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14:18:35

한국통감부

조선통감부에서 넘어옴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의 한반도 통치기관
1905~1910 1910~1945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제강점기
파일:통감기.svg 한국통감부 파일:고시치노키리.svg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조선총독부
한국통감부
韓國統監府 | Residency-General of Korea
파일:통감기.svg
통감기
1906년 2월 1일[1] ~ 1910년 10월 1일
한일병합조약 이후
조선총독부
소재지 <colbgcolor=#fff,#1F2023>한성부 남서 성명방 왜성대
(현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8-1 서울애니메이션센터 본관)
역대 통감 하세가와 요시미치
이토 히로부미
소네 아라스케
데라우치 마사타케

1. 개요2. 역사3. 역대 통감4. 청사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韓國統監府廳舍.jpg
한국통감부 청사
1905년 을사조약의 체결에 따라 대한제국보호국으로 삼으면서 한성에 통감부를 설치하고 이를 계기로 한국의 정사(政事) 및 행정 등을 장악하며 직접 통치하도록 일본 제국에 의해 설치된 기관이다. 줄여서 '통감부'로 부르기도 한다.

2. 역사

을사조약 직후인 1905년 11월 22일에 설치가 발표되었고 12월 21일 일본 현지에서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통감에 임명됐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정치와 외교는 물론, 경제권까지 침탈하여 이득을 탈취하고 침략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때문에 사실상의 일제강점기는 1905년부터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2][3]

1906년 2월 1일부터 업무를 개시했으나 이토는 한 달 뒤인 3월 2일에야 서울로 부임했고, 그 사이 기간에는 조선 주둔군 사령관 하세가와 요시미치가 통감 업무를 대리했다.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조선총독부 설치 이후에도 약 한 달 존속하다가 1910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 관제(칙령 제354호)가 공포되고 다음 날 10월 1일 시행되면서 완전히 폐지되고 조선총독부로 개편되었다.
애초에 외교 및 국방 위주로 맡는다는 조항을 따랐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서는 대한제국의 행정 및 내정에도 깊숙이 관여하고 향후에 대한제국의 모든 국책이나 국사 등은 반드시 통감부의 감독 및 허가를 받도록 조항을 개정하게 됨에 따라 사실상 대한제국의 모든 분야를 감독하고 관리하는 감시 기관으로 바뀌었다.

1907년에는 헤이그 특사 사건을 빌미로 고종 황제를 퇴위시키고 순종을 즉위시켰으며 마침내 대한제국군에 대해서도 강제 해산을 발령함에 따라 국방, 병무 체계도 모두 일본군 위주로 개편하였다. 을사오적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이완용을 내각총리대신에 앉히고 신(新) 한일 협약 체결을 이끌어냈으며 차관직을 신설하여 일본인이 차관을 맡도록 하는 차관 정치를 실행하였다.

1909년에는 사법권 및 질서 유지권도 박탈하여(기유각서) 일본 경찰과 법정이 직책을 맡게 하였고 감옥소에서도 모든 간수를 일본인으로 교체하여 항일 및 반일 독립 운동가 및 애국자들을 수감시키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동년 6월 소네 아라스케의 취임 이후 안중근이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저격하기도 하였으나 이미 대세는 기운 상황이었다.

1910년 5월 30일에는 3대 통감이자 육군대신인 데라우치 마사다케가 취임하였다. 일제는 처음 통감부를 조선도독부로 재편하려 했으나, 대규모로 개편하여 한일병합 당일인 8월 29일 메이지 덴노칙령으로 조선총독부가 설치되었다. 다만 기존의 통감부가 곧바로 폐지된 것은 아니고, 구체적인 총독부 관제가 마련될 때까지 총독 직무도 당분간 데라우치 통감이 대리하는 형태로 운영됐다. 한편 기존 대한제국 정부에 속해 있던 관청은 일단 소속은 총독부에 두되, 이들 관청에 근무하는 관리는 대한제국 정부에 근무 중인 것과 동일하게 취급하도록 하여 과도 체제를 유지하였다. 이후 10월 1일 데라우치가 정식으로 초대 조선 총독 자리에 오름과 함께 통감부는 총독부로 완전히 개편되었다.

3. 역대 통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580, #002984 20%, #002984 80%, #00058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임시 초대 제2대 제3대
하세가와 요시미치 이토 히로부미 소네 아라스케 데라우치 마사타케
조선총독 · 군정사령관 }}}}}}}}}}}}}}}
순서 이름 재임 기간 설명
임시 통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asegawa_Yoshimichi.jpg 하세가와 요시미치 1906.02.01.
~ 1906.03.01.
권한 대행. 이후 제2대 조선 총독으로 취임.[4]
초대 통감 파일:Ito_Hirobumi.jpg 이토 히로부미 1905.12.21.[5]
~ 1909.06.13.
2대 통감 파일:Sone_Arasuke.jpg 소네 아라스케 1909.06.14.
~ 1910.05.29.
3대 통감 파일:Masatake_Terauchi.jpg 데라우치 마사타케 1910.05.30.
~ 1910.09.30.
이후 초대 조선 총독으로 취임.

4. 청사

파일:Office_of_the_Resident-General.jpg
남산에 있었던 통감부 청사
통감부 청사 건물은 1910년 경술국치 직후 조선총독부로 사용했다. 1926년 경복궁 내에 완공된 신청사로 총독부가 이전한 뒤에는 1927년 5월 10일부터 국립중앙과학관의 전신인 은사기념과학관(恩賜記念科學館)으로 사용했다. 당시 다이쇼 덴노가 준 은사금 17만엔을 사용해서 과학관을 세웠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당시 일본의 과학기술과 공업성취를 선전하는 역할을 하였다. 해방 이후 1945년에는 국립과학관이었으나 6.25 전쟁 때 소실되었다.[6] 현재는 국립중앙과학관은 대전으로 이전했고 서울애니메이션센터가 통감부 터에 세워져 있다.

5. 기타

  • 일본 제국은 1906년 11월 박제순 '참정 대신'이 이토 히로부미 '통감'에게 간도에 거주하는 조선인의 보호를 요청한 것을 구실로 일본군의 간도 파병을 결정했다. 그래서 제1차 러일 협약이 체결된 이후인 1907년 8월에 북간도의 한국민 보호라는 명분으로 '용정촌'에 한국통감부 '간도 파출소'를 설치하고 일본 육군 헌병을 파병해 청나라 '연길청' 사이에 간도 영유권 분쟁이 일어났다. 그러나 1909년 청일 간의 이해관계에 따라 간도협약이 체결되면서 대한제국두만강 너머 영토의 영유권을 확보할 기회를 놓쳤다.
  • 대한민국 해군기가 통감기와 유사해서 영향을 받지 않았나 하는 의혹이 있었으나, 좌측 상단에 국기를 배치하는 도안은 영국이 원조이기 때문에 낭설에 불과하다. 영국 선박들은 좌측 상단에 유니언 잭을, 나머지 부분은 파란색 혹은 붉은색을 배치한 깃발을 썼는데[7] 그 관습이 영국의 식민지였던 국가들(호주, 뉴질랜드 그리고 그 외 여러 식민지들)의 상징기에도 영향을 미쳤고, 식민지들이 독립한 후에도 상징기를 국기로 채택하여 현대의 많은 영연방 국가들의 국기 도안으로 남았다. 전세계적으로 해군은 복식이나 관습 면에서 영국 해군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는데, 대한민국 해군기도 그 중 하나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한민국 해군 창설자 손원일 제독은 독립운동가 출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6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6. 관련 문서



[1] 업무 시작 날짜 기준. 설치 발표는 그보다 약 10주 전인 1905년 11월 22일이었다.[2] 이럴 경우 일제강점기의 기간은 흔히 말하는 '36년'이 아니라 40년이 넘게 된다.[3] 해외에서는 보통 보호국을 주권국으로 취급하지 않는데, 통가, 브루나이 등도 영국의 보호령에서 벗어난 것을 '독립'했다고 간주할 정도로 보호령은 사실상의 식민지로 취급받고 있다.[4]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뒤를 이어 제2대 총독으로 취임했으나, 이후 3.1운동을 지나치게 탄압한 나머지 총독 취임 3년 만에 사이토 마코토에게 총독 자리를 물려주게 된다.[5] 서울 부임은 1906년 3월 2일.[6] 이후 국립과학관은 종로구 와룡동에 1962년 재건되어 현재도 서울과학관이 창경궁 옆에 있다.[7] 파란색은 해군기, 붉은색은 상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