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21:12:47

참소리축음기·에디슨과학박물관

파일:강릉시 CI_White.svg 강릉시의 관광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fff> 강릉대도호부 관아강릉선교장강릉통일공원경포도립공원경포아쿠아리움남대천오죽헌 • 옥계동물농장 • 안반데기 • 정동진참소리축음기·에디슨과학박물관 • BTS 버스정류장
파일:강릉시 관광브랜드 CI(좌우조합).svg }}}}}}}}}

홈페이지
손성목영화박물관 홈페이지
1. 개요2. 설립3. 특징4. 기타

[Clearfix]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포로 393에 위치한 축음기뮤직박스가 전시된 참소리 축음기 박물관과 토머스 에디슨의 각종 발명품을 위주로 한 에디슨 과학박물관 및 영화자료와 영사기, TV 등을 위주로 하는 손성목영화박물관으로 구성된 사립박물관이다.

참소리 축음기 박물관은 축음기와 뮤직박스, 라디오, TV 위주로 전시중이며 과거의 축음기부터 현재의 미디어까지 다양한 소스를 청음[1] 할 수 있는 음악감상실을 갖추고 있다.

에디슨 과학박물관은 세계 최초의 축음기인 에디슨 틴포일 실물을 필두로 에디슨의 3대 발명품으로 일컬어지는 축음기, 전구, 영사기전기자동차 등 기타 수많은 발명품과 에디슨의 유품들을 전시하고 있다.

2. 설립

설립자 손성목 관장이 5세에 피아노와 전축을 좋아하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뒤, 방에만 틀어박힌 그를 달래려 아버지가 선물한 콜롬비아 G241 포터블 축음기에 매료되었다. 이후 중학교 때 동네 전파사를 돌며 축음기 10여 대를 모으는 것을 시작으로 전 세계를 돌며 축음기를 수집[2]했고,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토머스 에디슨의 발명품들과 마주치게 되어[3] 에디슨의 각종 발명품들까지 수집하여 1982년 강릉시 송정동에 참소리 방을 설립한 것이 박물관의 시초이다. 이후 1992년 11월 참소리박물관으로 정식 개관 운영하였으며, 전시공간 협소로 속초 이전설까지 나돌다가 결국 강릉시의 지원 하에 2007년 2월 현재의 위치로 신축 이전하여 현재에 이른다.

1986년엔 '수집광(狂)인 당신 철학에 감동했다'며 일본 전자업계의 제왕이자 파나소닉의 창업주인 마쓰시타 고노스케 회장이 "도쿄 한복판에 1000평 건물을 지어줄 테니 수집품을 일본에서 전시하자"는 제안을 했지만, 한국 아니면 안 하겠다고 딱 잘라 거절했다고 한다.

3. 특징

총 컬렉션이 8,000여 점에 이르는 방대한 양을 전시한다. 최초의 축음기인 에디슨 크루시 모델 틴포일 진품[4]으로 대표되는 축음기 컬렉션에, 세계 최초 TV로 불리는 베어드 30라인 TV, 국내 최초 생산 TV인 금성사 VD-191, 전체 세트로는 제임스 와트[5]의 습식 복사기 세트, 전세계에 딱 두 대가 남아 있는 에디슨 일렉트릭 카 중 한 대[6] 을 전시하고 있다.

다만 전시품이 너무 많은 탓에 가는 곳마다 빼곡히 모여있는 것이 마치 박물관 수장고나 창고를 연상시켜 좋지 않은 평을 받기도 한다.[7]

관람 해설을 같이 들으면 관람에 도움이 되지만 해설가에 따라 관람평이 극도로 갈리기도 한다.

기타 직원이나 손성목 관장에 대한 태도에 불만을 가진 평도 일부 존재한다. 특히 내부에서 일부 시설을 제외하면 사진 촬영 금지인 것은 아쉬운 부분에 속한다.[8]

20세기 영화 관련 전시품의 질과 양도 수준급이다. 토머스 에디슨 항목에 나와 있듯 그가 축음기와 영사기를 발명함으로써 영화산업에 큰 영향을 미쳐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도 입성한 인물이기 때문. 1939년에 개봉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촬영에 쓰인 3색 카메라, 분장 도구(헤어드라이어, 다리미, 빗 등)와 자동차, 클래퍼보드 등의 실물이 전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20세기 때 쓰인 카메라와 영사기 등의 영화 촬영 및 상영용 장비들이 다수 소장되어 있으며, 수많은 고전 영화들의 개봉 당시 실물 포스터들[9]이 액자에 넣어져 걸려 있는데 그 컬렉션이 대단하다.[10] 영화광이라면 꼭 가 보길 추천.

4. 기타

  • 전시관 공간이 상당히 협소해, 수장고에 있는 소장품 약 3,500여 점을 상시 전시하지 못하여 연 3~4회 정도 교환전시를 한다.
  • 휴게실에는 각종 카메라들이 전시되어 있는데, 금장 롤라이 35나 금장 라이카 R4 등등 카메라덕들이 보면 눈알이 튀어나올 온갖 한정판 카메라들이 전시되어 있다.


[1] 당연히 스피커 등의 주변기기들도 억소리 나오는 어마어마한 물건들로 구성.[2] 이 과정에서 개인사업의 자금 문제로 집에 차압 딱지가 붙는 와중에도 해외 옥션에 출품된 축음기에 국제전화로 비딩을 걸고 있었다 한다. 심지어 1968년 '아메리칸 포노그래프'(동전을 넣고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축음기)를 구하기 위해 아르헨티나로 가던 중 강도를 만나 목숨을 잃을 뻔했지만, 피를 흘리며 경매장에 가서 기어코 구해온 적도 있었다. 1900년 미국에서 여섯 대를 제작했지만 현재는 한 대만 남아 있는 희귀품 중에서도 초 희귀품이었기 때문.#[3] 왜냐하면 최초의 축음기 발명자가 바로 에디슨이기 때문이다.[4] 현존하는 틴포일 진품 숫자는 한손에 꼽힐 정도. 6개 중 5개를 이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5] 증기기관으로 유명한 그 제임스 와트 맞다.[6] 나머지 한 대는 미국 헨리 포드 자동차 박물관에 있다.[7] 관리 상태는 매우 좋다.[8] 직원에 따르자면 관장이 옛날 분이라 그런 것에 철저하다는 후문.[9] 하나같이 다 오래되었다 보니 대부분 좀 꼬깃꼬깃한 편.[10] 대표적인 것만 꼽아 봐도 벤허(1959년 영화), 십계(영화), 매드 맥스 썬더돔, 고스트버스터즈 2, 미녀 삼총사: 맥시멈 스피드, 사랑은 비를 타고, 거미집의 성, 킬링필드(영화)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