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06:00:30

시라카와 케이쇼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19 조병현 · 22 서진용 · 28 송영진 · 29 김광현
· 33 앤더슨 · 34 한두솔 · 38 노경은 · 41 박민호
· 42 문승원 · 43 시라카와 · 47 오원석 · 57 박시후
· 67 최민준 · 92 이로운
2군
11 백승건 · 15 고효준 · 16 이건욱 · 21 허민혁
· 32 신헌민 · 46 이승훈 · 48 안현서 · 50 박종훈
· 51 정동윤 · 55 엘리아스 · 61 서상준 · 62 최수호
· 68 류현곤 · 90 박기호 · 94 최현석 · 00 박성빈
· 03 윤성보 · 04 변건우 · 08 이찬혁
최종 편집: 2024년 6월 13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시라카와 케이쇼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KBO 리그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로하스
벤자민
쿠에바스
kt wiz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1] 엘리아스 내복사근 부상 임시 대체 선수[2] 크로우 팔꿈치 부상 임시 대체 선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3)(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3)(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3) 파일:쿠바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시라카와(4) 파일:일본 국기.svg
더거(2)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3)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시라카와 케이쇼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SSG 랜더스 등번호 43번
류현곤
(2024~2024.3.28.)
시라카와
(2024.6.1.~)
현역
}}} ||
}}} ||
파일:시라카와 다음스포츠.jpg
<colbgcolor=#ce0e2d><colcolor=#fff> SSG 랜더스 No.43
시라카와 케이쇼[1]‘시라카와 게이쇼’. 일부 언론사에서 영입 소식을 전하며 ‘*시라와’로 표기한 경우가 있으나 이는 엄연히 잘못된 표기다. 가나의 청음을 한글 평음으로 표기하는 외래어 표기법 규정은 ‘어두’(‘케’이쇼 → ‘게’이쇼)에서만 적용된다.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공식 홈페이지의 영문 표기도 Shirakawa로 되어 있다.]
白川恵翔 | Shirakawa Keisho
출생 2001년 6월 4일 ([age(2001-06-04)]세)
도쿠시마현 미요시군 히가시미요시초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이케다 고등학교
신체 182cm | 92kg[2]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4년 임시 대체 외국인 선수 계약 (SSG)[3]
소속팀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2020~2024)
SSG 랜더스 (2024~)[4]
계약 1yr / ¥1,800,000
연봉 2024 / ¥1,000,000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파일:SSG 랜더스 심볼(적색배경).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 국적의 SSG 랜더스 소속 우완 투수. KBO 리그 대체 외국인 선수 영입 제도 1호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라카와 케이쇼/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시라카와 케이쇼 149km/h 포심 패스트볼.gif
149km/h 포심 패스트볼
vs 김혜성 (2024년 6월 1일)
파일:시라카와 케이쇼 138km/h 포크볼.gif
138km/h 포크볼
vs 송성문 (2024년 6월 1일)
파일:시라카와 케이쇼 128km/h 슬라이더.gif
128km/h 슬라이더
vs 이창진 (2024년 6월 13일)
파일:시라카와 케이쇼 126km/h 커브.gif
126km/h 커브
vs 김도영 (2024년 6월 13일)
시라카와의 투구스타일에 대한 분석

오른손 투수로 고교 시절만 하더라도 최고 구속이 146km/h였으나 독립 리그 데뷔 후에는 최고 154km/h, 평균 140km/h대 중후반까지 구속을 끌어올리는 유의미한 성과를 냈으며, 포심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커브, 포크볼,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변화구 가운데서는 커브가 좋다는 평가. 포심의 구위도 독립리그 내에서는 상당히 좋아 많은 탈삼진을 뺏어내며 SSG 입단 직전인 2024시즌에도 6경기를 29이닝을 소화하면서 삼진 31개를 뺏어냈고, 평균자책점 2.17로 호투했다.

타점이 높은 편이고, 일본인 투수 대부분이 그렇듯 이중 키킹 투구폼을 가지고 있으며, 스트라이드시 같은 팀의 옛 선수 이승호(1981)처럼 글러브를 높이 치켜들며, 오른손 손목을 꺾어 공을 몸 뒤로 살짝 감췄다 나오는 등 일본 투수들이 선호하는 디셉션들을 여럿 가지고 있다.

단점은 제구력과 이닝 소화력. 구속은 몇 년에 걸쳐 꾸준히 증가했으나 사사구를 많이 허용하고 있는데, 일본 독립리그 통산 BB/9이 4.23에 달한다. ABS를 도입하여 존이 일관되게 유지되는 KBO 리그에서는 이 제구력 문제가 어떻게 작용할지 지켜봐야 할 부분. 이러한 제구 문제 탓인지 이닝 소화력이 부족한 점도 단점인데, 2023년에 선발 등판한 11경기 가운데 6이닝을 던진 경기는 1경기, 5이닝을 던진 경기는 4경기에 커리어 하이인 2022년에도 선발로 16경기에 나와 82⅔이닝 투구에 그쳤을 정도로 이닝 이팅 능력은 아쉽다.

4. 여담

  • 별명으로 쇼케이스, 혜상이[5], 삼진쇼[6], 햇감자 등이 있다. 입단 즉시 더거 유니버스에 편입되어 잠깐쓸거라는 멸칭도 얻었다.
  • KBO 최초의 21세기 출생 외국인 선수로, 임시 대체 선수인 것을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어린 나이에 KBO에 왔다. 오원석, 정해영, 최준용, 소형준 등 아직 영건 범주에 들어가는 투수들과 동갑이다.
  • SSG와의 입단 계약 후 인터뷰를 통해 밝혔듯이 대체기간 6주 동안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NPB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게 된다면, "KBO 대체 외국인 선수 영입 제도"가 일본 독립리그 구단의 에이스급 선수들과 KBO 구단 양측에게 꽤 괜찮은 선택이 될 수도 있다.
  • SSG 입단일인 5월 22일 기준으로 SSG의 한자릿수~두자릿수 등번호가 대부분 꽉 찬 상황이라 등번호를 정하기가 상당히 애매한 상황이었는데, 영입일 기준 결번은 0번, 43번, 99번으로, 강지광이 방출된 후 계속 결번인 99번은 특별한 사연이 있는 번호는 아니지만, 0번은 구단의 뻘짓으로 떠나간 리빙 레전드 김강민의 번호라 사실상 준 영구결번에 가까운 상태고, 43번은 하반기에 상무에서 전역하는 원 주인 김택형을 위해 비워놓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한국 입국 후 첫 훈련에서도 유니폼 상의 대신 일반 맨투맨을 입었다. 결국 김택형이 입대 전까지 사용했던 43번을 배정받았다.[7]
  • 2024년 SSG 랜더스와의 임시 대체 외국인 선수 계약으로 KBO 리그에 입성하기 전까지는 해외를 가본 적이 한번도 없다고 한다. 입단 발표 시점에는 흔하디 흔한 여권도 없는 상황이었다. SSG의 영입 발표일과 케이쇼의 한국 입국일 사이에 며칠 딜레이가 있었던 이유 또한 여기에 있다.
  • 인터뷰 중 가장 친한 선수로 같은 도쿠시마 소속이었던 장현진[8]을 언급했으며, SSG 입단 전부터 한국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
  • SK-SSG 구단 역사상 세 번째 일본인 국적의 외국인 선수다.[9] 첫 번째 선수는 2006년 시즌 초에 잠시 뛰었던 내야수 시오타니 가즈히코이고 두 번째 선수는 2009년~2010년에 뛰었던 투수 카도쿠라 켄이다. KBO 전체로 보아도 카도쿠라가 2011년 삼성에서 방출된 이후 매우 오랜만에 일본 국적의 외국인 선수[10]를 맞이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KIA 타이거즈에서 뛰었던 투수 보 다카하시일본계 브라질인 3세로 국적은 브라질이기에 일본인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 SSG 입단으로 생애 처음으로 해외로 나왔다고 한다. 계약 전 여권도 안 만들었다고 하며, 한국의 야구장 응원 열기에 많이 놀랬다고 한다.[11] 게다가 시라카와가 자란 곳이 시골이라서[12] 한국에서는 돌아다니는 동네마다 너무 번화가라서 놀랍다고 언급도 했다.
  •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출신으로 SSG 유니폼을 입은 두 번째 선수가 됐다. 첫 번째 선수는 하재훈. 다만 하재훈은 전신인 SK 와이번스 시절에 입단했다.
  • 구단에 적응하는 것에 관하여 한두솔이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한다. 한두솔 역시 프로 데뷔 이전 일본 사회인 야구 팀에서 활약한 경력이 있어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기에 시라카와와 원활한 의사 소통이 가능하다.

5. 관련 문서



[1]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2]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공식 프로필은 182/92이며, KBO 리그 소속선수 프로필은 180/88.[3] 공식적으로 NPB에 데뷔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시라카와에게는 SSG가 프로 데뷔 팀이다.[4] 로에니스 엘리아스 일시 대체 외국인 계약. 다만 실력에 따라 정식으로 입단할 가능성이 있다.[5] 시라카와 케이쇼의 한자 이름을 한국어로 발음하면 백천혜상이 된다.[6] 케이쇼 - K쇼 - 삼진쇼[7] 한편 43번의 원 주인인 김택형은 상무 복무 중이며, 전역일은 시라카와의 대체 기간이 만료일보다 늦은 2024년 7월 15일이다. 만약 시라카와의 잔류가 확정되고 엘리아스가 방출된 상태에서 김택형이 합류한다면 등번호 변경이 이뤄질 수도 있다. 김택형이 원래 등번호였던 43번 사용을 원한다면 후배인 시라카와가 다른 번호를 선택해서 쓸 수 있다. 반대로 김택형이 아무 번호나 써도 된다고 하면 시라카와가 43번을 유지하고 김택형이 비어있는 번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2024년 6월 기준 주인이 없는 등번호는 0, 1, 25, 45, 66, 99번이다. 0번과 99번을 빼고는 당초 시라카와가 영입될 때까지만 해도 주인이 있던 번호들이지만 SSG 구단이 정성곤, 김주온, 유호식, 김건이를 방출시키면서 주인이 사라졌다.[8] 서울고 출신 내야수로 드래프트에서 미지명된 후 대학 진학 대신 일본 독립 리그 진출을 택하면서 도쿠시마에 입단했다. 2024년도 신인 드래프트 트라이아웃에도 지원했었으나 미지명되었다.[9] 여담으로 역대 SK-SSG 구단은 일본 야구인들의 흔적이 비교적 강하게 남은 팀이다. 이 팀에서 과거 혁혁한 공적을 이루고 떠난 김성근 감독이 재일교포 출신이라서 일본인 야구인을 유난히 많이 알고 지냈고, 이들을 대부분 SK로 데려와서 코칭스태프로 썼기 때문이다.[10] 단순히 '일본 국적'으로만 놓고 보았을 때에는 2021~2023 시즌 두산 베어스에서 활약했던 히로나카 시히로가 있었으나, '장빈'이라는 한국명을 가지고 대한민국에서 교육과정을 마치고 육성선수로 두산에 입단한 '국내 선수'로 대우를 받기 때문에 일본 국적 외국인 선수로는 오랜만에 등장한 것이다.[11] 실제로 두 번째 등판을 했던 롯데전의 경우 KBO 리그에서 가장 홈 팀의 응원 열기가 뜨거운 사직 야구장에 등판했는데, 이 때 응원 열기에 긴장을 과하게 해서 피칭을 완전히 망쳤다.[12] 시라카와가 자란 히가시미요시는 인구가 12,000여명에 불과한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