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7 00:09:06

트래비스 스미스

트래비스 스미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3)(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3)(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3) 파일:쿠바 국기.svg
더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 2000 2001~2002 2003 2004 2005
김태석 에르난데스 스미스 카브레라 김원형
<rowcolor=#fff> 2006 2007~2008 2009 2010 2011
신승현 레이번 채병용 카도쿠라 글로버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마리오 레이예스 김광현 밴와트 김광현
<rowcolor=#fff> 2017~2018 2019 2020 2021 2022
켈리 김광현 킹험 르위키 폰트
<rowcolor=#fff> 2023~2024
김광현
}}}}}}}}}}}} ||

트래비스 스미스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SK 와이번스 등번호 23번
조형식
(2001~2002)
스미스
(2003)
임훈
(2004~2006)
}}} ||
}}} ||
파일:A49E0030-3B90-4249-A968-5DEA5CA6D9E5.jpg
SK 와이번스 시절
트래비스 스미스
Travis Smith
본명 트래비스 윌리엄 스미스
Travis William Smith
출생 1972년 11월 7일 ([age(1972-11-07)]세)
오리건 주 스프링필드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벤드 고등학교
신체 178cm, 77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5년 드래프트 19라운드 (전체 516번, MIL)
소속팀 밀워키 브루어스 (1995~2000)
휴스턴 애스트로스 (2001)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02)
SK 와이번스 (2003)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04, 2006)
플로리다 말린스 (2005)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07)

1. 개요2. 선수 경력
2.1. KBO 리그 이전2.2. KBO 리그 시절2.3. 이후
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SK 와이번스투수 외국인 선수.

2. 선수 경력

2.1. KBO 리그 이전

스미스는 1995년 밀워키 브루어스의 지명을 받아 루키 리그에서 데뷔했다. 이후 1997년에는 더블A에서 16승을 올리며 활약했고 이후 마이너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빅 리그에 콜업, 1998년 6월 21일에 메이저리그에 첫 등판하여 2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메이저 리그에서는 자리를 잡지 못하고 다시 마이너로 강등되었고 2000년까지 밀워키에서 뛰다 이후 휴스턴 애스트로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를전전하였으나 좋은 활약을 남기지는 못했다. 특히나 2002년에는 카디널스 소속으로 12경기에 나와 54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7.17이란 처참한 성적을 남기기도.

2.2. KBO 리그 시절

2002년 11월 17일 SK 와이번스와 총액 20만 달러에 계약을 맺고 KBO 리그에 입성했다.

스미스는 외국인 용병임에도 불구하고 최고 구속이 145에 머무를 정도로 빠른 구속을 가진 투수는 아니었다. 그러나 스미스는 당시 한국 야구 기준으로 괜찮은 수준이었던 체인지업과 제구력을 바탕으로 정규시즌에서 7승 10패 4.20이란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다. 여기에 소속팀이었던 SK는 스미스와 이승호, 채병용, 김원형으로 구성된 선발진의 활약과 이진영, 이호준, 조원우, 에디 디아즈, 조경환으로 구성된 타선이 맹활약하여 2003년 일대 돌풍을 일으키며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이후 스미스는 팀의 창단 첫 플레이오프에서 2차전에 선발로 등판하여 상대팀이었던 KIA 타이거즈를 상대로 무실점 호투를 기록하며 승리투수가 되어 팀의 첫 한국시리즈 진출에 일조하였다. 그러나 이어진 한국시리즈에서는 2차전에 선발로 등판했으나 1.1이닝 동안 3실점으로 부진한 투구내용을 보이고 강판되었고, 팀은 해당 경기에서 승리하였지만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현대 유니콘스에게 우승을 내주고 말았다.

결국 시즌 후 스미스는 SK와 재계약에 실패하고 방출된다. 스미스가 정규시즌에서 거둔 성적은 나쁘진 않았으나 에이스급의 활약을 하기에는 어렵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었다.

2.3. 이후

SK에서 방출된 이후에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플로리다 말린스를 전전하며 메이저리그와 트리플 A를 오가는 전형적인 AAAA리거로 활동했다.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