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후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산 중 | 부산 서 갑 | 부산 서 을 | 부산 영도 갑 | 부산 영도 을 |
김응주 | 김영삼 | 김동욱 | 최성욱 | 김상진 | |
이만우 | |||||
부산 동 갑 | 부산 동 을 | 부산 부산진 갑 | 부산 부산진 을 | 부산 동래 | |
박순천 | 이종린 | 이종남 | 박찬현 | 곽종섭 | |
김명수 | |||||
마산 | 진주 | 충무 | 진해 | 삼천포 | |
정남규 | 김용진 | 최천 | 김병진 | 이기선 | |
강선규 | |||||
진양 | 의령 | 함안 | 창녕 | 밀양 갑 | |
황남팔 | 강봉용 | 한종건 | 박기정 | 백남훈 | |
신태수 | |||||
밀양 을 | 양산 | 울산 갑 | 울산 을 | 동래 | |
김정환 | 서순칠 정운영 김대우 | 최영근 | 김택천 | 조일재 | |
김해 갑 | 김해 을 | 창원 갑 | 창원 을 | 통영 | |
최원호 | 송용우 | 백종기 | 김기수 설관수 | 서정귀 | |
이양호 | |||||
거제 | 사천 | 남해 | 하동 | 산청 | |
윤병한 | 정헌주 | 원정희 | 이상철 | 하종배 오문택 심상선 | |
서순영 최창일 | 조명환 | ||||
정영모 | |||||
함양 | 거창 | 합천 갑 | 합천 을 | ||
정준현 | 신중하 | 정경식 | 박인범 허수 | ||
정길영 | |||||
송근영 | |||||
서울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제주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부산 중 | 부산 영도 갑 | 부산 영도 을 | ||
김응주 | 김영삼 | 김동욱 | 최성욱 | 이만우 | |
부산 동 갑 | 부산 부산진 을 | 부산 동래 | |||
박순천 | 이종린 | 이종남 | 박찬현 | 김명수 | |
마산 | 진주 | 충무 | 진해 | 삼천포 | |
정남규 | 김용진 | 최천 | 김병진 | 이재현 | |
진양 | 의령 | 함안 | 창녕 | 밀양 갑 | |
황남팔 | 강봉용 | 한종건 | 박기정 | 백남훈 | |
울산 갑 | 울산 을 | 동래군 | |||
박권희 | 임기태 | 최영근 | 정해영 | 조일재 | |
김해 갑 | 김해 을 | 창원 갑 | 창원 을 | 통영 | |
최원호 | 서정원 | 이양호 | 김봉재 | 서정귀 | |
거제 | 남해 | 하동 | |||
윤병한 | 김기용 | 정헌주 | 김종길 | 윤종수 | |
산청 | 함양 | 거창 | 합천 갑 | 합천 을 | |
조명환 | 정준현 | 신중하 | 이상신 | 정길영 | |
* 남해 최치환 자격 상실 (1961.3.8.) * 고성 최석림 자격 상실 (1961.4.4.) | |||||
◀ 제4대 제6대 ▶ 제6대(부산)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0080><tablebgcolor=#00008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0080><tablebgcolor=#00008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한근조 | 주요한 | 정일형 | 유성권 | 홍용준 |
서범석 | 김산 | 신상초 | 장면 | 김원만 | |
윤명운 | 김재곤 | 곽상훈 | 김훈 | 조윤형 | |
허혁 | 김영구 | 홍익표 | 천세기 | 박주운 | |
김윤식 | 이병헌 | 허길 | 계광순 | 박충모 | |
김명윤 | 양덕인 | 태완선 | 신기복 | 김준섭 | |
김대중 | 함종빈 | 최경식 | 김광준 | 김기철 | |
신정호 | 김창수 | 박기종 | 민장식 | 이충환 | |
김사만 | 이태용 | 유진영 | 성태경 | 엄대섭 | |
김학준 | 이석기 | 우희창 | 김영선 | 이상철 | |
성원경 | 장경순 | 안만복 | 이규영 | 성기선 | |
류청 | 이철승 | 김판술 | 이춘기 | 이정원 | |
배성기 | 신현돈 | 송영선 | 한상준 | 윤정구 | |
홍영기 | 나용균 | 송을상 | 조한백 | 조규완 | |
윤택중 | 정성태 | 김용환 | 이필선 | 김문옥 | |
정재완 | 고몽우 | 김동호 | 고기봉 | 김석주 | |
김우평 | 조연하 | 박형근 | 박민기 | 고영완 | |
양병일 | 김채용 | 김옥형 | 유옥우 | 주도윤 | |
정문채 | 이경 | 김의택 | 김선태 | 박희수 | |
서동진 | 임문석 | 조재천 | 조일환 | 오정국 | |
우홍구 | 박해충 | 최태능 | 최해용 | 황한수 | |
조헌수 | 박해정 | 김준태 | 주병환 | 홍정표 | |
이병하 | 현석호 | 황호영 | 김응주 | 김동욱 | |
최성욱 | 이만우 | 박순천 | 이종린 | 이종남 | |
박찬현 | 김명수 | 정남규 | 김용진 | 김병진 | |
강봉용 | 한종건 | 박기정 | 백남훈 | 최영근 | |
조일재 | 최원호 | 이양호 | 서정귀 | 윤병한 | |
정헌주 | 김종길 | 조명환 | 정준현 | 신중하 | |
정길영 | 홍문중 | }}} }}}}}} |
李鐘麟
1921년 6월 29일 ~ 1985년 6월 24일 (향년 63세)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정치인이다.2. 생애
1921년 6월 29일 경상남도 부산부(現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1] 일본 도쿄도 센슈대학 예과를 수료하고, 8.15 광복 후 동아대학교 법정학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고 1966년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2]를 취득했다.센슈대학 예과 수료 후 귀국해 일제강점기 말기 함흥의학전문학교, 함흥농업학교 등지에서 강사를 지냈다.
광복 후 동양외국어전문학교[3](現 경희대학교) 교수를 역임했고, 6.25 전쟁 당시 전시연합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정전 협정 체결 뒤에는 부산공업대학 교수, 동아대학교 법정대학 정치학과 주임교수 등을 지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상남도 부산시 동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제5대 국회에서 외교분과위원회 간사 겸 위원장 대리를 역임했으나 1961년 일어난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의원직을 사퇴하고 곧 정치활동을 규제당했다. 이후 박정희 정부의 군사독재에 대항하기 위해 야당 재건을 꾀하기도 했으나[4], 교단으로 돌아갔고 1962년 5월 정치활동정화법에 따라 적격판정을 받아 정치활동 규제가 풀리기도 했지만 정계로 복귀하지 않고 그대로 은퇴했다.
이후 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정치사상과 정당사 등을 연구, 강의하였고, 동국대학교 법과대학장, 동국대학교 대학원장을 겸임했다. 대중의 정치의식 함양이 민주주의와 민주제도를 우리나라에 안착시키는 가장 커다란 요소임을 강조하고 실제 많은 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교수 정년퇴임을 앞둔 1985년 6월 24일 새벽 4시에 서울특별시 은평구 갈현동 227-35번지 자택에서 지병으로 별세했다. 장례는 동국대학교 교정에서 법정대학장으로 치러졌다.
3. 선거이력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부산시 동구 을) | | 12,696표 (37.03%) | 당선 (1위) | 초선 |
[1] 동대신문 기사에 의하면, 함경남도 출신으로 적혀 있다.[2] 박사 학위 논문 : 辛亥革命(신해혁명)의 政治思想(정치사상) 硏究(연구) : 新舊勢力對立抗爭(신구세력대립항쟁)의 展開過程(전개과정)을 中心(중심)으로(1966).[3] 1947년 9월 7일 동양외국어전문학관으로 개교했으며 초대 학장은 소설가 강용흘이었다. 영어과, 중국어과, 러시아어과, 프랑스어과, 스페인어과, 독일어과 등 6개 전공이 있었다고 하는데, 1950년 3월 31일 신흥초급대학에 합병되었다.[4] 훗날 야당 재건을 위한 회동이 있다고 해 회동 장소에 나가보니 본인 혼자만 나왔다는 소회를 남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