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3 22:29:27

하동 정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하동 정씨
河東 鄭氏
관향 <colbgcolor=#fff,#191919>경상남도 하동군
시조 정도정(鄭道正) - 밀직공파[1]
정응(鄭膺) - 좌정승공파
정손위(鄭遜位) - 지예부사공파
집성촌 광주광역시 광산구·동구·북구·서구
경기도 의왕시·고양시·파주시·연천군
충청북도 괴산군·영동군·옥천군·진천군·청주시
충청남도 부여군
전라북도 완주군
전라남도 곡성군·광양시·나주시·무안군·보성군
전라남도 신안군·영암군·장성군·해남군·화순군
경상남도 사천시·하동군·함양군
황해도 금천군·안악군·해주군
평안북도 박천군·선천군·용천군·운산군·의주군
평안북도 정주군·철산군·초산군·후창군
함경남도 북청군·홍원군
인구 187,152명(2015년)
사이트 하동 정씨 대종친회
하동 정씨 추선문회
하동 정씨 산원공파
하동 정씨 문성공파종중
하동 정씨 소윤공파 수동권송정문중
하동 정씨 문헌공파
하동 정씨 장령공파 고부공후주부공 다시하동정씨재경모임
하동 정씨 진사공파
하동 정씨 한림공파
하정학술장학회(장학사업)
일두기념사업회(하동정시문헌공)
파일:277DDC4F560C98D424.jpg
하동 정씨 대종친회의 문장 (각형)
파일:하동정씨 대종친회 문장.jpg
하동 정씨 대종친회의 문장 (원형)[2]

1. 개요2. 집성촌
2.1. 경기·충청2.2. 전라2.3. 경상2.4. 북한
2.4.1. 황해2.4.2. 평안2.4.3. 함경
3. 인명
3.1. 정치인과 귀족3.2. 기업인3.3. 무인3.4. 교육인3.5. 예술인3.6. 연예인3.7. 체육인

[clearfix]

1. 개요

하동 정씨(河東鄭氏)는 경상남도 하동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집단이다. 본관은 같지만 시조를 달리하는 세 계통으로 나뉜다.
  • 밀직공파(密直公派): 평장사에 오른 정도정(鄭道正)을 시조로 한다. 그 후 후손의 기록이 없어 고려 때 문하시중을 지낸 후손 정석숭(鄭碩崇)을 1세조로 하고, 5세 증 광정대부 밀직부사 정국룡(鄭國龍), 10세 문성공 정인지(鄭麟趾), 12세 정여창(鄭汝昌)으로 이어져 왔다.
    • 정석숭의 6세이자 정난연(鄭蘭衍)의 아들인 정성(鄭盛)이 충숙왕 때 금성군으로 봉해지면서 금성 정씨의 시조가 되었으나, 그의 손자인 경렬공 정지(鄭地)의 후손들이 경렬공파를 이루어 다시 환관했다.
  • 정승공파(政丞公派): 고려 덕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도첨의 좌정승(都僉議左政丞) 등을 지낸 정응(鄭膺)을 시조로 하고 6세 정희(鄭熙), 7세 정초(鄭招)로 이어져 왔다.
    • 그러나 하동정씨 문성공파보(1983)에 따르면 정응의 부친은 정득신(鄭得申)으로 위에서 서술한 정석숭(鄭碩崇)의 삼남이라 한다.
  • 지예부사공파(知禮部事公派): 시조 정손위(鄭遜位)는 고려 숙종부터 명종까지 5대에 걸쳐 벼슬을 하여 정헌대부(正憲大夫), 지예부사(知禮部事), 응양대장군(膺揚大將軍),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하동백에 봉해졌다.

2. 집성촌

2.1. 경기·충청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설문동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3동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풍동
  • 경기도 의왕시 초평동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적암리
  •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학곡리[3]
  •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흥왕리[4]
  •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외령리
  •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지내리[5]
  • 충청북도 옥천군 안남면 도농리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석장리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덕촌리[6]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우암동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군수리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반산리
  •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 팔괘리

2.2. 전라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수동
  •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
  • 광주광역시 북구 오치동
  •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동 [7]
  •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8][9]
  •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신지리
  • 전라남도 곡성군 오산면 봉동리
  •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10]
  •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연리
  • 전라남도 보성군 겸백면 도안리[11]
  •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도창리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용흥리
  •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안노리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구산리·신학리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일면 문암리
  •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금산리[12]
  •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자풍리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13]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월리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강성리·송정리[14]·용반리·초방리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신리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대신리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금전리

2.3. 경상

  •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금진리·선전리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평리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15]
  •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16]·덕암리·마산리

2.4. 북한

2.4.1. 황해

  • 황해도 금천군 금천면 잠성리
  • 황해도 금천군 산외면 황룡리
  • 황해도 안악군 서하면 중도리
  • 황해도 안악군 안곡면 낙암리
  • 황해도 해주군 해남면 봉대리

2.4.2. 평안

  • 평안북도 박천군 가남면 서동동
  • 평안북도 선천군 신부면 백현동
  • 평안북도 용천군 양광면 용계동[17]
  • 평안북도 용천군 용천면 중흥동
  • 평안북도 운산군 북진면 초리동
  •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읍 동부동·서부동
  • 평안북도 의주군 수진면 일원[18]
  • 평안북도 정주군 덕달면 육성동
  • 평안북도 철산군 백량면 검암동·도암동·명암동[19]
  • 평안북도 철산군 부서면 성암동·신곶동·이복동·인평동[20]
  • 평안북도 철산군 서림면 작현동[21]
  • 평안북도 철산군 여한면 가봉동·가산동·덕화동·도덕동·문봉동[22]·상석동·서봉동·쌍신동·추남동·추암동
  • 평안북도 철산군 정혜면 강하동·고암동·관암동·어산동·오봉동
  • 평안북도 철산군 철산면 도태동·동천동·송교동·신학동·영산동·월봉동[23]
  • 평안북도 초산군 동면 건양동
  • 평안북도 초산군 송면 양강동
  • 평안북도 후창군 후창면 군내동

2.4.3. 함경

  • 함경남도 북청군 신창면 만춘리
  • 함경남도 북청군 이곡면 제상리
  • 함경남도 홍원군 주익면 남당리

3. 인명

특정 인물의 강조 표기를 금지한다.

3.1. 정치인과 귀족

3.2. 기업인

3.3. 무인

3.4. 교육인

3.5. 예술인

3.6. 연예인

3.7. 체육인



[1] 정도정의 후손 정석숭을 1세로 본다.[2] 종문 가운데에 정()자를 새겨 넣었다.[3] 학곡리 소재 하동 정씨 장령공파 종중 묘역 부지와 골프장 건설 사업 컨소시움과 마찰이 있었다. 출처[4] 진사공파의 집성촌으로 과거 '경기도'의 속해 있었으나, 현재는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어 있다.[5] 독립유공자 정해용·정화중이 이 마을 출신이다.[6] 독립유공자 정순만·정양필 부자가 이 마을 출신이다.[7] 하동 정씨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정자가 세워져 있다.[8] 광주 서초등학교 옆에 위치하였으며 주변의 현대화된 도시 속에 숲과 함께 고택이 남아있던 역사적인 공간이었으나 LH와 공무원등의 횡포에 가까운 강제수용으로 현재 철거 위기에 있으며 소송이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경향신문 포토다큐...였으나 댓글에 보면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며 돈을 노리고 재개발을 주도했다가 보상가가 이에 미치지 않아서 말을 바꿨다는 내용도 있으니 진실은 저 너머에...이러한 사건에는 이해 관계자들이 댓글 공작을 펼칠 수도 있으므로 정확한 사실 관계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9] 현재는 거의 철거된 집성촌 맞은편에 화담사라는 사우가 있는데 (절이 아니다) 두문동 72현 전설의 정희 등 하동정씨를 중심으로 한 인물들을 배향한 곳이다. 하동정씨 정화(1434 ~ 1505)가 보성군수를 지낸 후 고향에 돌아가지 않고 현재의 화정동에 이주해 살면서 집성촌이 생겼고 거기에 화담사까지 더해서 지었다고 한다. #[10] 독립유공자 정성련정인화 광양시장이 이곳의 추동 출신이다.[11] 독립유공자 정태화정양석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12] 정회열 전 기아 타이거즈 1군 수석코치가 이 마을 출신이다.[13] 임진왜란이순신 휘하에서 종군하던 정운 장군이 이 마을 출신이다.[14] 독립유공자 정을현·정찬규가 이 마을 출신이다.[15] 독립유공자 정순길·정순완이 이 마을 출신이다.[16] 조선시대 성리학의 대가였던 일두 정여창이 이 마을 출신이다. 정여창은 문헌공파의 파조이다.[17] 독립유공자 정제형이 이 마을 출신이다.[18] 독립유공자 정경순이 수진면 수구동 출신이다.[19] 독립유공자 정원범이 이 마을 출신이다.[20] 독립유공자 정용구가 이 마을 출신이다.[21] 독립유공자 정기주가 이 마을 출신이다.[22] 독립유공자 정용삼이 이 마을 출신이다.[23] 독립유공자 정국일이 이 마을 출신이다.[24] 창빈 안씨와 더불어 선조와 선조 이후의 조선 국왕들은 전부 하동부대부인의 후손이다.[25] 임금의 사위로 왕실과 연관있다.[26] 마이클 블룸버그, 도널드 트럼프와 비슷하게 재벌이자 정치인이다.[27] 경렬공파의 시조이다.[28] 이순신의 막하에 있었다. 전남 해남출신으로, 전사하였다.[29] 정묘호란 때 용골산성 전투에서 활약했다.[30] 정지의 직계 후손으로 정확하게는 하동 정씨의 분파인 금성 정씨로 금남로의 이름이 그의 봉호인 금남군에서 비롯되었다.[31] 조선 영조 재위 시기에 동국지도를 제작했다.[32] 장남 정찬홍은 군산동고등학교 초대 교장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