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8:50:58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경과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rowcolor=#fff>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경과 · 사고 원인 및 분석 · 대응 · 반응 · 박한신(유가족 대표)

1. 개요2. 2024년
2.1. 12월 29일2.2. 12월 30일2.3. 12월 31일
3. 2025년
3.1. 1월 1일3.2. 1월 2일3.3. 1월 3일3.4. 1월 4일3.5. 1월 5일3.6. 1월 7일3.7. 1월 8일3.8. 1월 11일3.9. 1월 13일3.10. 1월 16일3.11. 1월 17일3.12. 1월 19일3.13. 1월 20일3.14. 1월 21일3.15. 1월 27일3.16. 2월 6일

1. 개요

2024년 12월 29일에 발생한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의 경과를 서술한 문서.

2. 2024년

2.1. 12월 29일

파일:제주항공 2216편 비행경로.png
제주항공 2216편의 비행경로
  • 2024년 12월 29일 오전 2시 29분(현지 시각), 제주항공 2216편이 예정보다 1시간 늦게 태국 방콕 수완나품 공항에서 이륙하였다.
  • 공개된 제주항공 2216편의 비행계획서(Flight Plan)는 다음과 같다.
    {{{#!folding [ 비행계획서 펼치기 · 접기 ]
CVA0346
FF RKJBZPZX RKPKZPZX RKRRZQZX
281415 VTBBZPZX
(FPL-JJA2216-IS
-B738/M-SDE2E3FGHIRWY/LB1
-VTBS1830
-N0467F310 LIPLI Y16 BUTRA/N0466F330 A1 BUNTA A1 IKELA
DCT MORTU DCT NOBAD DCT ENVAR M750 ANLOT B1 APU DCT DRAKE Q11
WP900 L4 LIPLO Y741 ATOTI Y722 KAMIT DCT
-RKJB0442 RKPK
-PBN/A1B1C1D1L1O1S2 SUR/260B DOF/241228 REG/HL8088 EET/VLVT0048
VVHM0101 ZJSA0119 VHHK0144 RCAA0228 RJJJ0328 RKRR0344 SEL/GQAH
CODE/71C088 RMK/TCAS II EQUIPPED E/0644 P/TBN R/VE S/M J/LF A/WHITE
ORANG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FPL의 해석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Ubikais 문서
2.2.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것을 위 해석법에 근거하여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JJA2216 운항 계획
항목 내용
편명 JJA2216
항공기 유형 B738 (보잉 737-8AS)
비행 날짜 2024년 12월 28일 (DOF/241228)
출발 공항 방콕 수완나품 (VTBS)
출발 시간 18:30 UTC
도착 공항 무안공항 (RKJB)
예상 소요 시간 04:42
대체 공항 김해공항 (RKPK)
비행 경로
항목 내용
비행 고도 FL310 → FL330
비행 속도 467 노트
항공로/경유지 LIPLI → BUTRA → BUNTA → IKELA → … KAMIT
항공기 및 장비
항목 내용
항공기 장비 SDE2E3FGHIRWY
ADS-B/RVSM 능력 가능 (/LB1)
PBN 능력 A1, B1, C1, D1, L1, O1, S2
추가 정보
항목 내용
항공기 등록 번호 HL8088
24비트 항공기 코드 71C088
연료의 사용가능 시간 6시간 44분 (E/0644)
FIR 진입 예상 소요시간 VLVT(0048), VVHM(0101), RKRR(0344)
생존 장비 구명보트 및 비상 장비 (R/VE S/M J/LF)
항공기 색상 화이트 & 오렌지
충돌 방지 시스템(TCAS) 장착 (TCAS II EQUIPPED)
특이사항
항목 내용
탑승 인원 미정 (P/TBN)
추가 요청 항법 능력 및 안전 장비 정상 운영
}}}
  • 한국 시간 오전 8시 54분 43초, 제주항공 2216편은 무안국제공항 관제탑에 최초 교신 후, 01번 활주로[1]에 착륙 허가를 받았다.
  • 오전 8시 57분 50초, 무안국제공항 관제탑은 접근하던 2216편에 조류 충돌 경고를 전달했다.
  • 오전 8시 58분 11초, 조종사들은 "항공기 아래 방향에 새들이 있다"는 대화를 나눴다.
  • 오전 8시 58분 50초, 2216편의 블랙박스인 FDR과 CVR 기록이 동시에 중단되었다.
  • 오전 8시 58분 56초, 2216편의 기장"메이데이, 메이데이, 메이데이, 버드 스트라이크, 버드 스트라이크, 고잉 어라운드" 교신으로 메이데이를 선언했다.[2]# 첫 번째 착륙에 실패한 사고기는 공항 바깥쪽 방향으로 선회하였다.[3]
  • 오전 9시, 관제탑은 기장에게 방향을 바꾸어 19번 활주로[4]로 착륙할 것을 제안했고, 기장은 이를 수용하였다. 이후 2216편은 19번 활주로로 두 번째 착륙시도를 하였다.
  • 오전 9시 2분경, 랜딩 기어 3개가 모두 내려오지 않은 상태에서 19번 활주로에 동체 착륙을 시도하였다.# 기체는 19번 활주로 시단으로부터 900~1200m 지점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활주로에 접지를 하였으나, 그 후 빠른 속력으로 활주로를 이탈하며 오버런이 일어났다.
  • 오전 9시 2분 57초, 활주로 너머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 둔덕과 그 위에 설치된 로컬라이저를 빠르게 들이받고 공항 외벽에 연이어 충돌 후, 폭발하였다.## 이로 인해 꼬리 부분을 제외한 동체의 거의 모든 부분이 완파되어, 기체의 형태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
사고 당시 폭발 장면
(심약자 열람 주의)
[5]
[ 펼치기 · 접기 ]
파일:제주항공 2216편_폭발.gif
  • 사고 발생 직후인 오전 9시 3분, 무안국제공항 소방대[6]가 곧바로 출동하여 화재진압을 시작했다.[7]
사고 직후 무안국제공항 소방대의 대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nopad>파일:제주항공 7C2216편 추락 직후 공항소방대의 대응영상.gif||
}}} ||
파일:IMG_094471.jpg 파일:IMG_4976.jpg
전남소방본부소속 함평 119구조대서해지방해양경찰청소속 해양경찰특공대 화재 진화 후 사고기의 모습[12]
  • 12시 30분, 소방당국은 초기에 구출된 2명을 제외한 모든 탑승객들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
  • 13시 06분, 소방당국은 실종자들 대부분이 사망한 것으로 판단하고,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던 구조 작업을 수습 작업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
  • 21시 03분, 소방당국이 모든 시신을 수습했다고 밝혔으며, 최초에 구조된 2명의 승무원을 제외한 179명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 따라서 공식 인명피해는 179명 사망, 2명 생존으로 발표되었다.
  • 한국공항공사는 사고 수습 및 현장 보존을 위해 무안국제공항의 임시 폐쇄를 발표하였다. 따라서 무안공항 출발/도착 항공편은 향후 항공편 운행 재개시까지 전부 결항, 취소된다.

2.2. 12월 30일

  • 오후 1시 경, 조종사노조연맹[14]은 섣부른 사고 원인 추측을 경계하며, 철저한 원인 규명과 항공 안전 개선을 위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
  • 오후 3시 경, 국토교통부는 탑승 인원 중 146명의 신원 확인을 완료했으며[15], 33명은 DNA 분석 및 지문 채취를 통해 신원을 확인 중에 있다 밝혔다. #
  • 오후 7시 경, 무안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무안국제공항에서 브리핑을 열고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늦어도 내일 희생자 90명의 시신을 인계해준다고 약속했다"고 밝혔다.
  • 1차 착륙 시도 당시 랜딩기어가 작동했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버드스트라이크 이후 매우 긴박한 상황이 벌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 MBN의 단독 보도로, 이번 여객기 사고의 원인 분석을 위한 블랙박스의 커넥터가 분실되어 블랙박스와 분석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여 분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했다. 이 문제로 블랙박스를 미국 연방교통안전위원회 (NTSB)에 직접 챙겨 보내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며,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에서 조사관이 직접 블랙박스를 항공기를 통해 운송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16] #[17]

2.3. 12월 31일

  • 사망자 174명의 신원을 확인했으며, 미확인 5명에 대해서 DNA를 이용한 확인을 진행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 국민일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둔덕과 관련된 용역인 2020년 3월 3일자 한국공항공사의 ‘무안공항 등 계기착륙시설 개량사업 실시설계 용역’ 입찰공고 과업내용서에는 ‘파손성(Frangibility) 확보 방안에 대한 검토’가 포함되어 있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3. 2025년

3.1. 1월 1일

  • 사망자 179명의 신원이 모두 확인되었으며, 시신 봉합 작업을 위해 DNA 대조에 돌입했다.# 신원이 모두 확인된 이후 오후부터 인도가 가능한 희생자 76명의 시신을 유가족에게 통보하고 이중 시신 21구가 유가족에게 인도되어 9명은 바로 장례 절차에 돌입했다.#
  • 오전 10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제6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개최했다.
  • 오전 11시 30분, 무안공항에 잔류하던 유가족이 처음으로 사고 현장을 방문했다. 10분 단위로 사고 현장으로 이동한 유가족은 음식을 올리고 간소하게 추모제를 올렸다.

3.2. 1월 2일

  • 먼저 시신이 유가족에게 인도되어 장례 절차를 밟고 있는 9명 중 60대 남성, 태국인 40대 여성 등 4명의 발인이 엄수되었다.
  • 무안국제공항을 자주 비행하며 이용하는 비행교관과 조종사들은 활주로의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 설치 콘크리트 둔덕의 존재에 대해 사전에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조종사들 중 한 명의 인터뷰로 해당 둔덕의 존재는 알았으나 흙더미인 줄 알았으며, 콘크리트 재질일거라곤 상상도 못했고, 공항 차트 등에 적혀 있지 않으며, 안내 받은 적도 없다고 보도가 나왔다.#

3.3. 1월 3일

<keepall>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대통령 권한대행 모두발언
(KTV 국민방송 / 2025년 1월 3일)
<keepall> 사조위, 음성기록장치 추출 자료 관련 녹취록 작성 중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관련 국토교통부 브리핑

(KTV 국민방송 / 2025년 1월 3일)
  • 음성 블랙박스의 분석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항공기에는 2개의 블랙박스가 존재하는 데 12월 30일 커넥터 분실로 조사가 불가능 했던 문제의 블랙박스는 비행 기록 장치(FDR)이고, 조종석 녹음 장치(CVR)는 사용 가능하다.

3.4. 1월 4일

  • 국가애도기간이 종료되었다.
  • 유가족을 조롱한 30대 남성이 서울에서 검거되었다. 죄책은 모욕죄이다. #
  •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이날 중으로 나머지 엔진 인양을 마치고 꼬리 날개와 랜딩기어를 현장에서 조사할 예정이라고 한다. 또, CVR 녹취록 작성도 이날 중으로 완료할 계획이라고 한다.

3.5. 1월 5일

  • 국토교통부 중앙사고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정오 기준 176명의 희생자가 장례식장으로 이송됐고, 3명은 유가족 측 사정으로 아직 임시 안치소에 안치 중이라고 한다. 임시 안치소에 안치 중인 3명은 6일 중 유가족 측에 이관될 예정이다.
  • 유가족 상당수가 장례 절차를 위해 타지로 흩어지면서 무안국제공항 대합실에서 이뤄지던 정부 브리핑은 5일을 마지막으로 마치기로 했다.
  • 정부는 희생자들의 장례식 후에도 유가족 지원을 중단없이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3.6. 1월 7일

  • 국회는 여야 합의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대책 마련 국회 특별위원회를 출범했다. 위원장은 권영진. #
  •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사고기의 엔진 잔해를 조사하던 중에 조류깃털 일부를 발견했다. # 이는 실제로 사고 초반에 버드 스트라이크가 일어난 것이 확실시됨을 암시한다.

3.7. 1월 8일

  • 참사 10일 만에 세 살배기 아들이 포함된 일가족 3명의 발인을 마지막으로 희생자 179명 모두 영면에 들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 이날부터 음성 기록 장치(CVR)의 분석이 시작되었다. 음성 기록은 조사 종료 후 공개한다고 한다.
  • 제22대 국회 제420회 4차 본회의에서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의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의 건'이 재석 의원 272명 전원 찬성으로 가결되어졌다.

3.8. 1월 11일

  • 블랙박스 조사 결과 CVR과 FDR 모두 ADS-B 데이터가 중단된 시점인 사고 4분 전부터 자료 저장이 되지 않았다고 한다.[20]# 따라서 사고 직전까지의 유의미한 기록은 외부에서 기록된 교신 기록인 ATC와 항적 기록인 ADS가 유일하게 되었다.

3.9. 1월 13일

  • 제주항공 참사와 관련된 악성 게시글 173건을 수사 중이며, 2명을 추가 검거해 총 4명의 피의자가 검거됐다고 한다.#

3.10. 1월 16일

  •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의 첫 회의가 진행되었다.

3.11. 1월 17일

  • 제주항공 여객기의 양쪽 엔진 모두에서 깃털이 나온 것으로 확인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
  • 제22대 국회 제421회 1차 본회의에서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자와 유가족에 대한 2차 가해 방지 및 엄정 대처 촉구 결의안'이 재석 의원 274명 전원 찬성으로 가결되어졌다.

3.12. 1월 19일

  •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해체되었다.
  • 무안국제공항 2층 대합실에서 합동 영결식 및 추모식이 열렸고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과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한 여/야 정치인들이 참석했다. 추도식은 영상 상영과 추도사 낭독, 씻김굿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유가족들과 참석자들은 영결식 내내 눈물을 참지 못했다.

3.13. 1월 20일

  • 12·29 여객기 사고 피해자 지원단이 가동될 예정이다. 지원규모는 30여명 규모이다.#

3.14. 1월 21일

  • 2020년 5월 무안국제공항의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 개량 사업을 시작할 당시 국내 공항 안전을 책임졌던 인물인 경찰대학장 출신의 정치인 손창완 전 한국공항공사 사장이 경기도 자택에서 유서 없이 숨진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쯤 경기도 군포시 소재 아파트에서 손 전 사장이 숨져 있는 것을 외출했다가 귀가한 가족이 발견해 신고했다. 경찰은 시신의 상태로 볼 때 손 전 사장이 자살한 것으로 보고 있다. #

3.15. 1월 27일

  •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제주항공 2216편 참사 예비보고서를 발표했다.#

3.16. 2월 6일

  •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의 두 번째 회의가 진행되었다.


[1]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향하는 활주로다.[2] 메이데이는 비상선언, 버드 스트라이크는 조류 충돌, 고잉 어라운드는 착륙복행을 의미한다.[3] 이 기사는 이 과정에서 사고 직전 관제탑과 사고기 간 소통에 문제가 있었던 정황이 드러났다고 보고 있다.[4]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향하는 활주로다. 01번 활주로의 역방향.[5] 현재 이 영상이 보도될 때는 트라우마 방지를 위해 충돌 직전에 영상을 멈추고 폭발 직후부터 재생하거나 아예 충돌 및 폭발 장면을 자른다. 그러나 이 영상이 막 제보되었던 2024년 12월 29일 보도 초기에는 충돌 순간까지 지상파에 그대로 내보내어 논란이 되고 있다. 원 출처 제보 영상 링크[6] 대한민국 소방청 소속이 아니라 한국공항공사 소속 자체 소방대다.[7] 충돌 영상 원본을 보면, 충돌이 발생하고 10초도 지나지 않아 사이렌 소리가 울리고 소방대가 출동하는 걸 볼 수 있다.[소방청(1차)] [9]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으로 이송되었다.[10] 이후 서울아산병원으로 이송되었다.[11] 폭발하는 순간 기체가 완파되면서 탑승객들이 기체 밖으로 쏟아져 나왔다고 한다.[12] 꼬리날개 부분과 왼쪽 주익을 제외하면 기체의 형상이 온전히 남아있지 않을 정도로 대파되었다. 둘 뿐인 생존자도 꼬리날개 구역에 위치한 점프시트에서 발견되었다.[13] 공교롭게도 무안공항 사고기와 김포공항 회항 기체는 모두 라이언에어 출신인데, 이 항공사는 엄청난 하드랜딩으로 악명높다. 다만 악명과 달리 실제 라이언에어의 착륙은 기체에 크게 무리가 가는 하드랜딩이라기보단 펌랜딩에 가까운 편이며, 이는 안전측면에서 소프트랜딩보다 권장되는 방식이다. 또한 라이언에어는 취항 이후 40년 가까이 인명사고 기록이 없고, 특히 B737기 정비 능력에 있어서는 737 맥스 결함 사태 당시 보잉에 항공기 제조 검수를 지원할 정도로, 제조사인 보잉보다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므로 제주항공 항공기의 문제가 라이언에어 출신 항공기라서 발생한 문제라고 보는 것은 무리다.[14] 대한민국 조종사 노동조합 연맹.[15] 생존자 2명 제외.[16] 통상적으로 블랙박스를 선박으로 실어보내나, 이번 사고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항공편을 검토하는 것으로 보인다.[17] 다만, 1월 3일 음성 블랙박스의 분석작업이 시작 되었다는 것을 보아, 분실 된 커넥터는 비행 기록 장치(FDR)이고 조종석 녹음 장치(CVR)의 커넥터는 분실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항공기의 블랙박스는 비행 기록 장치(FDR), 조종석 녹음 장치(CVR) 두 종류이다.)[18] 그 당시 음성 기록 내역을 음성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19] 1월 3일에 완료될 것으로 예측됐었다.[20] 2010년 이후 설치된 블랙박스는 내부 백업 배터리가 의무화되어 외부 전원이 끊겨도 작동해야 하지만, 이번 사고의 기체는 2009년에 첫 비행하였으며 백업 배터리 의무화 규정이 소급 적용되지 않아 사고 직전 엔진, 전원이 꺼지며 같이 기록이 중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블랙박스의 고장 사유는 현재 조사 중이며 아직 공식적으로 규명된 부분은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7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