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6 17:43:53

정두환

정두환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한국가스안전공사 로고.svg한국가스안전공사
부사장
}}} ||
참여정부
박영서
참여정부
정두환
이명박 정부
이덕형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극동대학교 교양학부 특임교수
정두환
鄭斗煥 | Chung Doo-Hwan
파일:정두환.jpg
출생 1961년 4월 5일 ([age(1961-04-05)]세)
전라남도 순천시
본관 하동 정씨
현직 극동대학교 교양학부 특임교수
재임기간 한국가스안전공사 부사장 (참여정부)
2005년 4월 19일 ~ 2008년 5월 1일
링크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정영래[1], 어머니 손재심
가족 아내 오현애[2], 슬하 2녀[3]
학력 홍릉초등학교 (졸업)
중화중학교 (졸업)
대광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 / 학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외교안보학 / 석사[4])
병역 전시근로역 (질병: 우 슬내장)
종교 불교
소속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5]
경력 연세대학교 총학생회 문예부장
국회의원 비서관
통일민주당 기획조정실 기획위원
민주당 창당준비위원회 기획위원
민주당 정책위원회 전문위원
국회 정책연구위원
조순 서울시장 선거대책본부 정책부실장
서석재 국회의원 보좌관
노무현 대선기획단 전략기획실 부실장
노무현 대선기획단 정세분석팀 팀장
노무현 대선캠프 기획협력실장
새천년민주당 국가전략연구소 부소장
새천년민주당 E-Party위원회 팀장
KPMG 컨설팅 본부장
KPMG 컨설팅 한국지사장
대통령정책실 정부혁신지방분권 TF 대외협력위원
한국가스안전공사 기획관리이사 (참여정부)
한국가스안전공사 부사장 (참여정부)
열린우리당 민생·경제특별본부 부본부장
민주당 중앙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새로운시대를여는사람들 공동대표
돌바내 사무총장
국민의당 정치혁신특위 상임위원
국민의당 금천구 지역위원장
국민의당 전략홍보본부 수석부본부장
국민의당 박근혜-최순실게이트 대책위원
국민의당 대변인
국민의당 당무혁신기획단장
국민의당 혁신위원회 간사
국민의당 제2창당위원회 총괄간사
바른미래당 금천구 지역위원장
바른미래연구원 부원장
바른미래연구원 원장
민생당 서울시당위원장
민생당 금천구 지역위원장
}}}}}}}}}

1. 개요2. 생애3. 정치 활동4. 선거 이력5. 소속 정당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정치인이자 교수.

2. 생애

1961년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서울특별시 동대문구(현재의 중랑구 지역)로 이주하여 성장하였다. 서울홍릉초등학교, 중화중학교, 대광고등학교,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외교안보학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연세대학교 총학생회 문예부장 출신으로, 연세대학교 운동권 최고지도부로 활동하며 전두환 정부에 맞선 전형적인 386 운동권에 속하는 인물이다.

3. 정치 활동

1985년 민주협 기획홍보실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다 국회의원 비서관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여 기획조정실에서 기획위원으로 일했다.

3당 합당에 반대하며 민주당 창준위에 합류했다. 창당 이후 중앙당 정책위원회에 공채되어 정책입법분야에 천착했다. 정책위 직원으로서 문민정부 시절 공직자 재산내역 공개를 규정한 '공직자 윤리법'과 '행정정보 공개법'을 추진했다.

그러던 중 제15대 국회 산업자원위원장을 맡고 있던 서석재 의원의 보좌관으로 발탁되어 신한국당으로 이동하였다. 이후 서석재 의원과 새천년민주당 시절까지 궤를 함께하며 정치 활동을 이어나갔다. 박재호, 조경태 등 현재 중진급으로 성장한 정치인들과 당시 보좌관으로 함께 근무했다.

입법전문가로 어느정도 자리를 잡았던 와중에, 보좌관 시절 중소기업 자금 포털사이트를 구축하면서 IT업계와 맺은 연으로 세계 4대 회계법인인 삼정KPMG 한국지사장으로 영입되어 잠시 정계를 떠났으나,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복귀하였다.

노무현 캠프에서 기획협력실장[6] 등의 요직을 맡으며 대선 승리를 함께했다. 이후 안희정, 정윤재 등과 함께 새천년민주당 국가전략연구소 부소장을 맡았다. 이 때문에 원조 친노계에 속했다.[7]

열린우리당 창당을 주도한 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금천구에 출마하였으나, 당 내 경선에서 탈랐했다. 경선에서 현역 이우재 의원을 큰 표차로 이기고도 지구당 위원장 출신이었던 이목희에게 26표차로 석패해 본선도 오르지 못하고 고배를 마셨다.

낙천 이후 대통령정책실 혁신지방분권 위원으로 근무하다, 한국가스안전공사 내 서열 3위에 해당하는 기획관리이사로 지명받았다. 이듬해 기획관리이사 겸 부사장으로 승진하며 이명박 정부 취임 이후에 교체되었다. 재임 시절 인적자원개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업적을 내며 에너지업계 전문가로서 인정받았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금천구 재출마를 선언했다. 당 내 공천에서 현역 이목희 의원과 전 민주당 통일특별위원장을 역임한 나이균 후보와 공천장을 놓고 경쟁했으나, 이목희 의원에 밀려 공천을 받는 데 실패하였다. 또 한번 낙천한 후 민주당 중앙당 정책위원회 부의장으로 선임되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금천구 출마를 위해 현역 이목희 의원, 한인수 전 금천구청장과 당 내 경선을 준비했다. 그런데 중앙당에서 이목희 의원을 단수공천하자 이에 반발하며 밀실공천 및 여론조사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당 내 단수공천이 결정된 지역구의 후보들을 모아 국민경선쟁취 민주연대를 결성했고, 공동대표로서 한명숙 대표를 검찰에 고발하였다. 거기에 더해 또 다른 탈당파인 정통민주당[8]과의 연대 가능성을 시사하며 민주당을 강력히 압박했다.

이렇게 민주당 공천에 잡음이 지속되자, 중앙당 차원에서 타 지역의 전략공천을 제안했으나 거부하고 탈당 및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결과는 4.35%를 득표하며 민주통합당 이목희 후보, 새누리당 김정훈 후보에 이어 3위를 기록하며 낙선했다. 이후 복당하였다.

그러던 중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당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안철수 신당인 국민의당에 정치혁신특위 상임위원으로 합류하였다. 그리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금천구 지역에 단수공천 받으며 출마하였다. 선거 도중 더불어민주당으로부터 야권 단일화를 제안받았으나 거절하였다. 결과는 24%를 득표하며 더불어민주당 이훈, 새누리당 한인수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으나, 수도권에서 제3지대 정당 후보로써 높은 득표율을 얻어냈다. 당시 서울 지역에 출마한 자당 후보들이 대부분 10%대 득표율에 그친 것에 비하면 상당한 선전이었다.

낙선 이후 혁신위원회 간사, 제2창당위원회 총괄간사 등의 당직을 맡으며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을 제안했다. 이로 인해 비안계의 민주평화당 창당 등의 진통을 겪었으나 합당이 이루어졌다. 다만 이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참패하며 합당의 효과를 전혀 보지 못했다.

지선 참패와 동시에 당이 분열되었고, 바른미래당 분당 사태 당시 당권파에 속하며 손학규 대표를 엄호하였다. 이후 민생당 시절까지 탈당 없이 남았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불출마하는 대신 당의 선거를 이끄는 방향을 선회하였다. 민생당 서울시당위원장과 서울지역 총괄선대위원장을 맡았으나 당은 참패했다.

총선 이후 주요 당직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고, 독자적으로 메타정당 창당을 시도하는 등의 행보를 보아 현재는 탈당한 것으로 보인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도 출마하지 않았다.

4.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1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금천

[[무소속(정치)|
무소속
]]
4,505 (4.35%) 낙선 (3위)
201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26,954 (24.05%)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정두환2012포스터.jpg
파일:정두환2016포스터.jpg
19대 총선 (서울 금천) 20대 총선 (서울 금천) }}}}}}}}}

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7 - 1990 입당[9]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0 탈당[10]


파일:민주당 1990년 글자.svg
1990 - 1996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0- 1996 입당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96 - 1997 입당[11]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7 탈당[12]


[[국민신당(1997년)|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97 - 1998 창당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8 - 2000 합당[13]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 - 2003 합당[14]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03 탈당[15]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3 - 2007 입당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7 - 2008 합당[16]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합당[17]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 2011 당명 변경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1 - 2013 합당[18]


[[민주당(2013년)|
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3 - 2014 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014 - 2015 합당[19]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2016 당명 변경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6 탈당[20]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6 - 2018 창당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8 - 2020 합당[21]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 합당[22]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0 탈당


[1] 전 KT 신협지회장으로, 2024년 별세했다. #[2] 본인과 같은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출신이다.[3] 큰딸은 건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학/석사 학위를 마쳤고, 작은딸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현재는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이다.[4] 석사 학위 논문: 한반도 통일이후의 정치이념과 정치체제에 관한 연구 #[5] 직전 소속 정당은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 21대 총선까지 주요 당직자로 활동했으나 이후 맡고 있는 당직이 없고, 독자적으로 메타정당 창당을 시도하는 등의 행보를 보아 현재는 탈당한 것으로 보인다.
[6] 당시 기획본부장은 이해찬이었다.[7] 다만 정권 말기에는 참여정부386 운동권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8] 한광옥새천년민주당 대표, 김덕규 전 국회부의장 등[9] 1986년 국회의원 비서관으로 정계에 입문했으나, 입문 당시 소속 정당은 미상이다.[10] 3당 합당에 반발로 인한 탈당.[11] 서석재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이동[12] 국민신당 창당을 위한 탈당.[13] 새정치국민회의에 흡수 합당.[14]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15] 열린우리당 합류를 위한 탈당.[16]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17] 민주당과 신설 합당.[18]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9]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20]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1]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22] 민주평화당, 대안신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