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4 16:21:40

패트릭 헤드

패트릭 헤드 경에서 넘어옴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리들리
스콧
(2024)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핼퍼드 매킨더
(1920)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마이클 스타우트
(1998)
폴 너스
(1999)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헨리 세실
(2011)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크리스토퍼 놀란
(2024)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윌리엄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헨리 쿠퍼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2025)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나이젤 쇼트
(1999)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

파일:D4CB9318-5E2E-4641-9FB4-D754EA8CD213.jpg
이름 Sir Patrick Head
생년월일 1946년 6월 5일
국적 영국
활동 연도 1970년~
작위 기사 (Knight Bachelor)

1. 개요2. 행적3. 윌리엄스에서

1. 개요


윌리엄스 레이싱 팀의 공동 설립자이자 기술 감독. 1977년부터 27년 동안 윌리엄스 그랑프리 엔지니어링의 기술 책임자로 지내며 포뮬러 1 내에서 많은 혁신을 이뤄내는 역할을 담당했다. 2004년 5월에는 샘 마이클에게 기술 감독 자리를 넘겨주었다.

2. 행적


패트릭 헤드는 1950년대에 그의 아버지인 마이클이 재규어에서 레이싱 드라이버로 활동하였고 웰링턴 대학에서 사교육을 받았다. 학교를 떠난 후 헤드는 왕립 해군에 입대하였으나, 곧 군대에서 경력을 쌓는 것이 그가 인생을 보내고자 함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고, 처음에는 버밍햄에서, 나중에는 그의 첫 해 시험에 실패한 후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떠났다. 헤드는 1970년에 기계공학 학위를 받고 졸업했고, 곧바로 헌팅돈에 위치한 섀시 매뉴팩처러인 롤라에 들어간다. 헤드는 설계 역할을 담당하게 되면서 여러 자동차 제조사나 엔지니어링 회사에 관여되는 작업을 맡게 되는데, 이 시기에 프랭크 윌리엄스 경를 만나게 된다. 그러나 헤드는 자신이 설계 사업을 맡는 동안 대부분 성공이 되지 않자 환멸을 느끼게 되고, 헤드는 모터 레이싱을 그만두고 보트를 만드는 일을 했다. 하지만, 윌리엄스가 다시 헤드에게 그의 팀에 합류해달라고 설득했고, 후에 헤드는 1975시즌에 그의 팀에 합류했다.

3. 윌리엄스에서


1976시즌, 프랭크 윌리엄스가 34살일 시절, 자신의 팀을 재편성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헤드를 포뮬러 1으로 불러들였다. 1977년 2월 8일, 윌리엄스와 헤드는 각각 회사의 70%와 30%씩의 지분을 나눠 가지고 윌리엄스 그랑프리 엔지니어링을 설립하였다. 1977년, 이 팀은 커스터머 팀이었던 마치 섀시와 경쟁하였고, 1978년 사우디아 항공의 지원을 받아 호주 출신 드라이버인 앨런 존스와 계약하면서, 헤드가 처음으로 설계한 FW06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자금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윌리엄스 자신은 종종 전화 부스에서 사업을 하라고 강요했지만, 헤드는 여전히 훌륭한 자동차를 디자인할 수 있었다.

그 다음 시즌부터 윌리엄스는 11개의 세계 선수권 포인트를 득점하여 9위를 했고 이때부터 탄력이 붙기 시작했다. 1979년 시즌의 4번째 라운드에서 존스는 팀의 첫 번째 포디엄을 달성하였고, 같은 해에는 스위스 국적의 드라이버인 클레이 레가조니가 실버스톤에서 열린 영국 그랑프리에서 우승했을 때, 헤드 디자인 차가 100개가 넘는 레이스 이후로 첫번째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4번의 우승이 더 있었고 헤드는 저명한 그랑프리 자동차 디자이너가 되기 시작하였다.

1980년, 윌리엄스는 앨런 존스와 팀 모두 두 타이틀을 달성하게 되었고, 헤드는 윌리엄스가 선두 주자로 앞서나가도록 일조하였다. 1980년대에는 더 많은 성공적인 결과들이 뒤따랐고 헤드는 차량 디자인에서 벗어나 디자인, 컨스트럭터, 레이싱, 테스트의 과정을 감독하는 테크니컬 디렉터(기술 감독)의 역할을 맡았다. 1982년에는 바퀴가 6개 달린 6륜 자동차와 엔진이 전체 랩 동안 최적의 RPM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연속 가변 변속기를 포함한 많은 혁신적인 컨셉트 작품들을 공인하였지만 안타깝게도 두 시스템 모두 규정 변경으로 인해 경주에 참가할수는 없었는데, 비슷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걱정한 다른 팀들의 압박이 그 원인이었다.

1986년, 프랭크 윌리엄스가 교통 사고로 중상을 입었을 때, 헤드는 다른 윌리엄스 경영진들과 함께 팀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 신속한 팀의 역할 전환에도 불구하고, 헤드의 임시 관리하에 팀은 1986년에는 컨스트럭터 타이틀을, 1987년에는 넬슨 피케나이젤 만셀의 활약으로 컨스트럭터 타이틀과 피케의 드라이버 타이틀 모두를 따낸다.

1990년 윌리엄스는 이전에 레이튼 하우스 레이싱의 기술 책임자로 재직하다 해임된 아드리안 뉴이를 고용했다. 이 두 엔지니어는 이후 급속하게 시너지를 이뤄 차량의 수준을 그 어느때보다도 높였고, 90년대의 뛰어난 디자인 파트너십을 빠르게 형성하여 10년 후 페라리의 슈마허 시대가 있기 전까지는 볼 수 없었던 수준의 독점적인 우위를 달성했다. 95년을 제외하고, 92년부터 97년까지 5번의 컨스트럭터 타이틀을 획득했고, 4명의 드라이버들이 챔피언쉽에서 우승하였다. 그러나 94년에는 윌리엄스에 세나가 사망하는 비극이 생기고 팀은 세나의 공백으로 베네통에게 드라이버 챔피언 자리를 넘겨주게 된다.[1][2] 90년대 중반 당시, 뉴이 역시 기술 감독으로 되기 위한 야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헤드가 팀의 설립자이자 주주였기 때문에 이를 막았다. 1996년, 윌리엄스의 데이먼 힐이 드라이버 챔피언쉽을 윌리엄스는 컨스트럭터 타이틀에서 우승한 이후 윌리엄스는 뉴이에게 다음 시즌 동안 정원이나 가꾸는 휴가를 내도록 강요했고 맥라렌으로 뉴이를 맥라렌으로 옮기는데 설득한다.

결국 뉴이는 맥라렌으로 이적하고, 윌리엄스는 전처럼 챔피언쉽에서 경쟁을 할 수는 없었다. 2004년까지 페라리와 슈마허가 챔피언쉽을 독점하는 동안 윌리엄스는 2002년과 2003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에서 준우승밖에 차지하지 못했고, 당시는 그들의 드라이버 중 하나인 후안 파블로 몬토야가 챔피언에 가장 가까웠던 해로 남았다. 2004년 헤드는 샘 마이클이 기술 이사가 되면서 엔지니어링 디렉터로 자리를 옮겼다. 헤드의 이동 이후 윌리엄스의 쇠퇴는 계속되었고 2012년 스페인 GP에서 파스토르 말도나도가 마지막으로 우승하기 훨씬 이전인 2004년 브라질 GP에서 몬토야가 우승한 이후부터는 우승 없이 기나긴 침체기에 접어들었다. 2012년, 헤드는 윌리엄스 팀에서 사임하였고 2014년 4월 GKN에 매각될 때까지 윌리엄스 하이브리드 파워 리미티드(Williams Hybrid Power Limited)에서 계속 재직했다. 2019년 3월, 헤드는 8년 만에 윌리엄스 레이싱에 고문 자격으로 다시 복귀했다.

2015년, 국왕 탄신일에 수여하는 서훈을 기념하여, 헤드는 모터스포츠에서 서비스를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나이트 바첼러"에 임명되었다.


[1] 2007년 4월에 이탈리아의 신문사인 라 가제타 델로 스포르트는 볼로냐 지방 법원이 1994년 산마리노 그랑프리에서 일어난 아일톤 세나의 치명적인 사고가 기술적 실패가 원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이탈리아 법에 따르면 이러한 사고에 대한 책임은 입증되어야 하지만 법원 심리에 참석하지 않은 헤드나 윌리엄스의 수석 디자이너 아드리안 뉴이에 대한 어떠한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2] 법원의 조사 결과는 사고 발생 13년 만에 공개돼 사건이 종결됐다. 2007년 4월 13일, 이탈리아 항소 법원은 평결 번호 15050 판결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이 사고는 스티어링 칼럼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오류는 잘못 설계되어 제대로 실행되지 않은 수정으로 인해 발생했다. 이 사고의 책임은 패트릭 헤드에게 통제 불능의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이탈리아에서는 과실치사 공소시효가 7년 6개월인데 사고 발생 13년 만에 최종 평결이 내려졌기 때문에 세나의 사고 원인이 밝혀졌음에도 헤드는 체포되거나 구속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