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8 21:04:22

제15회 서울모빌리티쇼

파일:서울모빌리티쇼 로고.png 역대 서울모빌리티쇼 문서 일람
{{{#!wiki style="margin: 0 -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2px -9px"
코엑스 시기
1995년 1997년 1999년 2002년
1회 2회 3회 4회
킨텍스 시기
2005년 2007년 2009년 2011년
5회 6회 7회 8회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9회 10회 11회 12회
서울모빌리티쇼 변경 후 (킨텍스 시기)
{{{#!wiki style="margin: -16px -11px" 2021년 2023년 2025년 2027년 2029년
13회 14회 15회 (4월 예정) }}}
}}}}}}}}} ||
역대 서울모빌리티쇼
제14회
(2023)
제15회
(2025)
제16회
(2027 예정)
파일:2025 서울모빌리티쇼 로고.png
{{{#FFF 2025 서울모빌리티쇼
25. 04. 03.~25. 04. 13.}}}
1. 개요2. 일정3. 후원 및 부대 행사4. 개최 전 이슈5. 참가 업체
5.1. 국산차5.2. 수입차5.3. 모빌리티5.4. 모빌리티 서비스
6. 신차7. 평가8. 여담


1. 개요

자유로운 이동이 어디서든 가능하도록
Mobility, Everywhere
2025년 4월 3일부터 4월 13일까지 열릴 서울모빌리티쇼 행사.

경기도 고양시 KINTEX 제1전시장 1~5홀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열다섯 번째 서울모터쇼이자[1] 모터쇼 이후 30주년을 맞은 행사이다.

2. 일정

  • 2025. 4. 3. (목)~4. 13. (일), 11일 간
  • 미디어데이: 4. 3. (목)
  • 일반인 관람일: 4. 4. (금) ~ 4. 13. (일)

3. 후원 및 부대 행사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의 주최로 이루어지며,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고양시의 후원을 받고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모빌리티어워드, 모바일로보틱스월드, 디자인페스티벌, 국제컨퍼런스, 자율주행차 시승 등의 부대 행사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지난 회차처럼 장한평이나 파주 등지를 활용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4. 개최 전 이슈

  •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 모터스의 참가 여부가 특히 주목받았고, 서울모빌리티쇼 주최 측도 공을 많이 들였다. 하지만 2025년 2월 10일 테슬라는 최종적으로 서울모빌리티쇼 불참을 통보했다. 기사 테슬라는 테슬람이라 불릴 정도의 강성 팬덤을 보유하고 있어서, 테슬라가 서울모빌리티쇼에 참여했다면 테슬람들의 방문으로 흥행에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 분명하기에 테슬라의 불참은 아쉬운 점이다.
  • UAM 및 모빌리티 기업들의 참여가 더 많아질 가능성도 있다.
  • HD현대가 건설기계[5]를 앞세워 참가한다. 건설기계 서울모빌리티쇼 참가는 처음이다. 기사
  • GTX-A 킨텍스역이 개통했기에 KINTEX 접근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크다. 더군다나 서울의 중심지 중 한 곳인 서울역을 지나는지라 서울에서 킨텍스를 오가기가 더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파일:킨텍스주차장폐쇄.png
* 2025년 3월 17일부터 킨텍스 제1전시장 주차장이 전면 폐지돼 주차가 불가능하다.

5. 참가 업체

5.1. 국산차

5.2. 수입차

5.3. 모빌리티

5.4. 모빌리티 서비스

6. 신차

7. 평가

8. 여담

  • 개최를 앞두고 홍보 동영상이 공개되었는데 100% AI를 활용해 제작되었다. 뮤직비디오 형식의 영상 속 남녀 보컬 또한 마찬가지로 AI이다.
  • 30주년을 맞은 행사답게 홈페이지를 비롯, 행사 CI가 이전 행사에 비해서 대대적으로 교체되었고 이전에 없던 헤드라인 파트너 시스템이 도입되는 등[11] 운영 전반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1] 서울모빌리티쇼로 개명한 뒤로는 세 번째 행사이다.[2] 신형 넥쏘를 월드 프리미어로 전시할 계획이라고 한다.[3] 쌍용자동차가 대우그룹 산하에 있던 1999년과 마힌드라 & 마힌드라의 경영권 포기로 회사가 존폐 위기를 맞이했던 2021년에 이어 세번째 불참이다.[4] 아시아 대륙에서는 중국에서만 참가하고 있다.[5] HD현대건설기계현대인프라코어[6] #[7] 수입사인 차봇모빌리티에서 같은 영국 브랜드 모건과 함께 그레나디어등 일부 차종을 전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8] 롯데케미칼롯데이노베이트를 주축으로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9] 경북에 소재한 자동차 부품 기업으로 UAM 사업에도 진출했다. 부스에서 2인승 기체를 전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0] UAM 기업으로 2023년 이후 두 번째 참가이다.[11] HD현대가 골드 파트너, BYD가 실버 파트너를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