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e0719, #cf0921 20%, #cf0921 80%, #9e0719);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그리말디 왕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오노레 2세 | 루이 1세 | 앙투안 1세 | 루이즈 이폴리트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자크 1세 | 오노레 3세 | 오노레 4세 | 오노레 5세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플로레스탕 | 샤를 3세 | 알베르 1세 | 루이 2세 | |
제13대 | 제14대 | - | - | |
레니에 3세 | 알베르 2세 | |||
모나코 경 | }}}}}}}}} |
그리말디 가문 관련 틀 | |||||||||||||||||||||||||||||||||||||||||||||||||||||||||||||||||||||||||||||||||||||||||||||||||||||||||||||||||||||||||||||||||||||||||||||||||||||||||
<colbgcolor=#fff,#1f2023>
|
<colbgcolor=#cf0921><colcolor=#fff> 그리말디 가문 Casa Grimaldi | |
창립일 | 1160년 |
창립자 | 그리말도 카넬라 |
現 당주 | 알베르 2세 |
국가 | 모나코 공국 |
[Clearfix]
1. 개요
모토: Deo Juvante 하느님의 도움으로
모나코의 통치 가문. 역사적으로는 제노바 공화국의 도제를 배출한 가문[1]으로 유명하다.
2. 특징
이탈리아를 통일한 사보이아 가문이 이탈리아화된 프랑스 출신 집안이라면 그리말디 가문은 반대로 프랑스화된 이탈리아 출신 집안이다. 원래 모나코를 둘러싼 사르데냐 왕국의 니차 도(Divisione di Nizza)가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1860년에 체결된 토리노 조약으로 프랑스 제2제국에 할양되면서 사르데냐 왕국 보호령에서 프랑스 보호령으로 바뀌었기 때문. 다만 모나코는 사르데냐 왕국의 전신인 사보이아 공국에게 둘러싸였던 시절에도 프랑스 왕국의 보호를 받았기에 서서히 프랑스화되다가 니차의 프랑스 할양으로 프랑스화에 쐐기를 박았다고 볼 수 있다.다른 유럽 왕실로부터 좋게 말하면 셀럽, 나쁘게 말하면 격 떨어지는 집안에 가까운 취급을 받는다. 독일 11월 혁명 이후 모든 왕국 및 공국이 멸망했고 21세기에는 사실상 복위가 불가능해진[2] 독일의 구 왕가 및 공가들조차 그리말디 가문은 결코 혼담 후보로 고려하지 않는다. 독일의 구 왕가들은 아직까지도 귀천상혼으로 인한 계승권 박탈을 작용해서 같은 왕가 출신이거나 슈탄데스헤어 출신하고만 동등결혼을 인정하는데 모나코 공은 엄연히 현존하는 일국의 군주임에도 혼인하지 않는다는 건 그리말디 가문을 동등한 군주로 인정하지 않다는 뜻이다.[3] 그리말디 가문이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는 이유는 전통적인 유럽 왕실/공실의 편입이 상대적으로 늦었기 때문이다.[4] 오랜 세월 혼맥으로 얽혀 온 타 유럽 왕실 및 귀족들과 달리, 그리말디 가문은 통치 역사가 7백 년이 넘는데도 통치가문 출신의 공비는 장 2세(1468~1505)[5]의 부인이자 사보이아 공작 필리포 2세의 딸 안토니아(Antonia di Savoia ?~1500) 단 한명 뿐이었으며[6], 안토니아는 필리포 2세의 사생아라 정식 공녀도 아니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유럽 왕실에서는 그리말디 가문을 왕족이 아닌 고위 귀족 정도로 여겼다. 그나마도 대다수가 빠르게 파경을 맞으면서 가문의 품격에 먹칠을 했다. 다만 거슬러 올라가면 유럽 왕실과 혈연은 닿는다. 현재 가장 가까운 왕실 친척은 벨기에 왕가와 룩셈부르크 대공가로 루이 2세의 모후가 스테파니 드 보아르네의 외손녀다.
3. 역대 군주 및 수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e0719, #cf0921 20%, #cf0921 80%, #9e0719);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그리말디 왕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프란체스코 | 샤를 1세 | 루이 경 | 루이 경 | |
안토니오 | ||||
레니에 1세 | 레니에 2세 | 장 1세 | ||
가브리엘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장 1세 | 카탈랑 | 클로딘 | 람베르토 | |
앙브루아즈 | ||||
앙투안 경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장 2세 | 뤼시앵 | 오노레 1세 | 샤를 2세 | |
제13대 | 제14대 | |||
에르퀼 | 오노레 2세 | - | - | |
모나코 공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e0719, #cf0921 20%, #cf0921 80%, #9e0719);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그리말디 왕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오노레 2세 | 루이 1세 | 앙투안 1세 | 루이즈 이폴리트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자크 1세 | 오노레 3세 | 오노레 4세 | 오노레 5세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플로레스탕 | 샤를 3세 | 알베르 1세 | 루이 2세 | |
제13대 | 제14대 | - | - | |
레니에 3세 | 알베르 2세 | |||
모나코 경 | }}}}}}}}} |
- 모나코 경(Seigneur de Monaco)
- 프란체스코 그리말디 (?~1309, 재위: 1297)[7]
- 카뉴쉬르메르 경 레니에 1세 (1267~1314, 재위: 1297~1301)[8]
- 제노바 공화국 1차 강점기(1301. 4. 10~1331. 9. 12)
- 샤를 1세(?~1356, 재위: 1331~1357)
- 안토니오, 레니에 2세, 가브리엘(재위: 1352~1357)[9]
- 제노바 공화국 2차 강점기(1357. 8. 15~1395. 1월)
- 루이 경(?~1402, 재위: 1395. 1월~1395. 12. 19)[10]
- 장 1세(1382~1454, 재위: 1395. 1월~1395. 12. 19)[11]
- 제노바 공화국 3차 강점기(1395. 12. 19~1397. 5. 11)
- 루이 경(?~1402, 재위: 1397~1402)[12]
- 제노바 공화국 4차 강점기(1402. 11. 5~1419. 6. 5)
- 장 1세(1382~1454, 재위: 1419~1454)[13]
- 앙브루아즈(?~1433, 재위: 1419~1427)[14]
- 앙투안 경(?~1427, 재위: 1427)[15]
- 카탈랑(?~1457, 재위: 1454~1457)
- 클로딘(1451~1515, 재위: 1457~1458)
- 람베르토(1420~1494, 재위: 1458~1494)[16]
- 장 2세(1468~1505, 재위: 1494~1505)
- 뤼시앵(1487~1523, 재위: 1505~1523)[17]
- 오노레 1세(1522~1581, 재위: 1523~1581)
- 샤를 2세(1555~1589, 재위: 1581~1589)
- 에르퀼(1562~1589, 재위: 1589~1604)
- 오노레 2세(1597~1662, 재위: 1604~1612)
- 모나코 공(Prince de Monaco)
- 오노레 2세(1597~1662, 재위: 1612~1662)
- 루이 1세(1642~1701, 재위: 1662~1701)
- 앙투안 1세(1661~1731, 재위: 1701~1731)
- 루이즈 이폴리트(1697~1731, 재위: 1731. 2. 21~1731. 12. 29)
- 자크 1세(1689~1751, 재위: 1731~1733)[18]
- 오노레 3세(1720~1795, 재위: 1733~1793)
- 프랑스 강점기(1793. 2. 24~1814. 5. 17)[19]
- 오노레 4세(1758~1819, 재위: 1814~1819)
- 오노레 5세(1778~1841, 재위: 1819~1841)
- 플로레스탕(1785~1856, 재위: 1841~1856)
- 샤를 3세(1818~1889, 재위: 1856~1889)
- 알베르 1세(1848~1922, 재위: 1889~1922)
- 루이 2세(1870~1949, 재위: 1922~1949)
- 레니에 3세(1923~2005, 재위: 1949~2005)[20]
- 알베르 2세(1958~ , 재위: 2005 ~ )
4. 여담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비 '그레이스 켈리'로도 유명하다.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은 미국의 배우 그레이스 켈리가 1955년 화보 촬영 차 레니에 3세와 만났다가 다음 해 결혼하게 되었다. 덕분에 이후 모나코에는 미국인 관광객이 많이 늘었다. 영화계에서 은퇴하고 세기의 결혼식을 치른 그레이스 공비는 세 명의 자녀를 낳고 살다가 1982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그리말디 가의 남계 조상 중에는 마리 앙투아네트의 친구인 폴리냑 백작부인의 후손이 있다. 레니에 3세의 아버지가 바로 폴리냑 백작 피에르(Pierre de Polignac, Comte de Polignac). 모나코 공 루이 2세의 딸인 샤를로트 그리말디와 데릴사위 형식으로 결혼해 태어난 아들이 레니에 3세다. 허나 그리말디 가문의 저주답게 레니에 3세의 부모도 이혼했다. 참고로 샤를로트는 원래 사생아 출신이었는데 루이 2세에게 후사가 없어서 추정상속인이 적국인 독일인[21]이 되자 종주국인 프랑스의 압력으로 그녀를 계승자로 만들었고 이 일로 모나코와 그리말디 가문의 격은 더 바닥을 쳤다.[22]
- 2000년대 초반에 한국에서도 일명 모나코 왕자라 불리며 꽃미남 열풍에 일조한 안드레아가 카롤린과 스테파노 카시라기의 아들이다. 그러나 지금은 그 시절 미모는 흔적도 안 남고 역변했다.
4.1. 21세기
<rowcolor=#000> 2024년 공가 직계 가족사진 |
[1] 스피놀라(Spinola) 가문과 더불어 11명의 도제를 배출했다.[2] 다만 복위만 불가능해진 것뿐이지 몇몇 왕가는 기존의 재산을 가지고 여전히 잘 먹고 잘 살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 독일 제국의 황가인 호엔촐레른 가문.[3] 종교가 다른 개신교 계열의 왕가들은 그렇다고 해도 비텔스바흐 가문을 비롯한 같은 가톨릭 계열의 독일 왕가들하고도 혼맥을 맺어본 적이 없다. 다만 뷔르템베르크 왕가에서 귀천상혼으로 한 등급 낮아진 우라흐 가문과는 통혼한 적이 있어서, 적국인 독일인 빌헬름 폰 우라흐가 모나코 공 루이 2세의 후계자가 되는 것을 원치 않았던 프랑스가 개입하여 루이 2세의 사생아 딸 샤를로트 그리말디를 후계자로 정했다.[4] 스웨덴의 베르나도테 왕조가 그리말디 가문보다 500년이나 전통적인 유럽 왕실로의 편입이 늦었고 최초군주는 대놓고 평민 출신이었지만, 주권국가의 엄연한 통치 가문이어서 유럽 왕실들의 관례적인 인정을 받았다.[5] 프랑스어: Jean II de Monaco, 이탈리아어: Giovanni II di Monaco. 그는 동생 뤼시앵(1487~1523. 프랑스어: Lucien de Monaco, 이탈리아어: Luciano I di Monaco)에게 암살당했고, 현재 그리말디 가문은 뤼시앵의 후손이다.[6] 그나마 앙투안 1세의 부인 로렌의 마리가 로렌 가문의 일원이기는 했지만 그녀의 고조 할아버지인 엘뵈프 후작 르네 2세(René II d'Elbeuf 1536~1566)는 기즈(Guise)가문의 시조 기즈 공작 클로드(Claude de Lorraine 1496~1550)의 자녀 6남 4녀 중 막내 아들이였으며 그녀의 할아버지인 하코트 백작 앙리(Henri de Lorraine 1601~1666)는 차남으로 직계와 너무 먼 방계이기 때문에(앙리 3세의 왕비 로렌의 루이즈보다 매우 먼 방계다.)통치 가문으로 보기에는 한미했다.[7] 공동[8] 공동[9] 샤를 1세의 공동 통치자[10] 공동[11] 공동[12] 복위[13] 복위[14] 형제 장 1세와 공동 통치[15] 형제 장 1세와 공동 통치[16] 클로딘의 남편[17] 형 장 2세를 암살하고 즉위했으나 본인도 조카에게 암살당했다.막장[18] 루이즈 이폴리트의 남편[19] 1793. 1. 19~ 1793. 2. 24 약 한 달 동안 국민공회를 거침[20] 루이 2세의 외손자. 레니에 3세의 어머니 발랑티누아 여공 샤를로트는 루이 2세의 적녀가 아닌 술집 여가수가 낳은 사생아로 명목상으로는 모나코의 계승권은 커녕 공가의 일원조차 아니었지만, 루이 2세에게 후사가 없자 프랑스에게 합병당하지 않기 위한 모나코의 비책으로 하루아침에 공녀로 신분상승했지만 공위는 넘겨받지 못했다. 대신 계승권을 양도하여 루이 2세의 뒤를 이어 공위에 오른 사람이 아들 레니에 3세.[21] 빌헬름 폰 우라흐[22] 이 때문에 이전부터도 그래왔지만 특히 레니에 3세 이래로 모나코 공가는 귀족 출신보다는 평민 출신의 공비를 맞이하고 있는 편이다. 레니에 3세의 공비인 그레이스 켈리도 유명 여배우여서 그렇지 평민 출신이며 현 알베르 2세의 공비인 샤를린 위트스톡도 마찬가지로 평민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