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11:28:05

나사우 가문

1. 개요2. 언어별 표기3. 기원
3.1. 공통 가계3.2. 발람계
3.2.1. 역대 수장
3.3. 오토계
3.3.1.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룩셈부르크네덜란드 왕가의 뿌리가 되는 유럽의 주요 귀족 가문이다.

이름은 독일 라인란트팔츠주의 나사우 성(Burg Nassau)에서 유래했다.

2. 언어별 표기

독일어 Haus Nassau
룩셈부르크어 Haus vun Nassau
네덜란드어 Huis Nassau
프랑스어 Maison de Nassau

3. 기원

과거 동프랑크 왕국부족 공국 중 하나였던 프랑켄 공국에서 출발하며 시조는 라우렌부르크의 디도(Dudo von Laurenburg ?~1124)로 여겨진다.

신성 로마 제국에서 호엔슈타우펜 왕조가 몰락하고 대공위시대에 접어들면서 전면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1255년 하인리히 2세(Heinrich II. "der Reiche" von Nassau 1180~1251?)의 아들 발람과 오토가 나사우를 분할하면서 2개의 가계로 갈라졌다. 발람 2세(Walram II. von Nassau 1220~1276)의 후손들이 발람계, 오토 1세(Otto I. von Nassau 1224~1290)의 후손들이 오토계가 되었는데 발람의 후손들이 오늘날 룩셈부르크 대공 가문이고, 오토의 후손들이 오늘날 네덜란드오라녀나사우 왕조의 뿌리이다.

나사우 가문은 이후 여러 가계로 갈라졌는데 1783년 가문의 구성원들끼리 가문 협정(Nassauischer Erbverein)을 체결해 발람계와 오토계 둘 중 하나가 멸족되면 다른 한쪽이 이어받기로 했으며 준살리카법을 채택해 남성 후계자가 없을 경우 여성의 계승을 인정했다.

3.1. 공통 가계

디도 루프레히트 1세 루프레히트 2세
발람 1세 하인리히 2세 발람 2세[1]
루프레히트 5세
오토 1세[2]
요한
루프레히트 4세
아르놀트 1세 하인리히 1세
루프레히트 3세 헤르만

3.2. 발람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500, #ffcc20 20%, #ffcc20 80%, #f0b500); color: #1e1e1d;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e1e1d> 카를 왕조
카를 1세 루트비히 1세 로타르 1세 루트비히 2세 카를 2세
<rowcolor=#1e1e1d> 카를 왕조 비도 왕조 카롤 왕조 보조 왕조
카를 3세 비도 람베르트 아르눌프 루트비히 3세
운루오히 왕조 오토 왕조
베렝가르 오토 1세 오토 2세 오토 3세 하인리히 2세
잘리어 왕조 주플린부르크 왕조
콘라트 2세 하인리히 3세 하인리히 4세 하인리히 5세 로타르 2세
호엔슈타우펜 왕조 벨프 왕조
콘라트 3세 프리드리히 1세 하인리히 6세 필리프 오토 4세
호엔슈타우펜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나사우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프리드리히 2세 콘라트 4세 루돌프 1세 아돌프 알브레히트 1세
룩셈부르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룩셈부르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하인리히 7세 루트비히 4세 카를 4세 벤첼 루프레히트
룩셈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지기스문트 알브레히트 2세 프리드리히 3세 막시밀리안 1세 카를 5세
합스부르크 왕조
페르디난트 1세 막시밀리안 2세 루돌프 2세 마티아스 페르디난트 2세
합스부르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페르디난트 3세 레오폴트 1세 요제프 1세 카를 6세 카를 7세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프란츠 1세 요제프 2세 레오폴트 2세 프란츠 2세
}}}
밑줄: 대관식을 받은 적이 없는 로마왕이지만 사실상 황제였던 인물
프랑크 · 동프랑크 · 신성 로마 · 라인 동맹 · 독일 연방
북독일 연방 · 독일 제국 · 바이마르 · 나치 독일 · 동독 · 독일

}}}}}} ||

파일:룩셈부르크 국장.svg
룩셈부르크 대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오라녀나사우 왕조 나사우 왕조
기욤 1세 기욤 2세 기욤 3세 아돌프
<rowcolor=#fff> 나사우 왕조
기욤 4세 마리아델라이드 샤를로트
<rowcolor=#fff> 나사우 왕조
앙리 }}}
백작 · 공작 · 대공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네덜란드 국왕|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국왕|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국왕|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레소토 국왕|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세이소 왕조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프레데리크 10세 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대공|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공|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양 디페르투안 아공|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모나코 공|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테멩공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알베르 2세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바티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벨기에인의 왕|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부탄 국왕|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브루나이 술탄|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국왕|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국왕|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안도라|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에스와티니 국왕|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음스와티 3세
[[영국 국왕|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영연방 왕국|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
[[오만 술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요르단 국왕|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압둘라 2세
[[천황|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카타르 아미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캄보디아 국왕|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아미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국왕|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통가 국왕|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일반적으로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은 이쪽을 말한다. 1255년 발람 2세와 오토 1세가 체결한 프리마 디비소(Prima divisio)에 따라 발람 2세의 후손들은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이 되었다. 주로 신성 로마 제국에서 활동했으며, 발람 2세의 아들 아돌프오스트리아 공국 합스부르크 가문알브레히트 1세에 맞서 황제선거에서 독일왕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1816년 나사우-바일부르크 빌헬름(Wilhelm I. von Nassau 1792~1839)이 초대 나사우 공작이 되었다. 빌헬름의 아들 아돌프 공작은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이 벌어지자 오스트리아 제국 편을 들었으나 전쟁이 프로이센 왕국의 승리로 끝나면서 나사우 공국을 빼앗겼고 독일 제국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여생을 보냈다. 그러다가 먼 친척인 네덜란드 국왕 빌럼 3세가 딸 빌헬미나만 남기고 사망하면서 네덜란드와 동군연합이었으나 살리카법을 따르던 룩셈부르크 대공국대공으로 즉위했다.

아돌프의 아들 기욤 4세는 딸만 두었고, 장녀 마리아델라이드의 뒤를 이어 즉위한 샤를로트 여대공부르봉파르마의 펠릭스 공자[3]와 결혼하면서 자연스럽게 부르봉파름 가문(Haus Bourbon-Parma)으로 넘어가는 듯 싶었다. 하지만 1987년 부르봉파르마 가문의 수장 카를로스 우고(Carlos Hugo 1930~2010)[4]장 대공의 아들들의 결혼 문제로 귀천상혼을 들먹이자 대판 싸우고 나사우바일부르크 성씨를 계속 유지하기로 결정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5]

3.2.1. 역대 수장[6]

3.3. 오토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라녀나사우 왕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1818, #a01e1e 20%, #a01e1e 80%, #801818);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오라녀나사우 왕조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빌럼 1세 마우리츠 프레데리크 헨드리크 빌럼 2세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빌럼 3세 빌럼 4세 빌럼 5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b1646, #a41b54 20%, #a41b54 80%, #8b1646);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오라녀나사우 왕조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빌럼 1세 빌럼 2세 빌럼 3세 빌헬미나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율리아나 베아트릭스 빌럼알렉산더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네덜란드 국왕|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국왕|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국왕|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레소토 국왕|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세이소 왕조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프레데리크 10세 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대공|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공|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양 디페르투안 아공|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모나코 공|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테멩공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알베르 2세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바티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벨기에인의 왕|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부탄 국왕|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브루나이 술탄|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국왕|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국왕|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안도라|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에스와티니 국왕|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음스와티 3세
[[영국 국왕|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영연방 왕국|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
[[오만 술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요르단 국왕|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압둘라 2세
[[천황|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카타르 아미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캄보디아 국왕|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아미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국왕|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통가 국왕|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신성 로마 제국에서 활동한 발람계와 달리 오토계는 저지대 국가에서 주로 활동했다. 오토 1세는 세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 하인리히는 나사우지겐, 차남 에미코는 나사우하다마르, 3남 요한은 나사우딜렌부르크를 물려받았다. 나사우딜렌부르크를 물려받았던 요한은 자녀 없이 죽어서 하인리히의 후손들이 나사우딜렌부르크를 물려받았는데, 하인리히의 증손자인 딜렌부르크 백작 엥겔베르트(Engelbert I. Graf von Nassau-Dillenburg 1370~1442)는 부르고뉴 공국으로 건너가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을 섬겼고 그 대가로 브레다 백작의 상속녀 요한나 반 폴라넨(Johanna van Polanen 1392~1445)과 결혼했다. 네덜란드의 국부 침묵공 빌럼은 엥겔베르트의 5대손이며, 현재 네덜란드 오라녀나사우 왕조의 시조 빌럼 1세는 이 침묵공 빌럼의 동생 요한 6세(Johann VI. von Nassau-Dillenburg 1536~1606)의 후손이다. 침묵공 빌럼의 가계는 잉글랜드 왕국스코틀랜드 왕국의 국왕을 겸한 윌리엄 3세메리 2세와의 사이에서 후사를 얻지 못해 단절되어서 본가인 나사우딜렌부르크를 계속 다스리던 요한의 후손들이 네덜란드를 이어받아 통치했다.

3.3.1. 출신 인물



[1] 나사일바일부르크 계통 조상[2] 오라녜나사우 계통 조상[3] 파르마 공국의 마지막 공작 로베르토 1세의 아들.[4] 네덜란드 율리아나 여왕의 차녀 이레너 공주와의 결혼으로 네덜란드 헌법 위기를 불러왔으며 카를리스타를 이끌면서 스페인 보르본 왕조, 네덜란드 오라녀나사우 왕조와 반목하는 등 생전 여러모로 문제를 일으켰던 인물이다.[5] 비록 1995년 장 대공과 부르몽파르마 가문 사람들이 화해하긴 했으나 왕실 이름은 계속 나사우바일부르크를 쓰기로 했다. 한 번 싸운 앙금이 쉽게 풀리지 않기도 하고.[6] 룩셈부르크 대공 아돌프 이전은 직계만 작성[7] 남계 단절[8] 여기서부터 남계로는 부르봉파름 가문으로 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