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6AA7><colcolor=#fecc00> 스웨덴-노르웨이 베르나도테 왕조 제3대 국왕 칼 15세 • 칼 4세 Carl XV • Karl IV | |||
#!wiki style="margin: -6px -10px" }}} | |||
출생 | 1826년 5월 3일 | ||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왕국 스톡홀름 | |||
사망 | 1872년 9월 18일 (향년 46세) | ||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왕국 말뫼 | |||
재위기간 | 스웨덴-노르웨이 국왕 | ||
1859년 7월 8일 ~ 1872년 9월 18일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6AA7><colcolor=#fecc00> 가문 | 베르나도테 왕조 | |
이름 | 칼 루드비그 에우겐 (Carl Ludvig Eugen) | ||
아버지 | 오스카르 1세 | ||
어머니 |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 | ||
형제자매 | 구스타프, 오스카르 2세, 유셰니, 아우구스트 | ||
배우자 | 네덜란드의 루이세 공주 (1850년 결혼 / 1871년 사망) | ||
자녀 | 로비사, 칼 오스카르 | ||
종교 | 루터교회(스웨덴 교회) | ||
신체 | 188cm | }}}}}}}}} |
[clearfix]
1. 개요
<colbgcolor=#006AA7> 말을 타고 사열하는 칼 15세. |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10세와 노르웨이 국왕 호콘 7세의 외할아버지이다.
2. 생애
오스카르 1세와 조제핀 사이의 4남 1녀 중 장남으로 출생했다. 할아버지 칼 14세 요한이나 아버지와 달리 스웨덴에서 태어난 태생부터 스웨덴인이었다.칼 15세는 미술과 음악, 자유로운 생활에 관심이 많았다. 그래서 엄격한 규칙이 따르는 갑갑한 왕실을 싫어했고, 여자를 매우 밝혔으며, 다양한 언어를 할 줄 알았다.
1850년 네덜란드의 루이제 공주와 결혼했다. 루이제는 칼을 보자마자 사랑에 빠졌지만, 칼은 루이제의 외모와 성격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버지인 오스카르 1세의 강요로 결국 결혼을 하게 되었다.[1] 결혼 후 딸 로비사와 아들 칼 오스카르를 두었으나 칼 오스카르는 1854년 불과 2살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고, 딸 루이제는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8세와 결혼했다. 왕비가 1871년 사망한 이듬해, 칼 15세도 숨을 거두었다.
재위 기간 동안 스웨덴 의회를 양원제로 바꾸었으며 여성의 참정권을 허용했다. 그러나 왕권은 점점 약화되어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가지고 있던 권한 상당 부분을 포기했다.
3. 가족 관계
3.1.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1녀 |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로비사 공주 | 1851년 10월 31일 | 1926년 3월 20일 | 프레데리크 8세 슬하 4남 4녀[2] |
1남 | 쇠데르만란드 공작 칼 오스카르 왕자 (Prince Carl Oscar, Duke of Södermanland) | 1852년 12월 14일 | 1854년 3월 13일 |
4. 여담
- 노르웨이 왕국이 독립할 때 딸 로비사의 차남으로 칼 15세의 외손자인 호콘 7세가 노르웨이의 왕위에 올랐다.[4] 노르웨이의 독립 자체는 스웨덴의 입장에서 보면 지금의 노르웨이 영해인 북서쪽 영해를 상실하게 되면서 노르웨이와의 동군연합 시절에 비해 대서양 및 북극해 진출에 많은 제약이 생긴 큰 손실이지만, 결과적으로는 호콘 7세를 시작으로 칼 15세의 여계후손이 대대로 노르웨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으니 아이러니하게도 칼 15세가 아들 칼 오스카르의 요절로 자기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지 못한 한을 풀게 된 셈이다.
[1] 이 때문에 평생 아내에게 무관심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와 별개로 딸 로비사에게는 매우 자상한 아버지였다고.[2] 크리스티안 10세, 호콘 7세 등[3] 제수인 나사우의 조피아 공녀는 빅토리아 시대의 도덕주의를 신봉했기 때문에 이러한 시아주버니의 문란함을 굉장히 싫어했다고 한다.[4] 호콘 7세가 노르웨이의 왕위에 오르게 된 이유가 아내 웨일스의 모드 공녀가 영국의 공주인 것도 있지만 어머니 로비사가 스웨덴의 공주이자 칼 15세의 유일한 자식이기 때문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