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법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fff,#000> 태양력 | 국제고정력 · 그레고리력 · 다리우스력 · 루미력 · 마야력 · 베르베르력 · 벵골력 · 사카력 · 세계력 · 소비에트력 · 에티오피아력 · 율리우스력 · 이집트력 · 인류력 · 전례력 · 자바력 · 콥트력 · 페르시아력 · 프랑스 공화력 |
태음태양력 | 견행력 · 대연력 · 대통력 · 대한융희사년력 · 둔갑력 · 만세력 · 명시력 · 무인력 · 바빌로니아력 · 백중력 · 사분력 · 선명력 · 수시력 · 숭정력 · 시헌력 · 십정력 · 아시리아력 · 오기력 · 움마력 · 원가력 · 은력 · 인덕력 · 천세력 · 칠요력 · 칠정산 · 태일력 · 태초력 · 회회력 · 히브리력 | |
태음력 | 이슬람력 | |
관련 개념: 공전 · 메톤 주기 · 아벨 범주 | }}}}}}}}} |
기년법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종교기년 | <tablebgcolor=#FFF,#1F2023>불멸기원 | 서력기원 | 에티오피아력 | 우주력 | 공기 | 원기 | 포덕 | 도기 | 콥트력 | 이슬람력 | 페르시아력 | 히브리력 |
건국기년 | 개국기년 † | 단군기원 | 대한민국 연호 | 민국기년 | 황기 | 황제기원 † | |
즉위기년 | 연호 ( 일본 연호) | |
탄생기년 | 주체년호 † | 키루스 기원 † | |
태세기년법 | 육십갑자 | |
기타 | 인류력 | |
†: 폐지된 기년법 | }}}}}}}}} |
1. 개요
인류력(人類曆: Holocene Calendar) 혹은 인류기원은 그레고리력의 기원전 10,000년을 기원년으로 삼는 역법 겸 기년법으로, 1993년 지질학자 체사레 에밀리아니가 처음 주장했다. 표기할 때에는 Human Era(인류세)의 약자인 HE를 뒤에 붙여 표기한다. 이를테면, AD 1945는 11,945 HE가 된다.
2. 의의
- 문명의 역사를 아우르는 의미가 있다. 인류력에서 기원년으로 삼는 해는 신석기 시대가 시작하여 인류가 고도로 구조화된 공동체와 종교를 형성했음을 시사하는 최초의 건축물인 괴베클리 테페가 지어진 무렵이고, 홀로세가 시작하여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농경이 본격화된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인류력은 인류세와 비슷하게 문명의 시작을 한 시대의 시작으로 보며, 그 이후 인류의 발전 과정이 한 눈에 정리된다.
- 중립적이다. 서력기원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년을 기원년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특정 종교에 편향적이다. 이마저도 서력기원의 원년에 오류가 존재한다는 단점 역시 존재한다. 한편 이슬람력이나 태국 등에서 쓰는 불멸기원 역시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다만 서력기원에 단순히 10,000을 더한 기년법이기에, 간접적으로 서력기원에 편향적이라고 볼 여지는 있다.
- 연도 계산이 편해진다. 기원년은 1년이고, 그 전년은 -1년이란 점에서, 그리고 그 이후로는 음수로 세야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년도 계산은 미묘하게 헷갈린다. 세기 계산할 때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이 때문에 ISO 8601와 기원전 년도는 숫자가 1만큼 차이가 나서 혼란이 더욱 가중된다.[1] 반면에 인류력을 쓰면 인류의 역사 대부분이 양수로 변환되어 계산이 편해진다. 이러한 양수 단위로의 통일은 켈빈이 그 과학적 편리성을 입증한 바 있으며, 컴퓨터에서의 수 표현의 경우도 연도에 음수를 받지 않는다면 여러 문제가 해결된다.[2]
- 기존 달력과 호환하기가 편하다. 서력기원 연도에서 1만을 더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로의존성 등으로 실패했던 다른 역법 정책[3]과는 달리 점진적으로, 큰 불편함 없이 적용해나가기 수월하다.[4]
3. 연표
- 0 HE 전후: 신석기 시대 시작
- 300 HE 전후: 홀로세 시작
- 325 HE 전후: 괴베클리 테페 건설 시작
- 400 HE 전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도기술 발전
- 950 HE 전후: 레반트 지역에서 인류 최초의 농경 시작, 남미에서 도기술 발전
- 1000 HE 전후: 제리코 시(市) 건설
- 3000 HE 전후: 중동에서 도기술 발전
- 4000 HE 전후: 오늘날 이라크 지역에서 가마(窯) 등장
- 4950 HE 전후: 남미 친초로 문명에서 미라 제작
- 5000 HE 전후: 4대 문명이 청동기 시대 돌입
- 6000 HE 전후: 4대 문명이 문자 개발, 우루크 시(市) 건설
- 6600 HE 전후: 외치 살다 감, 수메르에 살았던 '쿠심'의 이름이 인류 최초로 기록됨
- 7000 HE 전후: 크레타 문명 성립, 스톤헨지 축조
- 7900 HE 전후: 우르의 법전 제정
- 8000 HE 전후: 이집트의 기록에 바다 민족 등장, 에누마 엘리시 기록
- 8400 HE 전후: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 제작
- 8740 HE 전후: 트로이 전쟁 발발
- 9667 HE: 알렉산드로스 3세의 동방 정벌
- 9957 HE: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 9997 HE: 예수 그리스도 탄생 추정
- 11914 HE: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 11939 HE: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 11945 HE: 인류 최초의 핵실험 성공
- 11959 HE: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 성공
- 11961 HE: 인류 최초의 우주 비행 성공
- 11963 HE: 인류 최초로 여성의 우주비행 성공
- 11963 HE: 인류 최초의 우주 유영 성공
- 11969 HE: 인류 최초의 달 도달 및 착륙 성공
[1] 예를 들어 기원전 100년은 ISO 8601로 표기하면 -99 년이 되고, 기원전 1년은 ISO 8601로 표기하면 0년이 된다. 당연하지만 이 변환 과정에서 혼란이 오기 쉬우며, 직관적이지도 않다.[2] 굳이 1만을 더하는 것이 공간 낭비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232만 되어도 공간이 차고 넘칠 정도로 많기 때문에 무의미하다. 유닉스 시간 등과 결합되면 굳이 1970년 1월 1일이라는 특수한 날짜를 기준점으로 할 필요 없이 1만 년 전을 기준으로 하면 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0년이 없는 현재 달력 특성상 기원전의 시간이 포함되는 연도 계산에서 예외처리가 줄어든다. 특히 연도를 입력받을 때
B.C
, -
등을 파싱할 필요가 없어져 입출력도 단순해진다.[3] 사실 그레고리력도 카이사르력과의 오차를 맞추기 위해 일시적으로 몇 개월이나 되는 시간을 빼야 했다. 만약 현대 사회에서 비슷한 일이 일어난다면 그야말로 전 세계적인 혼란이 발생할 것이 분명하다.[4] 이는 현대 사회의 대부분의 문명이 10진법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만약 각 문명마다 기수법이 달랐다면 1만을 추가한다고 결코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일례로 프랑스 대혁명 당시도 불편한 12진법의 시간 체계를 10진법으로 고치려고 시도한 적이 있었지만, 경로의존성에 의해 얼마 가지도 못하고 바로 실패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