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7:15:04

프랑스령 캄보디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대 중세 근대 현대
부남국 진랍국 육진랍 앙코르 왕국 후기 크메르 왕국 프랑스 일제 치하 캄보디아 왕국 제1왕국 크메르 공화국 민주 캄푸치아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캄보디아국 UNTAC 제2왕국
수진랍 사일렌드라 캄보디아 보호령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식민제국의 식민지
{{{#!wiki style="margin: 0 -10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e5e5e5
{{{#!wiki style="margin: -5px -10px;" 루이지애나 · 생도맹그 · 누벨프랑스 · 생피에르 미클롱 · 도미니카 · 세인트루시아 · 그레나다 · 트리니다드 토바고 · 마르티니크 · 과들루프니 · 생바르텔레미 · 생마르탱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기아나 · 적도 프랑스 · 남극 프랑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시리아-레바논 · 인도차이나 (코친차이나 · 통킹 · 안남 · 라오스 · 캄보디아 · 광저우만) · 인도 · 톈진 · 상하이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모로코 · 튀니지 · 알제리 · 마다가스카르 · 마다가스카르 보호령 · 적도 아프리카 (우방기샤리 · 차드 · 콩고 · 가봉) · 카메룬 · 서아프리카 (세네감비아-니제르 · 수단 · 오트볼타 · 토고 · 세네갈 · 기니 · 다호메이) · 프랑스령 소말릴란드 · 코모로 · 모리셔스 · 세이셸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뉴헤브리디스 제도 · 누벨칼레도니 · 폴리네시아 · 왈리스 푸투나 · 클리퍼턴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남방 및 남극 지역 }}}
}}}}}}}}}}}}}}} ||

캄보디아 왕국
Royaume du Cambodge
ព្រះរាជាណាចក្រកម្ពុជា
프랑스의 보호령
파일:프랑스령 캄보디아 국기.svg파일:캄보디아 왕국 국장.svg
국기휘장
파일:French_Indochina_1900-1945-fr.svg.png
아래 연한 초록색 부분
1863 ~ 1945, 1945 ~ 1953
위치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통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피아스터
정치체제 프랑스보호령
국가원수 캄보디아 국왕
정부수반 캄보디아 이사장관[1][2]
언어 프랑스어, 크메르어
성립 이전 크메르 왕국
제1차 멸망 이후 일제 치하 캄보디아 왕국
제2차 멸망 이후 캄보디아 왕국

1. 개요2. 역사3. 출처

[clearfix]

1. 개요

캄보디아에 존재하던 프랑스의 보호령이다. 1887년부터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였다.

2. 역사

캄보디아는 19세기 당시 태국베트남에 의해 이중으로 고초를 겪고 있었다. 두 국가들 모두 서부와 동부에서 캄보디아를 못살게 굴고 있었으며, 심지어 영토를 빼앗기도 했다. 이에 지친 노로돔 국왕은 베트남 남부를 점령하고 있던 프랑스에게 보호를 요청했다. 베트남이 점령당한 후인 1863년 8월 11일 보호조약이 체결되며 프랑스의 지배가 시작되었다. 프랑스는 노예제를 폐지하는 등 많은 개혁을 시도했다. 1887년에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이후 태국으로부터 영토를 뜯어서 주거나 베트남으로부터 빼앗긴 지방도 되찾아 주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사실 캄보디아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이렇다 할 지하자원도 없고 해서 이용가치가 별로였기 때문이다. 이런 쓸모없는 동네를 개발할 바에는 차라리 옆동네 베트남(특히 코친차이나)이 훨씬 더 인프라도 괜찮고 인구도 많으니 프랑스 입장에서는 거기야말로 좀 더 이득이었다. 그 때문에 캄보디아 민중들은 프랑스는 물론 중국, 베트남, 태국, 자국의 지식인층 등으로부터 '노예근성 쩐다'며 멸시당하고 차별당했으며, 그 때문에 독립운동이나 민족주의 운동도 상당히 늦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당시를 경험한 캄보디아인들은 오히려 프랑스 식민지 때를 그리워한다고 했는데, 식민지 시기 동안에는 그나마 전쟁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프랑스 지배기에 도로와 철도가 닦이면서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탈바꿈하고, 쌀, 후추, 고무, 옥수수와 면화 재배도 성행하여 경제 발전도 이루어지고, 비록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이름하에서나마 옛 고토도 일부 수복하는 등 적잖은 이득을 보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애초에 캄보디아는 프랑스 세력이 뻗쳐오기 전에 이웃의 베트남과 태국에 반식민지 신세로 쌍으로 얻어터지는 게 일상이었으므로 프랑스의 지배에 별 거부감이 없었고, 오히려 깡패 같은 베트남과 태국으로부터 자기들을 지켜준다고 호의적이었다. 인구의 95%가 빈농으로 전락한 거나 귀족 계급만 고등교육을 받았던 거야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오십보백보였는 판에 캄보디아나 프랑스를 까기도 좀 그렇디.

태국과 베트남과 같은 이웃 강대국들의 침탈은 그 사실만으로도 캄보디아인들의 민족 의식을 키웠고, 프랑스의 지배를 통한 근대적 이념과 문물이 유입되면서 친프랑스 지식인과 전통적인 승려들도 민족 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후일 캄보디아 불교의 마하니까야 승단의 제4대 최고 책임자 승정(1948-1969)을 맡은 승려 쭈언 낫은 1919년부터 크메르어 사전편찬 위원회 대표로서 사전 편찬을 주도하여 1938년에 사전을 발간했다.[3] 사립학교와 프놈펜의 프랑스어 고등학교, 독립 언론 <나가라바트>도 민족주의의 대표적인 원동력이었고, 선응옥타인[4] 같은 독립영웅들도 조금씩 나왔다. 한편 그 무렵부터 캄보디아는 일본을 우러러 보기 시작했으며, 1940년에 일본 제국이 캄보디아를 비롯한 인도차이나 반도를 점령했고, 일본은 프랑스의 지배를 인정했지만, 군대주둔권을 이용해 사실상 캄보디아를 단독으로 지배했다.

프랑스는 독립운동가 탄압에 나서며 관련 인사들을 무자비하게 잡아들인 뒤, <나가라바트>를 검열시켜 1942년에는 폐간시켰다. 이에 선응옥타인 등 지도부가 일본으로 도망가기까지 했다.

그럼에도 캄보디아 민중들은 일본을 동경하자 프랑스가 나서서 크메르 문자를 로마자 '꾸르뜨나'로 개편하는 등 일본에 대한 저항을 선동했지만, 쯔놈과 다르게 크메르 문자는 표음문자인데다가 동남아에서 쓰이는 문자 중에서 가장 일찍 쓰였던 문자였기 때문에 이에 자부심이 있던 민중들은 민족적 자존심을 구겼다며 민심은 자연히 일제 쪽으로 기울었다. 1945년 3월 명호작전을 통해 프랑스를 축출하고 프랑스 거류민들을 억류한 뒤, 캄보디아 왕인 노로돔 시아누크에게 독립을 종용해 독립시켰다(캄보디아 왕국(괴뢰국)). 하지만 이조차도 실상은 그저 일본의 괴뢰국 신세에 불과했고, 게다가 5달 후 일본도 패망해서 독립도 전격 취소되었고, 프랑스가 컴백했다. 비록 형식적인 독립이었지만, 캄보디아인들은 독립을 맛 본 이후로 격렬한 독립운동을 시작했다. 결국 프랑스는 캄보디아와 협상하기 시작했으며 의회가 설립되고 헌법도 선포되었다. 1953년에 시아누크가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정식 승인받아 캄보디아 제1왕국으로 재탄생하였다.

3. 출처



[1] 理事長官/Resident-Superior[2] 해당직책은 총독, 총감으로 번역되지 않으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도 '이사장관'이라고 번역했다. #[3] 오늘날 캄보디아어 사전들은 전부 쭈언 낫의 사전을 기초로 작성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4] 1908 ~ 1977. 어머니가 베트남인-화교 혼혈이고 출생지도 현 베트남 영토인 짜빈성이다. 그러나 선응옥타인은 평생을 캄보디아 민족주의자로 살았다.