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랄 5세 관련 틀 | ||||||||||||||||||||||||||||||||||||||||||||||||||||||||||||||||||||||||||||||||||||||||||||||||||||||||||||||||||||||||||||||||||||||||||||||||||||||||||||||||||||||||||||||||||||||||||||||||||||||||||||||||||||||||||||||||||||||||||||||||||||||||||||||||||||||||||||||||||||||||||||||||||||||||||||||||||||||||||||||||||||||||||||||||||||||||||||||||||||||||||||||||||||||||||||||||||||||||||||||||||||||||||||||||||||||||||||||||||||||||||||||||||||||||||||||||||||||||||||||||||||||||||||||||||||||||||||||||||||||||||||||||||||||||||||||||||||||||||||||||||||||||||||||||||||||||||||||||||||||||||||||||||||||||||||||||||||||||||||||||||||||||||||||||||||||||||||||||||||||||||||||||||||||||||||||||||||||||||||||||||||||||||||||||||||||||||||||||||||||||||||||||||||||||||||||||||||||||||||||||
<colbgcolor=#fff,#1f2023>
|
<colbgcolor=#EB0021><colcolor=#ffe055> | |||
출생 | 1937년 2월 21일 ([age(1937-02-21)]세)[1] | ||
노르웨이 아케르스후스주 스카우굼 | |||
축도 | 1991년 6월 23일[2] | ||
재위기간 | 노르웨이 국왕 | ||
1991년 1월 17일 ~ 현재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b0021><colcolor=#ffe055> 가문 | 글뤽스부르크 가문 | |
아버지 | 올라프 5세 | ||
어머니 | 스웨덴의 메르타 공주 | ||
형제자매 | 랑닐, 아스트리드[3] | ||
배우자 | 소냐 하랄센 (1968년 결혼) | ||
자녀 | 메르타 루이세, 호콘 망누스 | ||
학력 | 노르웨이 육군사관학교 (1년 수료) 오슬로 대성당 학교[4] 오슬로 대학교 참관 옥스퍼드 대학교 (사회과학·역사 / 2년 수료) | ||
종교 | 루터교회(노르웨이 교회) | ||
신장 | 188cm | }}}}}}}}} |
[clearfix]
1. 개요
Alt for Norge 모두 노르웨이를 위하여 하랄 5세가 채택한 노르웨이 표어[5] |
노르웨이의 현직 국왕. 올라프 5세와 스웨덴의 메르타 공주의 외아들로 태어났으며, 호콘 7세의 장손이다.
2. 가족관계
2024년 가족사진 |
2.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하랄 5세 | 올라프 5세 | 호콘 7세 | |
프레데리크 8세 | |||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로비사 공주 | |||
웨일스의 모드 공녀 | |||
에드워드 7세 | |||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 | |||
스웨덴의 메르타 공주 | |||
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칼 왕자 (Prince Carl, Duke of Västergötland) | |||
오스카르 2세 | |||
나사우의 조피아 공녀 | |||
덴마크의 잉에보르 공주 (Princess Ingeborg of Denmark) | |||
프레데리크 8세 | |||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로비사 공주 |
2.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배우자 / 자녀 |
1녀 | 노르웨이의 메르타 루이세 공주 | 1971년 9월 22일([age(1971-09-22)]세) | 슬하 3녀 |
듀렉 베렛 | |||
1남 | 노르웨이의 왕세자 호콘 | 1973년 7월 20일([age(1973-07-20)]세) | 메테마리트 셰솀 호이뷔 슬하 1남 1녀[6] |
3. 여담
- 할머니 웨일스의 모드 공녀가 영국의 공주였기 때문에 영국 왕위 계승 서열 100위 안에 든다. 할아버지 호콘 7세가 덴마크의 왕자[7]였기 때문에 1953년까지는 덴마크의 왕위 계승 자격도 가지고 있었으나 1953년 덴마크 헌법 개정으로 덴마크 왕위 계승권자의 범위가 크리스티안 10세의 후손으로 축소되면서 덴마크의 왕위 계승 서열에서 제외되었다.
- 1964 도쿄 올림픽,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1972 뮌헨 올림픽에 요트 선수로 참가한 경력이 있다.
- 경호원도 없이 혼자 오슬로 시내를 자전거로 산책하는것이 취미라고 한다. 경호 문제 때문에 주위에서 경호 병력을 추가할 것을 건의하자 나에게는 근위대가 4,000,000명이나 있는데 무슨 걱정이냐 했다고 한다.
- 2020년, 심장 수술을 받았고 건강이상설에 시달리기도 했다. 2024년에는 말레이시아에 휴양을 갔다가 그 곳에서 수술을 받게 되었다. 노르웨이 정부는 SAS 특별기를 편성해 고국으로 수송했다.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세이소 왕조 | ||||
빌럼알렉산더르 | 하랄 5세 | 프레데리크 10세 | 레치에 3세 | |
테멩공 가문 | ||||
앙리 | 한스아담 2세 |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 알베르 2세 | |
모하메드 6세 |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 프란치스코 | 필리프 | |
볼키아 왕조 |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 하사날 볼키아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칼 16세 구스타프 | |
펠리페 6세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 에마뉘엘 마크롱 | |
들라미니 왕조 | ||||
음스와티 3세 | 찰스 3세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 ||
노로돔 왕조 | ||||
압둘라 2세 | 나루히토 |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 노로돔 시아모니 | |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라마 10세 | 투포우 6세 | ||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 |
[1] 현재 생존 중인 노르웨이 군주들 중에서 최고령 군주이자, 유럽 최고령 군주이다.[2] 1908년 개헌에 의해 대관식 요건이 폐지되었다. 1991년 1월 21일 노르웨이 의회에서 왕실의 선서 후 1991년 6월 23일 니다로스 대성당에서 축도를 받았다.[3] [age(1932-02-12)]세, 현재도 공식 대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4] 중등교육 학교[5] 호콘 7세, 올라프 5세, 하랄 5세 모두 같은 표어를 채택했다.[6] 노르웨이의 잉리드 알렉산드라 공주, 노르웨이의 스베레 망누스 왕자[7] 프레데리크 8세의 차남이자 크리스티안 10세의 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