙), 2남 1녀 중 차남
배우자 권정희(權貞禧)
자녀 2남 3녀
직업 화가, 교육인
분야 유화, 판화
주요 이력 한국판화협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 창립 회원
한국현대판화가협회 제2대 회장
한국미술협회 고문
대한민국미술대전, 동아미술제 등 심사위원
홍익대학교, 고려대학교 출강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3]
파일:작품 74, 1974. 캔버스에 유채, 108x108cm.jpg
작품 74, 1974. 캔버스에 유채, 108x108cm
파일:이상욱 아내 권정희여사와.png
아내 권정희 여사와 함께 퇴근길에 명동에서 랑데부 하는 모습. 권 여사는 덕성여자대학교에서 양재를 가르쳤다.
1. 개요2. 생애3. 작품 세계4. 주요 경력5. 전시 및 출품 활동6. 사후7. 어록8. 소장처
8.1. 국내8.2. 해외
9. 여담10. 참고문헌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출신의 추상화가이자 1세대 모더니스트 판화가.

한국전쟁 직후 모더니즘의 영향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당시 새로웠던 장르인 판화 기법을 한국 판화의 태동기부터 도입 및 전개시킨 한국 판화의 선구자이다. 독보적인 추상표현주의 방식을 통해서 한국추상미술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작품 활동 이외에도, 중고등학교 미술교사로 재직하고 여러 대학에 출강하며 미술 국정교과서를 집필하는 등 교육자로서의 모습 또한 남겼다.

2. 생애

1923년 1월 5일(음력), 함경남도 함흥시 사포리 110번지에서 아버지 이영수(李榮洙)와 어머니 김해 김씨 (金海金氏)의 2남 1녀 중 차남으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일본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북성교통주식회사의 전무로 재직, 조부 이진혁(李鎭爀)은 함흥 서상리에서 한약국을 경영하였다[4]. 이러한 배경 덕분에 유년시절은 제법 풍족하게 보낼 수 있었다.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함흥상업학교에 입학하였지만,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미술에 흥미를 보이며 화가를 지망하게 된다. 졸업 후 함흥세무소에 취직하여 근무하던 중, 제 20 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첫 출품하였으나 낙선한다. 그러나 미술에 대한 끊임없는 열망으로, 함흥세무소를 그만 두고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일본 도쿄의 가와바타 미술학교에서 수학하였다. 하지만 1943년 태평양전쟁의 격화로 일본 유학을 중단하고 함흥으로 귀환환다.

1945년 8월 15일 함흥에서 해방을 맞고 이듬해 권정희와 약혼하였다. 당시 공산주의 세력이 팽배해가던 시기였기에 이를 피해 월남을 시도하였으나, 원산에서 저지되어 다시 함흥으로 되돌아간다.

1947년 약혼자 권정희와 혼인을 하고, 그 해 3월 가족들과 함께 월남에 성공하여 서울 인사동에 정착 후 그 해 가을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에 자택을 마련하여 이사한다. 그리고 학업을 지속하기 위하여 동양외국어대학교 불어과에 입학하여 수학한다. 하지만 그림 공부를 반대하던 아버지의 뜻에 따라, 이듬해 동양외국어대학교 불어과를 중퇴하고 단국대학교 정치법학과에 편입학하여 고시 공부를 병행한다. 8월에는 장녀 초경이 태어난다. 1949년, 경복궁 미술관에서 열린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독 甕 (Jar)>과 <누드(Nude)>를 출품하여 입선하였다.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그 해 9월 아버지가 남하한 인민군에 의해 피살되는 아픔을 겪게 된다. 전시중 차녀 효경이 태어난 후 아내와 두 딸과 함께 부산으로 피난을 가게 된다.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단국대학교의 부산 피난 교사에서 학업을 계속하였다. 마침내 1952년 3월, 단국대학교 정치법학과를 졸업한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체결되어 전쟁이 일단락 되었다. 이상욱은 가족들을 위해 부산 대청동에 거처를 마련하고, 아내와 두 딸을 부산에 남겨두고 서울 충정로 자택으로 잠시 돌아온다. 그러나 11월 27일 부산역전 대화재로 인해 대청동 집이 전소되는 아픔을 겪는다. 이재민 신세가 된 아내의 편지를 받고 부산으로 돌아와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와 덕원고등학교의 미술교사로 부임하여 이듬해 6월까지 재직하였다. 이후 7월, 가족이 모두 서울 충정로 자택으로 돌아왔고, 이상욱은 미술작업을 재개하였다.

1955년 이후, 피난시절과 달리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황에서 개인전 및 단체전에 참가하는 등 왕성하고 활발한 미술 활동을 전개한다. 더불어 홍익대학교, 고려대학교, 대신고등학교, 휘문고등학교 등에 출강하며 미술교육활동에도 힘쓴다. (전시 및 출품 활동 / 주요경력) 참조

1986년 11월 20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대장암 진단을 받고 투병생활을 시작한다. 그러나 투병중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개인전/ 단체전 및 심사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계속 건강이 악화되어 1988년 4월 5일, 향년 66세를 일기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타계하였다.

3. 작품 세계

한국의 추상미술은 1957년 앵포르멜이 등장하면서 겹겹이 쌓인 물성을 이용해 전쟁의 폐허와 잔상, 감성적 파토스를 표현했다. 이후 1960년대의 기하추상과 1970년대의 단색화의 흐름을 따라 추상미술이 전개되었으나 한국 추상미술은 이러한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다양한 추상 미술가들의 특이성이 동시에 존재한다. 이러한 흐름 내에서 일필휘지를 바탕으로 한 서체적 추상(calligraphic abstraction)서정적 기하추상(lyrical geometric abstraction)을 자유롭게 오가면서 그 특유의 추상 세계를 확립한 이가 이상욱 작가이다.

이상욱은 발묵효과나 여백효과를 가장 미학적으로 구축한다. 일필휘지의 즉흥적인 서체도 화면 전체를 강박적으로 채우지 않는다. 선과 색, 물질성과 투명성, 긴장과 이완의 리듬, 마티에르의 중첩된 질감, 그 속을 가로지르는 질주하는 필력은 이상욱의 그림을 새로운 영역의 추상으로 전환시킨다. 이상욱은 어느 한쪽에 전적으로 기대지 않고 양가적 속성을 역이용하는 회화의 방법론을 채택함으로써, 한국 추상의 새로운 미술사적 흔적과 궤적을 만들었다.
「이상욱의 회화적 방법론: 서정적 기하추상과 서체추상」 中 발췌 정연심(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교수)

4. 주요 경력

1958 한국판화협회 창립 회원
1962 《제6회 현대작가초대미술전》 심사위원
1963 《제7회 현대작가초대미술전》 심사위원
1963 《현대미술가회의》 창립 회원
1968 한국현대판화가협회 창립 회원
1970 한국현대판화가협회 제2대 회장 역임
1979 함남미술인협회 《함남도전》 창립 회원
1981 국립현대미술관 《제3회 동아국제판화비엔날레》 심사위원
1982 국립현대미술관 《’82 동아미술제》 회화 및 조각부문 심사위원
1982 국립현대미술관 《제1회 대한민국미술대전》 회화/서양화부 심사위원
1983 한국미술협회 고문
1985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예교양특강 강사 위촉
1986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자문위원 추대
1986 국립현대미술관 《’86 동아미술제》 운영위원장
1987 국립현대미술관 《제6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1988 국립현대미술관 《’88 동아미술제》 운영위원장

[교육 활동]
1953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덕원고등학교 미술교사 (~1954)
1955 서울 대신고등학교 미술교사 (~1959)
1959 서울 휘문고등학교 미술교사 (~1979)
1960 《제3회 세계미술교육학회(InSEA) 총회, 필리핀 마닐라》 한국 대표
1961 문교부 교과과정 재검토회의 위원
1962 문교부 교과과정 심의회 미술과 심의위원
1963 《제4회 세계미술교육학회(InSEA) 총회, 캐나다 몬트리올》 한국 대표
1964 문교부 교육과정 심의회 미술과 심의위원
1964 홍익공예전문대학 출강 (~1965)
1965 《제17회 세계미술교육학회(InSEA)》 한국대표
1965 문교부 검정 미술교과서 『새로운 조형 1-3』 (합동도서인쇄주식회사) 집필
1965 문교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미술과 심의위원
1966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출강 (~1978)
1968 상명여자사범대학 미술교육과 출강 (~1979)
1968 문교부 검정 미술교과서 『새로운 조형 1-3』(합동도서인쇄주식회사) 개정판 집필
1978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미술』 및 『교사용 지도서』 (고려서적주식회사) 집필
1986 고려대학교 출강 (~1987)

5. 전시 및 출품 활동

===# 개인전 #===
<rowcolor=#ffffff> 기간 전시명 장소 비고
1960.07.12 ~ 1960.07.18 《제1 회 이상욱 개인展》 중앙공보관
1970.06.08 ~ 1970.06.14 《제2 회 이상욱 개인展》 신문회관
1975.06.14 ~ 1975.06.21 《제3 회 이상욱 개인展》 M.M. 신노 갤러리(M.M. Shinno Gallery), 미국 로스앤젤레스
1975.10.13 ~ 1975.10.31 《제4 회 이상욱 개인展》 테일러 갤러리, 미국 댈러스
1979.12.16 ~ 1979.12.29 《제5 회 이상욱 개인展》 M.M. 신노 갤러리(M.M. Shinno Gallery), 미국 로스앤젤레스
1987.12.18 ~ 1987.12.30 《제6 회 이상욱 개인展》 서울 현대화랑, 부산 공간화랑, 대구 맥향화랑 동시 개최
* 1988년 4월 5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타계하였다.
===# 단체전 #===
<rowcolor=#ffffff> 기간 전시명 작품명 장소 비고
1940년대
1941.06.01 ~ 1941.06.22 《제20 회 조선미술전람회》 경복궁미술관
1949.11.21 ~ 1949.12.11 《제1 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독 甕 (Jar)>, <누드(Nude)> 경복궁미술관
1950년대
1957.10.15 ~ 1957.11.13 《제6 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노방군상 路傍群像(Views of the Roadside)> 경복궁미술관 서양화부
1957.10.27 ~ 1957.11.03 《제1 회 대한미술교육회 회원전》 <복숭아(Peach)>, <K군(Mr. K)> 중앙공보관
1958.02.28 ~ 1958.04.15 《제5 회 국제 현대 다색 석판화
비엔날레(Fifth International Biennial of Contemporary Color Lithography)》
<겨울(Winter), 1958, Lithograph,
78x59cm>
미국 신시내티 미술관 출품작 <겨울>을 신시내티 미술관이 매입 소장
1958.03.18 ~ 1958.03.24 《제1 회 한국판화협회전》 <참회慘悔 (Bitter Repentance), 석판>, <열원閱怨(Sorrow of Reading), 목판> 중앙공보관
1958.06.08 ~ 1958.06.14 《제2 회 신조형파전》 <산(Mountain)>, <마을(Village)>, <회색의 꿈(Dream of Grey)> 중앙공보관
1958.10.01 ~ 1958.10.30 《제7 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샘터있는 마을(Village with a Spring)> 경복궁미술관 서양화부
1959.10.01 ~ 1959.10.30 《제8 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해동解冬(Thawing), 1956, 캔버스에 유채, 81x130cm> 경복궁미술관 서양화부
1960년대
1960.08.26 ~ 1960.09.02 《대한민국미술교육전》 필리핀 마닐라 이후 싱가포르, 태국 방콕, 베트남 사이공, 홍콩, 대만 타이페이, 일본 도쿄를 순회하며 전시
1961.04.01 ~ 1961.04.23 《제5 회 현대작가초대미술전》 <가로수(Roadside
Trees) A>, <가로수(Roadside Trees) B>
경복궁미술관 회화부
<가로수(Roadside Trees)> 판화부
1961.04.19 ~ 1961.04.25 《제6 회 한국판화협회전》 <이야기(Tale) A>, <이야기(Tale)
B>
동화화랑
1962.04.10 ~ 1962.05.07 《제6 회 현대작가초대미술전》 <독백(Monologue)> 경복궁미술관 판화부, 심사위원활동
1962.05.28 ~ 1962.06.11 《국제자유미술전》 <작품(Work) 62>, <독백(Monologue)> 경복궁미술관
1962.06.04 ~ 1962.06.10 《제7 회 한국판화협회전》 한국판화협회 주최
1963.04.18 ~ 1963.04.30 《제7 회 현대작가초대미술전》 <3 월의 샘(A)> 경복궁미술관 회화부, 심사위원활동
<3 월의 작(作)> 판화부, 심사위원활동
1962.06.04 ~ 1962.06.10 《제7 회 현대작가초대미술전》 한국판화협회 주최
1964.04.18 ~ 1964.04.30 《제8 회 현대작가초대미술전》 경복궁미술관 판화부 초대작가 선정, 계엄령으로 전시 취소
1965.09.01 ~ 1965.09.30 《홍익대학교 상설전시관 개관기념전》 <작품(Work) 65> 홍익대학교
1966.07.01 ~ 1966.07.10 《제5 회 신상전》 <점点(Point)>, <시점視点 (View Point)
No. 7>, <시점視点(View Point) No. 8>, <상想(Thought)>
경복궁미술관
1967.10.27 ~ 1967.11.01 《제6 회 신상전》 <黃과 赤(Yellow and Red),
캔버스에 유채, 110x110cm>
중앙공보관 화랑
1968.10.20 ~ 1968.10.24 《제1 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신세계화랑
1969.05.27 ~ 1969.06.02 《제2 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신세계화랑
1969.07.01 ~ 1969.07.10 《제13 회 현대작가초대미전》 <독백(Monologue) 69-601, Serigraph, 65x50cm>, <독백(Monologue) 69-602, Serigraph, 65x50cm> 중앙공보관 판화부
1970년대
1970.06.10 ~ 1970.07.09 《제1 회 한국미술대상전》 <독백(Monologue)> 경복궁미술관 판화부 추천작가 선정
1970.11.02 ~ 1970.11.30 《제1 회 서울국제판화비엔날레》 <선에의 독백(Monologue of Line) #702, 1970, Serigraph, 52x70cm>, <선에의 독백(Monologue of Line) #703,
1970, Serigraph, 52x70cm>
덕수궁 국립박물관 동아일보사 주최
1972.07.23 ~ 1972.11.30 《제2 회 국제목판화트리엔날레(IIa triennale internazionale della xilografia contemporanea)》 <독백(Monologue), 1968, 닥종이 위에 목판,
46x36cm>과 <독백(Monologue), 1972, 닥종이 위에 목판, 78x54cm>
이탈리아 카르피 목판화미술관
1973.05.10 ~ 1973.05.16 《제2 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1973 의 봄, 1973, 한지
위에 목판, 43x41cm>
명동화랑
1974.11 《현대그래픽 미술의 회고전(Asia oggi, rassegna di grafica contemporanea:
Rotonda di via Besana》
이탈리아 밀라노
1974.04.09 ~ 1974.04.21 《제2 차 미술회관개관기념 판화초대전》 미술회관
1974.04.10 ~ 1974.04.16 한국현대판화가협회-로스앤젤레스판화협회 《제 1 회 한미현대판화교류전》 <작품(Work) 75-1, 한지에 목판, 50x72cm> 현대화랑
1974.07.03 ~ 1974.07.17 《제19 회 창작미술협회전 · 제 2 회 한일작품교류전》 <작품 74-31, 32, 33, 34, 35, 36> 등 유화 6점 국립현대미술관
1974.11.28 ~ 1974.12.04 《제4 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한화랑
1975.04.10 ~ 1975.04.16 한국현대판화가협회-로스앤젤레스판화협회 《제2 회 한미현대판화교류전》 현대화랑
1975.06.22 ~ 1975.06.27 《제20 회 창작미술협회전》 국립현대미술관
1975.08.02 ~ 1975.08.15 《한국미술현역작가 30 인 초대전》 미로화랑
1975.08.18 ~ 1975.08.24 니카세에진샤(二科西人社)창작미술협회-후쿠오카현일한친선협회 《일한교류미술전》 <작품(Work) 74-4, 캔버스에 유채, 108x108cm> 후쿠오카현 문화회관
1976.06.09 ~ 1976.06.15 《창작미협초대전》 <망향(Nostalgia) A, 1976, 캔버스에 유채>,
<망향(Nostalgia) B, 1976, 캔버스에 유채>, <여인女人(Woman) A, 1976, 캔버스에 유채>, <여인女人(Woman)
B, 1976, 캔버스에 유채>
양지화랑
1976.06.21 ~ 1976.06.26 《제1 회 극동예술가회의 서울대회》 워커힐
《현대국제판화전》 한국출판문화회관
1976.06.24 ~ 1976.07.01 《서양화 100인 초대전》 문화화랑
1976.07.11 ~ 1976.07.17 《제21 회 창작미술협회전·제 4 회 한일작품교류전》 국립현대미술관
1977.03.16 한국미술협회 《제13 회 아세아현대미술전(亜細亜現代美術展)》 출품작가 위촉
1977.05.02 ~ 1977.05.08 《제5 회 한일작품교류전》 오이타현 문화회관
1977.07.07 ~ 1977.07.13 후쿠오카 슈코샤빌딩
1977.06.07 ~ 1977.06.17 《제4 회 한국미술대상전》 <회화 77-VI, 캔버스에 유채,
131x163cm>, <회화 77-VIII>
국립현대미술관
1977.06.26 ~ 1977.07.09 《제13 회 아세아현대미술전(亜細亜現代美術展》 일본 동경도립미술관
1977.07.24 ~ 1977.08.03 《제22 회 창작미술협회전》 국립현대미술관
1978.02.19 ~ 1978.02.25 《한국화랑초대 한국판화 12 인전》 한국화랑
1978.03.14 ~ 1978.03.23 《제4 회 국제판화교류전》 <망향(Nostalgia) 78-A, 한지에 목판, 60x82cm> 국립현대미술관 중앙일보사-한국현대판화가협회 공동주최
1978.11.03 ~ 1978.11.12 《한국현대미술 20 년의 동향전》 <독백(Monologue),
1963, 캔버스에 유채, 65x91cm>, <점(Point), 1964, 캔버스에 유채, 53x73cm>
국립현대미술관
1978.11.13 ~ 1978.11.22 《제5 회 한국미술대상전》 <흔적(Trace) 78-B> 국립현대미술관
1979 《제1 회 함남도전》 창립 회원, 함남미술인협회-함남서예가협회 주최
1979.03.06 ~ 1979.03.11 《한중판화교류전》 신세계미술관 한국미술협회 주최
1979.06.04 ~ 1979.06.17 《제2 회 중앙미술대전》 <흔적(Trace) 79-E> 국립현대미술관 서양화부 초대작가, 중앙일보사-동양방송 주최
1979.06.20 ~ 1979.07.01 《제 15 회 아세아현대미술전》 <흔적(Trace) 79-4A, 1979, 캔버스에 유채 100x100cm>, <흔적(Trace) 79-E, 1979, 캔버스에 유채, 100x100cm> 동경도립미술관, 동경도립산업회관 아세아미술교우회 주최
1979.07.25 ~ 1979.08.01 《한국현대판화가협회 창립 10 주년 기념전》 <흔적(Trace) 79-B, 닥종이 위에 목판, 69x69cm> 국립현대미술관
1979.12.04 ~ 1979.12.09 《한국현대판화 및 직조염색전(Modern Korean Prints & Tapestries)》 <작품(Work) 79, 1979, 닥종이 위에 목판, 70x70cm> 홍콩 아트 센터(Hong Kong Art Center)
1979.12 홍콩 웨스트 이스트 갤러리(West East Gallery)
1980년대
1980.07.09 ~ 1980.08.02 《한국현대판화가협회·로스엔젤레스판화협회 교류전》 <무제(Untitled), 1980, 한지에 목판, 62x67cm> 미국 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
1980.07.29 ~ 1980.08.04 《제16 회 한국미술협회전》 <흔적(Trace) 79-E, 131x163cm, 캔버스에 유채> 국립현대미술관 서양화부
1980.10.02 ~ 1980.10.15 《한국판화·드로잉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0.11.01 ~ 1980.11.15 《제5 회 공간대상 국제판화상》 <한가위(Harvest Moon Day) B, 한지 위에 목판, 16x16cm>, <한가위 (Harvest Moon Day) C, 한지 위에 목판, 16x16cm> 공간미술관
1980.11.28 ~ 1980.12.03 《제15 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미술회관
1981.03.06 ~ 1981.03.16 《한국판화대전》 <흔적(Trace) 80-F, 닥종이 위에 Serigraph, 61x67cm> 미술회관
1981.03.18 ~ 1981.03.24 《제2 회 함남도전》 <작품 79 의 흔적(Trace) (E), 닥종이 위에 목판, 68x71cm>, <작품 79 의 흔적(Trace) (F), 닥종이 위에 목판, 68x71cm>, <작품 80 의 흔적(Trace) (A), 닥종이 위에 Serigraph, 68x68cm>, <작품 80 의 흔적(Trace) (B), 닥종이 위에 Serigraph, 68x68cm> 세종문화회관
1981.04.17 ~ 1981.05.07 《한국미술 '81 전》 <대춘부 81, 캔버스에 유채, 105x105cm> 국립현대미술관
1981.09.01 ~ 1981.09.13 《한국현대판화초대전》 <작품(Work) ’81-#12, e3/9 1981, Serigraph, 57x77cm>, <작품(Work) ’81-#11, 1981, e1/10, Serigraph, 57x77cm> 신세계미술관
1981.09.11 ~ 1981.09.16 《서울국제판화교류전》 미술회관 한국현대판화가협회-중앙일보-계간미술 공동주최
1981.12.02 ~ 1981.12.19 《한국현대판화전(Modern Korean Prints Exhibition)》 <작품(Work) 83-13, e2/19, Serigraph, 50x65cm> 덴마크 코펜하겐 갤러리후셑(Gallerihuset)
1982.08.20 ~ 1982.08.25 《제17 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작품(Work) 82-C, 1982, Serigraph, 50x65cm> 미술회관
1982.09.24 ~ 1982.09.30 《토탈미술관기획 한국현대판화전》 토탈미술관
1982.11.01 ~ 1982.11.15 《제2 회 공간국제판화전》 <작품(Work) 82-1, Serigraph, 16x16cm>과 <작품(Work) 82-2, Serigraph, 16x16cm> 공간미술관
1983.03.01 ~ 1983.03.30 《’82-‘83 현대미술초대전》 <실제失題(Untitled) 83, 1983, 한지 위에 Serigraph, 50x67cm> 국립현대미술관
1983.03.07 ~ 1983.03.15 《한국현대 목판화 6 인전》 <작품(Work) 79, 1979, 닥종이에 목판, 70x70cm> 대구 맥향화랑 김상유, 강환섭, 김형대, 송번수, 김상구 등 참여
1983.04.07 ~ 1983.04.13 《제4 회 함남도전》 <망향(Nostalgia) 76-C, 캔버스에 유채, 23x29cm>, <망향(Nostalgia) 76-D, 캔버스에 유채, 20x25cm> 세종문화회관
1983.06.17 ~ 1983.09.30 《제15 회 류블랴냐 국제판화비엔날레》 유고슬라비아 류블랴나 미술관
1983.07.01 ~ 1983.07.10 《제18 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대구 수화랑
1983.07.27 ~ 1983.08.15 《제4 회 서울국제판화비엔날레》 <실제失題(Untitled) C, 1983, 닥종이 위에 Serigraph, 50x67cm>, <실제失題(Untitled) D, 1983, 닥종이 위에 Serigraph, 50x67cm> 국립현대미술관 심사위원
1983.09.16 ~ 1983.09.21 《서울국제판화교류전》 <무제(Untitled), 1983, 닥종이 위에 Serigraph, 50x60cm> 미술회관 한국현대판화가협회-중앙일보-계간미술 공동주최
1983.11.02 ~ 1983.11.30 《서울·샌프란시스코 판화·드로잉 교류전(Exchange Exhibition of Print and Drawing between Seoul and San Francisco)》 샌프란시스코 U.S.I.S.
1983.11.16 ~ 1983.11.30 서울 World Print Council
1984.02.01 ~ 1984.02.28 Korean Cultural Service
1983.11.16 ~ 1983.11.30 《한.미 판화 드로잉 교류전》 <무제(Untitled) 83, e8/10, 닥종이에 Serigraph, 50x67cm> 서울 미국문화원
1983.11.02 ~ 1983.11.30 샌프란시스코 판화협회
1984.02.01 ~ 1984.02.28 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
1983.12.24 ~ 1984.03.24 《제1 회 중화민국 국제판화비엔날레(國際版畫雙年展)》 <실제失題(Untitled) 83-C, 1983, 닥종이 위에 Serigraph, 50x67cm>, <실제失題(Untitled) 83-D, 1983, 닥종이 위에 Serigraph, 50x67cm> 타이페이 미술관 대만 행정원 문화건설위원회 주최
1984.05.18 ~ 1984.06.17 《84 현대미술초대전》 <봄(Spring) B, 1984, 캔버스에 유채, 100x100cm> 국립현대미술관
1984.06.28 ~ 1984.06.30 《제5 회 함남도전》 <작품(Work) 83-No.7, e7/10 Serigraph, 50x65cm>, <작품(Work) 83-No.31, Serigraph, 50x65cm> 세종문화회관
1984.08.31 ~ 1984.09.15 《제20 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망향(Nostalgia) 84-1, Serigraph, 50x65cm>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1984.11.06 ~ 1984.11.18 《33 인의 스케치》 동방미술관
1984.12.20 ~ 1984.12.30 《한국현대성화전 (Mostra della Pittura Religiosa Coreana)》 <망향(Nostalgia) 84-1, Serigraph, 50x65cm> 이탈리아 로마 산 마르코 갤러리 국립현대미술관-대한민국해외공보관 주최
1985.05.10 ~ 1985.05.14 《제6 회 함남도전》 <작품(Work) 84-A, 캔버스에 유채, 24x34cm>, <작품(Work) 84-B, 캔버스에 유채> 세종문화회관
1985.05.18 ~ 1985.06.16 《’85 현대미술초대전》 <대춘부 待春賦 (Poem for Spring), 캔버스에 유채, 100x100cm> 국립현대미술관
1985.05.20 ~ 1985.05.29 《39 현대판화가전》 <형과 색(Figure and Color), 1969, Serigraph, 79x55cm> 후갤러리, 전갤러리
1985.09.27 ~ 1985.10.02 《서울국제판화교류전》 <망향(Nostalgia) A, 1985, Serigraph, 75x55cm> 미술회관 한국현대판화가협회 주최
1985.10.04 ~ 1985.10.18 《광복 40 주년 기념 - 현대미술 40 년전》 <독백 (Monologue) 75, 캔버스에 유채, 132x132cm> 국립현대미술관 도록에는 <독백 75, A Soliloquy 75>라고 표기
1985.11.13 ~ 1985.11.30 《한국현대판화 어제와 오늘》 <흔적痕跡(Trace) 80-A, 닥종이 위에 Serigraph, 68x68cm> 호암갤러리 중앙일보사 주최
1985 《제 10 회 국제원색판화 트리엔날레》 스위스 그렌첸
1985.12.24 ~ 1986.02.24 《제2 회 중화민국 국제판화비엔날레(國際版畫雙年展)》 <망향 85-A, 1985, Serigraph, 75x55cm>와 <망향 85-B, 1985, Serigraph, 75x55cm> 타이페이 미술관 대만 행정원 문화건설위원회 주최
1986.05.03 ~ 1986.05.14 《중 . 한 . 일 판화명가전(中.韓.日 版畵名家展)》 대만 미술전시센터
1986.08.06 ~ 1986.08.19 《한국 현대 판화가 24 인전》 관훈미술관 관훈미술관 개관 7주년 및 뉴갤러리 개관기념
1986.08.08 ~ 1986.08.13 《제22 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미술회관
1986.09.13 ~ 1986.10.12 《한일교류현대판화전》 <망향(Nostalgia) 86-No. 1, e2/19, Serigraph, 58x77cm>, <망향 85-II, e21/22, Serigraph>, <망향 81-I e5/5, Serigraph, 80x60cm> 일본 시모노세키 시립미술관(下關市立美術館)
1986.10.16 ~ 1986.11.03 일본 히로시마 구레시립미술관(吳市立美術館)
1986.09.17 ~ 1986.10.11 《’86 서울미술대전》 <망향(Nostalgia) 86-A>, <망향(Nostalgia) 86-B> 국립현대미술관 서울특별시 주최
1986.10.07 ~ 1986.10.19 《제5 회 서울국제판화비엔날레》 <망향(Nostalgia) 86-F, 57x76cm, Serigraph> 프레스센터 서울갤러리 심사위원, 동아일보사 주최
1986.10.11 ~ 1986.10.21 《KBS 초대미전 - TV 미술관 150 인 방송기념》 <망향(Nostalgia) 84, 캔버스에 유채, 30x35cm>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기념 도록에 작품 소개
1986.10.15~ 1986.11.03 《제5 회 대한민국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판화분과 심사위원장, 《제 5 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도록》에 작품 수록
1986.11.10 ~ 1986.11.19 청주예술관
1986.11.25 ~ 1986.12.04 대전시민회관
1986.12.10 ~ 1986.12.19 전북예술회관
1986.12.27 ~ 1987.01.05 남도예술회관
1987.01.12 ~ 1987.01.21 부산시민회관
1987.01.27 ~ 1987.02.05 대구시민회관
1987.02.11 ~ 1987.02.20 춘천시립문화관
1986.10.31 ~ 1986.11.05 《창작미술협회 창립 30 주년 기념전》 <망향(Nostalgia) 84, 캔버스에 유채, 22x34cm>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1986.11.01 ~ 1986.11.30 《Trace 86 - 제 11 회 현대판화비엔날레(11e Biennale d'estampe contemporaine)》 <망향(Nostalgia) 82, e18/20, Serigraph> 프랑스 파리 FIAP(Foyer International d’accucil de Paris)
1986.11.05 ~ 1986.11.15 《한국현대판화대전》 <망향(Nostalgia)-C, e2/20 1986, Serigraph, 58x77cm> 동제미술관
1987.04.03 ~ 1987.04.03 《오늘의 현대판화가 5 인전》 <망향(Nostalgia)-C, e2/20 1986, Serigraph, 58x77cm> 바탕골미술관 바탕골미술관 개관 1 주년기념 초대전, 김형대, 권녕숙, 서승원, 김태호 작가가 함께했다.
1987.05.23 ~ 1987.06.21 《’87 현대미술초대전》 <망향 86-A, Serigraph, 58x77cm> 국립현대미술관
1987.06.23 ~ 1987.06.29 《제23 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대구 맥향화랑
1987.07.10 ~ 1987.08.08 《’87 프린트 어드벤처》 <망향(Nostalgia) 85, Serigraph, 75x55cm> 국립현대미술관
1987.08.24 ~ 1987.09.13 《’87 서울미술대전》 <사랑의 계절(Season for Love) 87-A, Serigraph, 59x77cm>, <사랑의 계절(Season for Love) 87-B, Serigraph, 59x77cm> 국립현대미술관 서울특별시 주최
1987.09.04 ~ 1987.09.09 《서울국제판화교류전》 <사랑의 계절(Season for Love) 87-A, Serigraph, 59x81cm> 미술회관
1987.10.02 ~ 1987.10.21 《제6 회 대한민국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출품 및 심사위원 위촉
1987.11.16 ~ 1987.11.25 부산시민회관
1987.12.04 ~ 1987.12.13 대전시민회관
1987.12.18 ~ 1987.12.27 광주남도예술관
1987.10 《제 3 회 중화민국 국제판화비엔날레(國際版畫雙年展)》 <사랑의 계절 87-A, Serigraph, 59x77cm>와 <사랑의 계절 87-B, Serigraph, 59x77cm> 타이페이 미술관 대만 행정원 문화건설위원회 주최
1988.01.19 ~ 1988.01.24 《한국현대판화초대전》 신세계미술관
1988.03 《’88 동아미술제》 운영위원장 위촉
  • 1988년 4월 5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타계하였다.

6. 사후

<rowcolor=#ffffff> 기간 전시명 장소 비고
회고전
1992.04.30 ~ 1992.05.24 《이상욱 유작 초대展》 국립현대미술관 회고전 도록 『이상욱』 출판
1997.05.21 ~ 1997.06.08 《회고展: 이상욱》 일민미술관 회고전 도록 『이상욱』 출판
2023.06.28 ~ 2023.07.29 《이상욱: 더 센테너리》 학고재갤러리 화가 이상욱 탄생 100년
기획전
1990.05 《한국 현대판화 초창기 작가 8인전》 갤러리 메이 국립현대미술관장 이경성의 에세이 『한국 현대판화의 선구자들』
1992.09 《국립현대미술관 소장작가작품전: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1993.05.26 ~ 1993.06.19 《한국현대판화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1995.03.25 ~ 1995.04.05 《’95 서울 판화미술제 특별전: 한국의 고, 근대 판화전》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1998.08.11 ~ 1998.08.22 《창립 원로 작가 초대전, 호주현대판화 10년전, 한국현대판화 30년전, 제18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 공모전》 서울시립미술관
2010.07.17 ~ 2010.11.07 《한국 근현대미술 거장전》 서울 여의도 63빌딩 63스카이아트미술관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품
2022.01.07 ~ 2022.02.06 《에이도스(Eidos)를 찾아서 - 한국 추상화가 7 인》 학고재갤러리 초대 단체전
2022.11.01 ~ 2023.02.28 《한국의 기하추상 (Geometric Abstraction in Korean Art)》 홍익대학교 박물관 홍익대학교 박물관 소장품
2023.11.16 ~ 2024.05.19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 (Geometric Abstraction in Korean Ar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기타
2022.09.02 ~ 2022.09.06 파일:Frieze_logo.png[5]
공식홈페이지
《제1회 프리즈 서울(Frieze Seoul)》
COEX 프리즈 마스터즈
Frieze Masters
2023.09.06 ~ 2023.09.09 파일:Frieze_logo.png
공식홈페이지
《제2회 프리즈 서울(Frieze Seoul)》
COEX 프리즈 마스터즈
Frieze Masters
2023.10.11 ~ 2023.10.15 파일:Frieze_logo.png
공식홈페이지
《2023 프리즈 런던(Frieze London)》
The Regent's Park,
런던
프리즈 마스터즈
Frieze Masters

7. 어록

"미술은 곧 생활이다."[6]
- 1988, KBS 라디오 인터뷰
"나는 작품에서 까닭을 달기 위하여 형체를 다듬는 따위의 일을 무척 싫어한다. 그저 담담한 마음에서 화필을 들어 꽃을 만들고, 짜임새를 찾아 헤매노라면 또 세차고 무겁도록 큰 덩어리를 만나게 된다. 그것은 가끔 나 자신의 자화상(自畫像)으로 보여질 때도 있다. 이러한 감응은 나를 어색해지게 한다. 사실 나는 내가 그린 둥그러미가 차라리 한 덩어리의 큰 바위처럼 보여지길 바랄 때도 있다. 이럴 경우는 나를 바위처럼 우직하게 성형했다는 뜻에서 나는 조그만 자존(自尊)을 느끼게 한다. 그리고 또한 보름달로 보여질 때도 이태백(李太白)의 초연했던 인생을 대하는 것 같아 티없는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 내가 매력을 느끼는 빛깔은 진한 빨강색. 그 불덩어리 같은 색감에 나는 곧잘 도취되는 것이다."
- 1973

8. 소장처

8.1. 국내

8.2. 해외

9. 여담

  • 이상욱의 고조할아버지는 사상의학과 '태양인'으로 잘 알려진 조선의 의학자 이제마이다. (현손 관계)

  • 근현대미술의 대표적인 화가인 이중섭이 생전에 방랑생활 중, 서대문에 위치한 이상욱 화백의 자택에 머문 적이 있다.

  • 한국현대판화가협회에서 주최하는 공모전 시상에는 이 화백의 이름을 따서 만든 <이상욱 상(賞)>이 있다.

  • 휘문고등학교 재직 시절, 당시 미술교사였던 이상욱 화백의 지도를 받은 휘문고 미술반 학생들이 각종 실기 대회 및 공모전에서 상을 모조리 독식했다고 한다. 이리하여 타학교 학생들의 공적이 되었었다는 사실은 한국 미술사에 전설 아닌 전설이다.

  • 현대 조각가 권진규 작가는 이 화백의 배우자인 권정희와 일가친척 관계이며 모두 함흥 출신 인물들이다.

  • 친분을 유지하며 활동했던 작가들로는 김흥수, 권옥연, 권진규, 류경채, 유강열 등이 있다.

  • 1987년 《제 6 회 개인전》 당시, 의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투병중 입원해있던 병원에서 뛰쳐나와 방문객을 맞았다고 한다. 이듬해 이 화백이 작고하였고, 이 전시가 생애 마지막 전시가 되었다.

10. 참고문헌



[1] 태평양 전쟁의 격화로 일본 유학을 중단하고 함흥으로 귀환하였다.[2] 미술 공부를 반대하던 아버지의 뜻에 따라 동양외국어대학교 불어과를 중단하고 단국대학교 정치법학과에 편입학, 고시 공부도 병행하였다.[3] 이 화백의 작품, 글, 생애 등을 아카이빙 하기 위하여 유족이 관리한다.[4] 이상욱의 고조할아버지는 사상의학의 창시자로 잘 알려진 조선의 한의학자 이제마이다.[5] 1991년 아만다 샤프, 매튜 슬롯오버, 톰 기들리에가 출간과 함께 설립했다. 아트 바젤, 피아크와 함께 세계 3대 아트페어라고 불린다. 4개의 도시에서 매년 박람회를 개최한다. 10월 런던의 리젠트 공원에서 열리는 프리즈 런던을 개최한다. 2022년 9월, 프리즈 서울이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서 개최되었다.[6] 생활은 미술의 본 바탕이며, 미술에서 얻어진 고차원의 감각이 다시 생활에 환원될때 우리의 삶이 향상되고 발전되는 것이라는 의미를 담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