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23:10:37

메리 2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60719 0%, #cf091f 20%, #cf091f 80%, #a6071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웨식스 왕조
애설스탠 에드먼드 1세 이드리드 이드위그
웨식스 왕조 크누트 왕조
에드거 1세 순교왕 에드워드 애설레드 2세 스웨인
웨식스 왕조 크누트 왕조
애설레드 2세 에드먼드 2세 크누트 해럴드 1세
크누트 왕조 웨식스 왕조
하다크누트 참회왕 에드워드 해럴드 2세 에드거 2세
노르만 왕조 블루아 왕조
윌리엄 1세 윌리엄 2세 헨리 1세 스티븐
노르만 왕조 블루아 왕조 플랜태저넷 왕조
마틸다 스티븐 헨리 2세 리처드 1세
플랜태저넷 왕조
헨리 3세 에드워드 1세 에드워드 2세
플랜태저넷 왕조 랭커스터 왕조
에드워드 3세 리처드 2세 헨리 4세 헨리 5세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헨리 6세 에드워드 4세 헨리 6세 에드워드 4세
요크 왕조 튜더 왕조
에드워드 5세 리처드 3세 헨리 7세 헨리 8세
튜더 왕조
에드워드 6세 제인 메리 1세
필립
엘리자베스 1세
스튜어트 왕조
제임스 1세 찰스 1세 찰스 2세 제임스 2세
스튜어트 왕조 영국 국왕 →
윌리엄 3세
메리 2세
}}}}}}}}}}}}}}}
스코틀랜드 왕국 스튜어트 왕조 제14대 국왕
잉글랜드 왕국 스튜어트 왕조 제5대 국왕
메리 2세
Mary II
파일:Mary_II_-_Kneller_1690.jpg
<colbgcolor=#cf091f><colcolor=black> 왕호 메리 2세
(Mary II)
출생 1662년 4월 30일
잉글랜드 왕국 런던 세인트 제임스 궁전
사망 1694년 12월 28일 (향년 32세)
잉글랜드 왕국 런던 켄싱턴 궁전
재위기간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
1689년[1] ~ 1694년 12월 28일
서명 파일:메리 2세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f091f><colcolor=#fff> 이름 메리 스튜어트
(Mary Stuart)
배우자 윌리엄 3세 & 2세 (1677년 결혼)
아버지 제임스 2세 & 7세
어머니 앤 하이드
형제 찰스, 제임스, , 찰스, 에드거
종교 개신교
문장 파일:잉글랜드 국장(1689-1694).svg.png
잉글랜드
Dieu et mon droit
하느님과 나의 권리
파일:스코틀랜드 국장(1689-1694).svg.png
스코틀랜드
Nemo me impune lacessit
누구도 나를 함부로 할 수 없다
}}}}}}}}}

1. 개요2. 생애3. 조상4. 둘러보기

1. 개요

잉글랜드 왕국스코틀랜드 왕국여왕. 잉글랜드스코틀랜드동군연합이 된 것은 엘리자베스 1세 사후 제임스 1세 때로 잉글랜드에서 헨리 8세 딸이자 엘리자베스 1세 언니가 메리 1세가 여왕이고, 스코틀랜드에서도 제임스 6세 & 1세 모친이 메리 1세가 되기에 양국 모두 "2세" 칭호의 군주명으로 즉위했다.

2. 생애

제임스 2세의 장녀로 부모 모두 가톨릭으로 개종한 것과 달리 그녀는 프로테스탄트로 자랐으며, 네덜란드프로테스탄트 지도자였던 오라녜공 빌렘과 결혼하였다. 그리고 명예혁명 때 남편과 함께 잉글랜드의 공동 군주가 됐다.

명예 혁명남편이 이끄는 네덜란드 군대가 제임스 2세를 몰아낸 데다 부부가 사촌간으로 남편 윌리엄도 잉글랜드 왕위 계승 순위가 아내와 처제에 이어 3위로 매우 높은 편이기에 잉글랜드 내에서도 별다른 이견없이 공동왕으로 즉위했다. 그런데 말이 공동 군주지 그 당시는 남자의 입김이 더 강한 때라 사실상 남편 윌리엄잉글랜드의 왕이나 다름 없었다.

메리 2세 혼자 여왕으로 즉위하고 윌리엄이 잉글랜드스코틀랜드의 부군이었다면 그렇지는 않았겠지만, 메리 2세는 남편에게 순종하는 것이 미덕이라 여겼기에 공동 즉위를 했다고 전해진다. 거기에 본인이 재위 5년 만에 천연두로 죽었고, 사후 왕위는 공동으로 재위하고 있던 남편 윌리엄이 단독으로 1702년까지 재위한다.

자녀들까지 요절해 그녀의 직계혈통은 단절되었고, 본인 사후 남편인 윌리엄까지 사망 후 왕위는 메리의 여동생 에게 승계된다.

3.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메리 2세
(Mary II)
<colbgcolor=#fff3e4,#331c00> 제임스 2 & 7세
(James VII & II)
<colbgcolor=#ffffe4,#323300> 찰스 1세
(Charles I)
제임스 1 & 6세
(James VI & I)
덴마크의 아나
(Anna af Denmark)
프랑스의 앙리에트 마리
(Henriette Marie de France)
앙리 4세
(Henri IV)
마리아 데 메디치
(Maria de' Medici)
앤 하이드
(Anne Hyde)
제1대 클라렌든 백작 에드워드 하이드
(Edward Hyde, Earl of Clarendon)
헨리 하이드
(Henry Hyde)
메리 랭포드
(Mary Langford)
프란시스 아일스버리
(Frances Aylesbury)
토머스 아일스버리
(Thomas Aylesbury)
앤 덴만
(Anne Denman)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eaa 0%, #005eb8 30%, #005eb8 70%, #003ea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픽트인의 왕
알핀 왕조
키나드 1세 돔날 1세 카우산틴 1세 아드 기리크
픽트인의 왕 알바국왕
알핀 왕조
오하드 돔날 2세 카우산틴 2세 말 콜룸 1세 일둘브
알바국왕
알핀 왕조
두브 킬렌 키나드 2세 아믈리브 키나드 2세
알핀 왕조 둔켈드 왕조 모레이 왕조
카우산틴 3세 키나드 3세 말 콜룸 2세 돈카드 1세 막 베하드
모레이 왕조 둔켈드 왕조
룰라흐 말 콜룸 3세 돔날 3세 돈카드 2세 에드가르
둔켈드 왕조
알락산더르 1세 다비드 1세 말 콜룸 4세 일리암 1세 알락산더르 2세
알바국왕 스코트인의 왕
둔켈드 왕조 스베리르 왕조 발리올 왕조 브루스 왕조
알락산더르 3세 마르그레트 로버트 1세 데이비드 2세
스코트인의 왕
발리올 왕조 브루스 왕조 스튜어트 왕조
에드워드 데이비드 2세 로버트 2세 로버트 3세 제임스 1세
스튜어트 왕조
제임스 2세 제임스 3세 제임스 4세 제임스 5세 메리 1세
제임스 6세 찰스 1세 찰스 2세 제임스 7세 메리 2세
윌리엄 2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5c 0%, #00005c 20%, #00005c 80%, #00005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튜더 왕조
엔리 8세 아이드워르드 6세 시반 모이라 1세
필리브
튜더 왕조 스튜어트 왕조
아이예리쉬 1세 셰이머스 1세 카를루스 1세 카를루스 2세
스튜어트 왕조
셰이머스 2세 모이라 2세 윌리엄 3세 아녀
하노버 왕조
쇼르셔 1세 쇼르셔 2세 쇼르셔 3세
}}}}}}}}}}}}}}}


[1] 1689년 2월 13일 잉글랜드여왕이 되고, 1689년 4월 11일 스코틀랜드여왕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