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6 21:02:36

정난교

정란교에서 넘어옴
갑신정변
甲申政變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Gim_Okgyun.png
파일:박영효 흑백.jpg
파일:서광범.png
파일:sketch-1682508745183.png
파일:홍영식.jpg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홍영식
갑신정변 주동자
<colbgcolor=#94153e><colcolor=#ffd700> 배경 메이지 유신 · 임오군란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 아편전쟁 · 청불전쟁
전개 갑신정변 · 정각 14조와 내각 개편 · 삼일천하
관련 인물 <colbgcolor=#94153e> 급진 개화파 김옥균 · 박영효 · 서재필 · 서광범 · 홍영식 · 유혁로 · 이규완 · 박영교 · 서재창 · 정난교 · 신응희 · 윤웅렬 · 윤치호
친청파 민영익 · 민태호 · 조영하 · 이조연 · 한규직 · 민영목 · 윤태준 · 민영소
기타 인물 다케조에 신이치로 ·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 호러스 뉴턴 알렌 · 위안스카이 · 후쿠자와 유키치
영향 한성조약 · 톈진 조약 · 청일전쟁
기타 우정총국 · 삼일천하 · 정강 14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의장(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초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제2대

미즈노
렌타로
제3대

아리요시
주이치
제4대

시모오카
주지
제5대

유아사
구라헤이
제6대

이케가미
시로
제7대

코다마
히데오
제8대

이마이다
기요노리
제9대

오노
로쿠이치로
제10대

다나카
다케오
제11대

엔도
류사쿠
부의장
초대

김윤식
제2대

이완용
제3대

박영효
제4대

민병석
제5대

윤덕영
제6대

이진호
제7대

박중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1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colbgcolor=#fff,#1f2023> 고영희 권중현 민상호 박제순 송병준
이근상 이근택 이완용 이재곤 이지용
이하영 임선준 장석주 조중응 조희연
조민희 한창수
찬의
강경희 권봉수 김만수 김사묵 김영한
남규희 민상호 박경양 박승봉 박제빈
박중양 염중모 유맹 유정수 윤치오
이건춘 이겸제 이재정 이준상 정인흥
조영희 조희문 한창수 홍승목 홍종억
부찬의
고원식 구희서 권태환 김교성 김낙헌
김명규 김명수 김준용 김필희 김한규
김한목 나수연 민건식 민원식 박제환
박희양 서상훈 서회보 성하국 송지헌
송헌빈 신우선 신태유 어윤적 엄태영
오재풍 오제영 윤치오 이도익 이만규
이봉로 이원용 이항직 정동식 정병조
정진홍 조병건 조재영 조제환 조원성
최상돈 한동이 허진 홍우철 홍운표
홍재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2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고희경 권중현 민병석 민영기 박영효
송병준 이하영 윤덕영 이윤용
부찬의
김현수
칙임 참의
김영진 김영한 김한목 남규희 민상호
민영찬 민형식 박승봉 박이양 박기양
박상준 박승봉 박의병 박제빈 박중양
백인기 상호 서상훈 신석린 신응희
어윤적 엄준원 염중모 유맹 유성준
유정수 유혁로 이건춘 이겸제 정진홍
조민희 조진태 조영희 조희문 한상룡
한진창
주임 참의
강병옥 고원훈 권태환 김갑순 김교성
김기태 김명규 김명준 김상설 김상섭
김연상 김영무 김정태 김준용 김창한
김필희 김현수 나수연 노창안 박경석
민건식 민영은 박기동 박기순 박봉주
박이양 박제환 박종렬 박흥규 박희양
방인혁 서병조 선우순 송종헌 송지헌
신석우 신태유 신창휴 심준택 심환진
안병길 양재홍 오재풍 오태환 원덕상
유기호 유빈겸 유익환 유흥세 윤치소
이강원 이근우 이기승 이도익 이동우
이만규 이병렬 이병학 이택규 이택현
이항직 이흥재 이희덕 장대익 장도
장상철 장응상 장직상 장인원 전석영
정동식 정란교 정병조 정순현 정재학
정태균 정호봉 조병건 천장욱 최석하
피성호 한영원 한상봉 한창동 허명훈
홍성연 현은
참의
구연수 김윤정 김춘희 김한목 김희작
남규희 민병석 박기순 원응상 윤갑병
윤정현 장헌식 정건유 현기봉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3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민병석 윤덕영 이윤용
칙임 참의
고원훈 김관현 김명준 김서규 김영진
김윤정 남궁영 민상호 박두영 박상준
박영철 박용구 박중양 서상훈 신석린
어담 엄준원 염중모 유정수 유진순
유혁로 윤갑병 이겸제 이범익 이진호
장헌식 정교원 조경하 조성근 조희문
주영환 최린 한규복 한상룡 한진창
홍종국
주임 참의
강동희 강번 고일청 김경진 김기수
김기홍 김도현 김두찬 김병규 김사연
김상설 김상형 김상회 김신석 김영택
김정석 김정호 김종흡 김진수 김창수
김한규 김한목 김한승 남백우 노영환
문종구 민병덕 박기석 박종렬 박보양
박봉진 박철희 박희옥 방의석 방태영
서병조 서병주 석명선 선우순 성원경
손재하 손조봉 송지헌 신희련 안종철
오세호 오태환 원덕상 유승흠 유태설
이경식 이교식 이근수 이근우 이기찬
이기승 이동우 이명구 이방협 이승우
이병렬 이선호 이은우 이종섭 이충건
이진호 이택규 이희덕 이희적 인창환
장대익 장석원 장직상 장헌근 정관조
정란교 정대현 정석모 정석용 정해붕
조병상 주영환 지희열 최남선 최양호
최연국 최윤 최윤주 최준집 최지환
최창조 하준석 한영원 현준호 현헌
홍치업 황종국
참의
강필성 김병원 김성규 김제하 박상준
어윤적 유만겸 유성준 진희규 홍정철
}}}}}}}}}
[ 194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bgcolor=#062861><-5> 고문 ||
김윤정 박중양 윤치호 이범익 이진호
한상룡
칙임 참의
고원훈 김관현 김명준 김사연 김연수
김영배 김영진 김우영 김윤정 김태석
김화준 박두영 박상준 서상훈 신석린
안종철 원덕상 유만겸 유진순 이겸제
이경식 이계한 이병길 이원보 장직상
장헌식 정교원 정란교 정연기 진학문
최린 한규복
주임 참의
강이황 권중식 김경진 김동준 김병욱
김부원 김사연 김신석 김원근 김재환
김태집 노준영 민재기 박지근 박창하
박필병 방의석 서병조 손창식 송문화
신현구 양재창 원병희 위정학 이경식
이기찬 이승우 이신용 이영찬 이익화
이종덕 임창수 장용관 장윤식 장준영
장직상 전덕룡 조병상 조상옥 차남진
최윤 최승렬 최정묵 최준집 한익교
한정석 현준호 황종국
참의
김하섭 문명기 이승구
||
†- 재직 중 사망.
}}}}}}}}}}}}}}}}}} ||


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3년 12월 28일[1] (향년 80세)

1. 개요2. 생애

1. 개요

조선 말기의 무신이며 개화파. 본관은 해주(海州)[2], 자는 윤형(允馨), 호는 벽파(碧波). 창씨명은 나카하라 유조(中原雄三), 나카하라 헤이키치(中原平吉), 우미히라 란쿄(海平蘭敎).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정미수의 13대손이다.[3]

2. 생애

정난교는 1864년 1월 23일 충청도 목천현 남면 신촌리(현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신덕리 신촌마을)에서 아버지 정광렴(鄭光濂, 1834. 3. 10 ~ 1886. 6. 22)과 어머니 전주 이씨(1833. 11. 9 ~ 1923. 12. 24) 이병로(李炳老)의 딸 사이의 7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박규수, 오경석, 유대치의 영향을 받아 개화 사상을 갖게 되어 개화파가 되었다. 또한 김옥균, 박영효, 유혁로, 서재필 등과 어울려 지냈다.

어려서 지역 유지인 아버지 밑에서 한학을 공부하다 상경하여, 당시 한성부 동부 어의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제동)에 있던 형 정윤교(鄭倫敎, 1868. 12. 6 ~ 1910. 11. 27)[4]의 집에 머물면서 명문가 자제들과 교류하는 한편 과거에 응시했으나 낙방했다. 1882년 3월 김옥균과 함께 일본에 건너가 1883년 일본 육군 도야마(戶山)학교에 입학했으며, 같은 해 5월 서재필·서재창, 박응학(朴應學) 등 일본으로 온 유학생과 합류했다. 1884년 8월 육군 도야마학교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그해 8월 남행부장(南行部將), 9월 좌영군사마(左營軍司馬) 등에 임명되었다.#

1884년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 등과 함께 갑신정변을 일으켜 수구파, 온건 개화파 인물들을 제거하고 개화당 내각에 들어갔다가 삼일만에 실패한 뒤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등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그는 유혁로, 이규완과 함께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개화파 인사들을 표적으로 일삼는 수구파의 암살 계획을 알아채고 개화파에게 통보하며 이일직 + 가와쿠보 쓰네요시의 박영효 암살 계획을 저지할 만큼 암살을 열심히 막았다. 그러나 결국 김옥균청나라로 가다가 홍종우(민영소의 자객)한테 암살당하였다.

1894년 갑오개혁김홍집, 박영효 연립 내각에 들어가 개혁을 이끌었으며 박영효, 이규완, 우범선 등과 명성황후 제거를 모의하다가 실패하였다. 그는 박영효와 달리 일본으로 망명하지 않고 은신해 있다가 을미사변에 가담하였다.

아관파천 이후 그에게도 체포령이 내려지자 일본으로 또다시 망명하게 된다. 그리고 1907년에 다시 조선으로 귀국하였다.

그는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관료로 활동하며 친일반민족행위자가 되었다. 이후 1943년에 향년 80세로 죽을 때까지 천수를 누렸다.

참고로 그의 창씨개명 이름은 무려 세 개나 있다! 나카하라 유조(中原雄三), 나카하라 헤이키치(中原平吉), 우미히라 란쿄(海平蘭敎)이다. 그 중 나카하라 유조는 갑신정변 실패 이후 망명길에 지토세마루 선원 쓰지 도쥬로(辻藤三郞)[5]가 지어준 이름이고, 우미히라 란쿄는 1940년에 창씨 개명령이 떨어졌을 때 개명했던 이름이다.


[1] 해주 정씨 족보에는 1944년 12월 26일 사망했다고 기재되어 있다.[2] 종파 19세 교(敎) 항렬.[3] 단, 정미수는 친자가 없고 양자만 있어서 족보상으로는 문종과 현덕왕후의 직계 후손이 맞지만 실제 혈통상으로는 피 한 방울 안 섞인 남이다.[4] 족보에는 둘째 동생으로 오기되어 있다.[5] 지토세마루 선장 쓰지 가쓰자부로(辻勝十郞)의 아들로, 김옥균, 유혁로에게도 그가 직접 일본식 이름을 지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