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17:24:06

일본 제국 해군성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나라별 해군부에 대한 내용은 해군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해군성
海軍省 | Ministry of the Navy
파일:일본 해군대신기.png[1]
<colbgcolor=#b0313f><colcolor=#fff> 설립 <colbgcolor=#fff,#1f2023>1872년 2월 27일
폐지 1945년 12월 1일
후신 제2복원성, 복원청 제2복원국
내부부국
[ 펼치기 · 접기 ]
대신관방 (大臣官房)
군무국 (軍務局)
병비국 (兵備局)
법무국 (法務局)
의무국 (医務局)
경리국 (経理局)
인사국 (人事局)
건축국 (建築局)
교육국 (教育局)
조도국 (調度局)
군수국 (軍需局)
함정국 (艦政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avy_Ministry_of_Japan.jpg
도쿄 츠키지에 있던 해군성 청사

1. 개요2. 역사3. 조직4. 관련 문서5. 역대 해군대신

[clearfix]

1. 개요

해군성([ruby(海軍省, ruby=かいぐんしょう)])은 일본 제국 해군의 군정부서였다.

2. 역사

1872년 육군성과 마찬가지로 병부성에서 분리 독립되었다. 육군성과 경쟁이 심해져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을 낳기도 했다. 군정권을 담당하였으며 군령권은 해군 군령부에서 내렸다. 해군성은 내각의 영향을 받았지만 군령부는 천황의 직속이었고 이 때문에 내각의 문민통제를 무시하고 폭주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제국 해군의 실질적인 전력을 담당하는 연합함대의 사령관인 연합함대 사령장관까지 포함해서 해군대신, 군령부총장, 연합함대 사령장관을 해군 3장관이라 칭했다.

일본 해군통수권자천황이었다. 그리고 해군성 내에서의 최고위직 서열은 해군경(海軍卿), 해군대보(海軍大輔)였고, 각각 1885년에 해군대신(海軍大臣)과 해군차관(海軍次官)으로 개칭되었다. 또한 해군성 내에서는 군무국, 군수국, 인사국, 교육국, 경리국, 의무국, 함정국, 기관국, 법무국, 병비국등의 조직이 내부부국으로 존재했고 이중 군무국장이 국장중 실질적인 최고순위였다. 해군성이 삼국동맹을 반대하던 시기에 요나이 미츠마사 해군대신, 야마모토 이소로쿠 해군차관, 이노우에 시게요시 군무국장 등의 해군성 요직이 삼국동맹을 반대하는 이들로 채워져 있었기에 이 세명을 해군 좌파 삼인방으로 불렸으며 각종 암살위협까지 받을 정도였다. 요나이 해군대신이 이후 총리까지 오르나 육군 측의 비토로 내각이 무너지고 그 이후 일본은 태평양 전쟁으로 미국에 덤볐다가 패망하게 되었다.

1945년 11월 30일에 폐지되었고 군인의 복귀 업무를 담당하는 제2복원성이 되었다. 그 후 복원청 제2복원국을 거쳐 후생성 휘하로 옮겨가 제2복원국이 되었는데 미국일본의 재무장을 검토하면서 제2복원국 내에 Y위원회를 설치하여 일본 해상전력의 기틀을 유지하였다. 제2복원국 외에도 일본 해군은 기뢰 제거와 히키아게샤일본군 패잔병의 귀환업무를 위해 수송병력을 그대로 남겨놓았는데 이들은 해상보안청이란 이름으로 유지되었다가 해상경비대로 분리, 경비대를 거쳐 오늘날의 해상자위대가 된다.

3. 조직

  • 주요 간부
  • 역대 내부부국(内部部局)
    • 대신관방(18??.??.??~1945.11.30): 종전으로 폐지.
    • 군무국(1886.01.29~1945.11.30)[3]: 제2복원성 업무국으로 승계.
    • 군수국(1920.10.01~1945.11.30): 종전으로 폐지.
    • 병비국(1940.11.15~1945.03.01): 군무국으로 통합하는 형태로 폐지.
    • 교육국(1923.04.01~1945.10.01): 본래 해군성 외국(外局)인 교육본부였으나 격하, 이후 종전으로 폐지.
    • 정비국(1926.10.01~1942.04.28): 폐지 후 군무국과 병무국, 연료본부로 업무 이전.
    • 인사국(1900.05.20~1945.11.30): 해군성 대신관방 인사과에서 승계, 이후 종전으로 인해 폐지.
    • 경리국(1886.01.29~1945.11.30): 회계국, 제3국 등의 명칭을 쓰다 최종적으로는 경리국을 사용, 이후 종전으로 폐지.
    • 의무국(1886.01.29~1945.11.30): 해군성 위생부에서 해군 중앙위생회의, 해군 위생회의를 거쳐 의무국으로 승계, 이후 종전으로 폐지.
    • 기관국(1916.04.01~1924.12.20): 기관과사관(기술장교)와 병과사관(일반장교)의 차별 철폐[4]를 위해 폐지.
    • 함정국(1879.11.11~1920.10.01): 해군성 주선국과 기관본부를 통합해 해군성 함정국 설치, 이후 해군성 제2국으로 개편되었다가, 해군성 외국인 함정본부로 승계.
    • 법무국(1897.04.01~1945.11.30): 해군성 사법부가 전신으로, 사법국을 거쳐 1916년에 법무국으로 승계됬다. 이후 종전으로 폐지.
    • 건축국(1923.04.01~1941.07.31): 해군성 외국인 시설본부로 승계.
  • 역대 외국(外局)
    • 해군 고등군법회의(19??.??.??~1945.11.30): 종전으로 폐지.
    • 해군 도쿄군법회의(19??.??.??~1945.11.30): 종전으로 폐지.
    • 해군 장관회의(1885.09.22~1945.11.30)[5]: 종전으로 폐지.
    • 해군 기술회의(19??.??.??~19??.??.??): ??
    • 해군 함정본부(1900.05.20~1945.11.30): 종전으로 폐지.
    • 해군 항공본부(1927.04.05~1945.11.30): 해군항공대 관리기관. 이후 종전으로 폐지.
    • 해군 교육본부(1900.05.20~1923.04.01): 해군성 내부부국인 해군성 교육국으로 승계.
    • 해군 전파본부(1944.04.20~1945.11.30): 종전으로 폐지.
    • 해군 운수본부(1943.06.25~1945.11.30): 종전으로 폐지.
    • 해군 시설본부(1941.08.01~1945.11.30): 해군성 내부부국인 건축국 등을 거쳐 해군성 외국인 시설본부가 되었다. 종전으로 폐지.
    • 해군 선박구난본부(1944.12.30~1945.11.30): 종전으로 폐지.
    • 해군 수로부(1871.09.11~1945.11.30): 병부성 수로부, 해군성 내부부국인 수로국 등을 거쳐, 해군성 외국인 수로부가 되었다. 종전 후에도 운수성으로 이전되어 현재의 국토교통성 물관리국토보전국, 해사국 등으로 승계.
    • 해군 잠수함부(19??.??.??~1945.??.??): 해군 함정국에서 분리. 이후 해군 특병부로 승계.
    • 해군 특공부/특병부(1942.??.??~1945.11.30): 카미카제, 인간어뢰같은 특공부대 관리부서, 해군 특공부가 해군 잠수함부를 통합해 해군 특병부로 개칭. 이후 종전으로 폐지.
    • 해군 화병전부
    • 해군 긴급정비촉진부
    • 연습연합항공총대
    • 해군대학교(1888.08.28~1945.11.30): 한국의 해군대학과 같은 역할을 한다.[6] 종전으로 폐교.
    • 해군병학교(1876.??.??~1945.11.30): 병부성 해군병학료가 전신으로, 해군사관학교이다. 이후 종전으로 폐교.
    • 해군경리학교(1907.??.??~1945.11.30): 주계사관 양성 학교. 종전으로 폐교.
    • 해군기관학교(1881.??.??~1944.10.??): 해군병학료 분교가 전신으로, 해군병학교 부속 기관학교를 거쳐, 1881년에 해군기관학교로 정식 개교. 1944년, 다시 해군병학교의 분교가 되었다가 종전으로 폐교.[7]
    • 해군군의학교(1898.04.??~1945.11.01): 군의관 양성 학교. 이후 종전으로 폐교.

4. 관련 문서

5. 역대 해군대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해군경 (1873년~1885년)
초대
가쓰 가이슈
2·4대
가와무라 스미요시
3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2·4대
가와무라 스미요시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rowcolor=#fff> 해군대신 (1885년~1945년)
1-3·7-10대
사이고 주도
4·5대
가바야마 스케노리
6대
니레 가게노리
1-3·7-10대
사이고 주도
11-13대
야마모토 곤노효에
14-18대
사이토 마코토
14-18대
사이토 마코토
19대
야시로 로쿠로
20-24대
가토 도모사부로
20-24대
가토 도모사부로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27대
무라카미 가쿠이치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30·35대
오카다 게이스케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32-33대
아보 기요카즈
34·36-37대
오스미 미네오
30·35대
오카다 게이스케
34·36-37대
오스미 미네오
38대
나가노 오사미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42-44대
요시다 젠고
45-46대
오이카와 고시로
47대
시마다 시게타로
48대
노무라 나오쿠니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폐지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


[1] 일본제국 해군이 아닌 해군성만의 상징이 없어 해군대신 깃발로 대체한다.[2] 해군만 담당했다. 한국의 해군참모총장 격.[3] 사실 중간에 세번의 폐지와 복원이 반복되었다. 1874년 5월 19일에 폐지되어 1876년 8월 31일 복치, 1884년 2월 8일에 폐지, 1886년 1월 29일 복치, 1889년 3월 7일 폐지, 1893년 5월 19일 복치되었다. 1889년의 폐지와 복치는 사실 해군성 군무국을 제1국으로 개칭했다 환원한 것이다.[4] 기관과사관들은 기관국장이 최대로 오를수 있는 보직이라, 이러한 차별을 해소허기 위해 기관국장 외에도 다른 상급 보직에 착임할 수 있도록 기관국을 폐지했다. 하지만 실제로 다른 보직에 오른 기관과사관은 없었다.[5] 장관(長官)이 아니라 장관급 장교 할때 그 장관(将官)이다.[6] 해군대학교인 이유는 문부성 관할 고등교육기관이 아니면 대학 명칭을 쓸 수 없어 대학교라는 명칭으로 개교했다. 이는 육군대학교도 마찬가지이다.[7] 해군대학교, 해군병학교, 해군기관학교의 3학교를 해군3학교라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